• 제목/요약/키워드: bluetooth smart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4초

유헬스 서비스 기반의 ISO/IEEE 11073-10404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SO/IEEE 11073-10404 Monitoring System Based on U-Health Service)

  • 김경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25-632
    • /
    • 2014
  • 유헬스 서비스는 사물인터넷 장치와 스마트 기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한 소형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환자의 생체정보를 이동통신망 환경에서 의료진과 환자 및 환자의 가족의 스마트기기로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bluetooth HDP기반의 메시지 구조를 사용하였다. ISO/IEEE 11073 PHD 표준을 기반으로 agent와 manager 사이의 통신 방법을 정의하였다. 의료진과 환자 및 환자의 가족이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에서 동작을 확인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원활한 송수신을 확인하였다.

지능형 홈을 위한 사용자 식별 및 출입 감지 시스템 (User Identification and Entrance/Exit Detection System for Smart Home)

  • 이선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8-253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sensing system for smart home which can detect an location transition events such as entrance/exit of a member and identify the user in a group at the same time.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 of two sub-systems;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a database server system. The wireless sensing system is designed as a star network where each of sensing modules with ultrasonic sensors and a Bluetooth RF module connect to a central receiver called Bluetooth access point. We propose a method to discriminate a user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user. The differences in the height of users is a key feature for discrimination. At the same time, the each sensing module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goes into or out a room by using two ultrasonic sensors. The server subsystem is a sort of data logging system which read the detected event from the access point and then write it into a database system. The database system could provide the location transition information to wide range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for smart home easily and conveniently. We evaluate the developed method with experiments for three subjects in a famil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into a real house.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보 관리를 위한 실시간 위치 데이터 관리 기법 (A realtime location positioning data management methods for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s in the indoor location awareness system)

  • 윤창표;황치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8-279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지능형 실내 위치 인식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때 실내 위치 측위 기술로서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방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는 신호 간섭 등의 이유로 실내 위치 정보의 신뢰성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iBeacon의 위치 정보로 부터 신뢰성 있는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수집된 빅 데이터의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 PDF

블루투스 통신을 갖는 저전력 건조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ow Power Drying System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 김영빈;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629
    • /
    • 2021
  • 현대의 가전기기는 무선을 이용한 편의성과 에너지 소비효율에 대한 요구가 일반화 되고 있다. 편의성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갖으면서 기능제어에는 단순화가 필수적이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능적인 센서 및 활용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블루투스 통신기능과 에너지 저감기능을 갖는 스마트 건조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 폰에서 건조기 제어와 내부의 습도 상태를 감시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제어시스템을 설계한다. 건조기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 함으로서 에너지 절약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 PDF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TV 기반 건강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TV for Wellness Service)

  • 허성욱;강성인;권오현;최성욱;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615-2620
    • /
    • 2013
  • 최근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와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적극적인 건강증진과 예방 활동을 통해 최적의 건강상태와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헬스케어 서비스는 스마트기기 보급의 확산과 지능화된 헬스케어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로 인해 다앙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의료기기와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 및 상호운용성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개인 의료기기를 통한 데이터의 축적이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를 기반으로 Bluetooth HDP를 통한 개인 의료기기와의 연결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은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비컨을 사용한 스마트 팩토리에서의 무선인터넷 보안 연결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Wireless Internet Security Connection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in Smart Factory)

  • 장윤성;신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705-1713
    • /
    • 2018
  • 최근 부각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중의 하나의 경향은 ICT와 제조업의 융합으로 산업기기와 생산과정이 모두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호 소통하는 것이다.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관리의 이점이 존재하나, 역으로 보안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특히 Wi-Fi은 MAC주소의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나 비밀번호 노출을 통해 외부인이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4.0에서 추가된 Bluetooth Low Energy를 사용하는 방식인 Beacon을 응용하여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몰라도 무선인터넷에 보안 연결하는 블랙박스 방식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이 제안한 시스템을 실제로 라즈베리파이로 구현을 하고 실제 연결 테스트를 시행하여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스마트폰을 위한 미러링 및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irroring and Efficient User Interface System for Smart Phone)

  • 김정훈;고도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2호
    • /
    • pp.363-365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더불어 스마트폰이 컴퓨터의 업무를 대체하는 환경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대형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로 확대 미러링(mirroring)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기기의 표준 5핀(MHL지원) 출력을 HDMI 포트의 모니터로 연결하여 화면 미러링과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과 USB 호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마우스와 키보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스마트폰을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dock) 형태와 모니터 일체형 시스템으로 각각 구현하였다.

BLE 기반 스마트 에티켓 시스템 및 App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tiquette System based on BLE and App)

  • 홍성표;조영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03-810
    • /
    • 2017
  • 오늘날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개인 스마트폰을 1개 이상을 소유하고 보유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강의실이나 도서관, 공연장 등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스마트폰을 매너모드로 설정하지 않아 부적절한 상황이 생기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제안 시스템은 공공장소 또는 에티켓 지역으로 지정된 장소에 입장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기능 일부를 제한(진동, 무음, 촬영, 인터넷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에티켓 지킴이 역할을 자동 수행 하며, 해당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이전상태 복귀 기능을 자동 제공한다. 또한 초경량 저전력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있는 Bluetooth 통신을 기반으로 자율 디바이스 연결 및 서비스 인지형 네트워크 기술이 복합된 시스템이며, H/W의 변형 없이 다양한 형태의 기능 추가 및 Service 확대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 연동 차량의 온보드 고장진단 기능 구현과 근거리 무선통신 호환성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On-Board Diagnostic Function on the Smart Phone and the Compatibility Tes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 구제길;양성열;송종욱;이충혁;양재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9호
    • /
    • pp.285-292
    • /
    • 2016
  • 최근 차량에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함으로써, 최신 자동차는 차량 전자제어장치인 ECU를 통하여 자동차 위치정보, 고장 진단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엔터테인먼트화 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보드 진단기와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차량 온보드 진단기와 연관하여 여러 가지 스마트폰 모델과 블루투스 및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와의 호환성 시험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 연동 블루투스 및 NFC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온보드 진단기의 단말기 구성과 고장진단 기능 구현을 비롯하여, 고장진단용 디버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OBD-II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고장진단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끝으로 온보드 진단기 CAN 프로토콜 구현 제시와 함께 이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블루투스와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자동차 안전 및 편의 서비스 (Automotive Safety and Convenience Service Using Bluetooth and Smartwatch)

  • 박한샘;임노간;조지연;이종배;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88-119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와 스마트워치를 사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사고 감지, 납치 감지, 차량 내 아동 방치 감지, 주차 위치 기록, 스마트키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차 안전 및 편의 서비스를 제안한다. 스마트폰에 기반한 기존 서비스는 스마트 폰을 차량 내에 거치하거나 가방 내에 휴대하는 경우가 많아서 사고 및 납치 상황 등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하여 스마트워치는 사용자가 늘 착용하고 있으며 심박수도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사고 및 납치 상황 등을 좀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스마트워치의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심박 센서, 블루투스 링크 상태 등의 정보를 통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파악하고 사고 통보, 상황 녹음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서비스는 차량과 OBD-II로 연결되어 도어 개폐, 비상등 점멸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