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 musse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패류 건제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2. 건조가공에 따른 패류의 환원당, 유기산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Flavor Compounds of Dried Shellfishes 2. Changes of Reducing Sugars,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during Drying Process)

  • 제외권;유영법;김경업;이종호;정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2-78
    • /
    • 1997
  • 패류 건제품중에 생성되는 향기성분의 주요한 전구체로 알려져 있는 환원당, 유기산 및 지방산의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홍합, 바지락 및 굴의 건제품 가공중의 성분조성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환원당의 함량은 자숙후에 큰 감소를 보였으며 홍합과 바지락의 경우에는 건조후에도 크게 감소하였다. 홍합, 바지락 및 굴 에서는 각각 8종의 유기산이 분석되었는데 함량이 높은 유기산은 succinic acid로써 총유기산량의 $74.9\%,\;67.4\%,\;38.4\%$를 차지하였고 특히 굴에서는 pyroglutamic acid의 함량이 $41.6\%$로써 가장높았다. 천일건조 및 열풍건조 후에는 succinic acid 이외의 다른 유기산들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굴의 건제품에서는 $53.0\%$$44.2\%$의 큰 감소를 보인 반면 바지락의 건제품에서는 $29.0\%$$10.0\%$로써 비교적 감소량이 적었다. 지질 성분의 분석결과에서는 극성지질의 함량이 총지질함량의 $59.1\%,\;66.7\%,\;42.4\%$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주요 구성지방산은 C16 : 0, C16 : 1, C20 : 5, C22 : 6등이었고 폴리엔산이 각각 $40.51\%,\;48.6\%,\;48.77\%$의 높은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각 시료의 자건제품의 과산화물가는 $41.64\~86.80\;meq/kg$으로써 비교적 높았고 카아보닐가는 $15.55\~27.99\;meq/kg$으로써 났았으나 배건제품중의 카아보닐가는 $127.6\~136.5\;meq/kg$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홍합 Mytilus coruscus과 지중해담치 Mytilus edulis의 부착 비교 (Attachment of Hard 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and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위종환;김형신;김종현;장영진;정민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2-146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홍합과 지중해담치 치패의 크기별 재 부착 과정을 관찰하고 재 부착시간, 부착률 및 생존율을 조사 비교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홍합과 지중해담치 족사의 외부형태를 관찰하였다. 홍합 소형 치패(각고 $3{\sim}7mm$)의 새로운 족사 생성에 의한 재 부착은 족사 분리 7분 내에 100%의 재부착률 및 생존율을 보였으며 크기별로 재 부착 시간과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중형치패(각고 25 mm)는 5시간 내에 85%의 재 부착률을 보인 이후 24시간동안 나머지 개체는 부착하지 않았으나 생존율은 24시간 동안 100%를 나타내어 소형치패가 중형치패에 비해 족사 분리 후 재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빠르고 재 부착률도 높았다. 홍합(각고 28 mm)과 지중해 담치(각고 30 mm) 중형치패의 시간경과에 따른 재부착률 및 생존율은 5시간내에 각각 73%, 73%의 재 부착률을 보인 이후 24시간 동안 나머지 개체는 부착하지 않았고 생존율은 모두 100% 를 보였으며 지중해담치가 홍합보다 빠르게 재부착한 치패가 많았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담치류 부착 족사의 외부 형태는 고착반, 부착줄기, 부착근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고 $20{\sim}30mm$ 범위의 홍합과 지중해담치의 치패에서 부착 족사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고착반은 각각 장축 $2,392{\times}934{\mu}m$, 장축 $1,056{\times}614{\mu}m$, 부착줄기 $39{\mu}m,\;28{\mu}m$, 부착근 $58{\mu}m,\;83{\mu}m$로 나타나 홍합이 지중해담치에 비해 고착반의 면적이 넓고 부착줄기의 두께가 두터웠다. 고착반과 부착줄기를 잇는 부착근의 두께는 지중해담치가 홍합보다 다소 두텁지만 단조로운 형태인 반면, 홍합은 물결모방의 가지를 뻗어 고착반에 부착한 미세구조를 확인할 수 있어 참담치의 족사 부착력이 지중해담치 보다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roactive Approach for Biofouling Control: Consequence of Chlorine on the Veliger Larvae of Mytilus edulis under Laboratory Condition

  • Haque, Niamul;Cho, Daechul;Lee, Jeong Mee;Lee, Dong Su;Kwon, Sung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75-380
    • /
    • 2014
  • Macro fouling due to blue mussels (Mytilus edulis) has affected negatively on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eventual system failure of offshore structures and coastal power stations. A certain range of chlorine (0.05, 0.1, 0.3, 0.5, 0.7 and 1.0 mg/L) was applied on the mussel larvae to identify the survival rate with respect to various exposure times under laboratory condition. The ciliary movement of the larvae was used to check their survival. The 1.0 mg/L of chlorine shows to 97% of larvae mortality whereas 0.7 mg/L of chlorine shows only 16% of larvae mortality. Minimum exposure times for 100% larvae mortality ranged from 300 to 20 min for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hlorine (0.05~1.0 mg/L). It was found that 1 mg/L of chlorine was 4 times more efficient than 0.7 mg/L of that, and 15 times more than 0.05 mg/L of chlorine dos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here will help plant operators to optimize chlorine dosage and its scheduling.

섶 속살이게, Pinnotheres pholadis의 기생이 진주담치의 번식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a Carb (Pinnotheres pholadis) on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galloprovincialis))

  • 유명숙;미원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81-585
    • /
    • 1985
  • 1981년 8월에서 1982년 5월까지 일본 암수현 대퇴만에서 섶 속살이게, Pinnotheres pholadis에 기생된 진주담치를 정기적으로 채집하고 기생군과 비기생군간의 각장에 대한 육중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그 성숙도와 영양상태의 차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구명했다. 섶 속살이게의 기생으로 말미암아 진주담치는 증육에 명백한 장해를 받음이 밝혀졌다. 또한, 생식선의 발달이 늦어질뿐 아니라, 생식세포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전체면적에 대한 생식선의 면적비가 낮아지게 되므로, 기생군의 번식력은 비기생군에 비해 현저하게 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어패류를 이용한 조미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1. 패류 자숙액즙의 성분조성-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1. On Composition of Seasoning Material in Cooking By-product-)

  • 김우준;배태진;최종덕;최지현;안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4
    • /
    • 1994
  • 굴, 키조개, 새조개, 진주담치 등을 가공할때에 부산되는 자숙액을 조미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과정에서 생산되는 자숙액은 굴 21,790톤, 키조개 604톤, 진주담치 1,395톤이었다. 2. 일반성분은 수분이 $95.2{\sim}97.4\%$로 높고 단백질이 $1.0{\sim}l.5\%$로 낮았다. 3. 유리아미노산 가운데 taurine이 $40{\sim}56\%$로 가장 많고 glycine이 $10.4{\sim}36\%$, alanine이 $4.8{\sim}8.6\%$, glutamic acid가 $3.1{\sim}5.3\%$로 많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가 높았다. 5. glycinebetaine은 굴이 139.3mg/100g이었으나 키조개, 진주담치, 새조개는 각각 45.2, 52.1, 66.9mg/100g로 적었다. 6. Total creatinine과 trimethylamine oxide는$30.4{\sim}59.1mg/100g,\;0.8{\sim}47.2mg/100g$로 적었다.

  • PDF

패류 건제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1. 건조가공에 따른 패류의 함질소화합물의 조성변화 (Flavor Compounds of Dried Shellfishes 1. Changes of Nitrogenous Compounds in Shellfishes During Drying Process)

  • 제외권;김영숙;이종호;정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6-555
    • /
    • 1996
  • 패류건제품의 가공 및 저장중의 flavor의 형성에 관련되는 각종 질소화합물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홍합, 바지락 및 굴의 생시료에서는 ATP, ADP 및 AMP의 함량은 낮았고 IMP와 inosine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TMAO함량은 생시료에서는 높았으나 배건시료에는 크게 감소하였고, TMA함량은 TMAO의 경우와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열풍건조시료의 저장중에는 TMAO의 감소 및 TMA의 증가량은 적었다. 생시료중의 glycinebetaine의 함량은 참치, 고등어 등의 어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자숙 및 배소에 의한 감소는 적었으며 hormalin과 trigonelline의 함량은 자숙 및 배소에 의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홍합, 바지락 및 굴에서는 각각 29종의 유리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가 분석되었는데 주요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arginine, glutamic acid 및 lysine등이었으며 자숙후와 건조후에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 PDF

진주담치의 마비성패류독의 내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rmal Resistanc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Blue Mussel)

  • 신일식;장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99-801
    • /
    • 1990
  • 진주담치의 육속에 함유되어 있는 PSP의 반응속도상수, D-value, z-value, 활성화에너지($E_a$), $Q_{10}$을 조사한 결과 반응속도상수(k)는 $90^{\circ}C$에서 $3.02{\times}10^{-4},\;100^{\circ}C$$4.99{\times}10^{-4},\;116^{\circ}C$$7.38{\times}10^{-4},\;121^{\circ}C$$8.38{\times}10^{-4}(sec^{-1})$이었다. D-value는 $90^{\circ}C$에서 132분, $100^{\circ}C$가 82분, $116^{\circ}C$가 58분, $121^{\circ}C$가 53분이었다. z-value는 $72^{\circ}C$이었으며 활성화에너지($E_a$)는 $3.9{\times}10^7(J/kg\;mol)$이었고 $Q_{10}$은 1.39이었다.

  • PDF

온도, pH 및 빛에 대한 Domoic Acid의 안정성 (Stability of Domoic Acid at Different Temperature, pH and Light)

  • 목종수;이태식;오은경;손광태;황혜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14
    • /
    • 2009
  • To prevent the food poisoning originated by consumption of shellfish contaminated with domoic aci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omoic acid is to be very important. The stability of domoic acid at different temperature, pH and light was investiga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mean recoveries of domoic acid in the methanol extracts from oyster (Crassostrea gigas), blue mussel (Mytilus eduli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nd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were 85.4-104.5%, 94.8-101.2%, 91.0-104.6%, and 95.7-109.6%, respectively. The working solutions of domoic acid standard were very stable for one month at $-18^{\circ}C$, $4^{\circ}C$, and room temperature. And domoic acid in the methanol extract from oyster was stable for a day at $4^{\circ}C$ and room temperature, and for a week at $-18^{\circ}C$. Therefore, this implies that quantitative analysis for domoic acid must consider the storage conditions of the standard solutions and the methanol extracts from shellfish. The standard solutions adjusted to pH 3-9 were also stable after heating at $121^{\circ}C$ for 30 min. The effect of light exposure on domoic acid was tested by exposing the methanol extracts to light. Domoic acid degraded slowly when the samples were kept in the dark (brown vial). However, following the light exposure the photodegradation became more rapid; no detectable domoic acid remained in $1.0{\mu}g/mL$ of methanol extract after 5 hours.

"도문대작(屠門大嚼)"을 통해 본 조선중기 지역별 산출 식품과 향토음식 (A study on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9-395
    • /
    • 2003
  • Regional foods is influenced by weather, local and social environment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at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Some of representative dishes of the Hansung and Kyonggi-do Area is duck(rice cake) of seasonally celebrated days, hangua(korea confectionary) and rice wine. Typical foods in Chungchong-do Area is included persimmon, jujube, watermelon and wax gourd. Some of the well-known food in Kangwon-do Area is pear, bangpungchuk(gruel), sukebyung(rice cake), woongjijunggua(korea confectionary) and san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m) that is seemed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section. Some of the famous dishes in Cholla-do Area is backsanja(korea confectionary), tea, chuksun kimchi(bamboo shoot pickle), citrus fruits and ear shell. Kyongsan-do Area ia famous persimmon, bamboo fruit, dasik(korea confectionary) and yakban(glutinous rice cake). Hwanghae-do Area is famed pear and choshi as assumed the eatly form of gochujang(thick soypaste mixed with red pepper). Representative dishes are deljjuk(blue berry), herring, sang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rm) in Hamgyong-do Area and daemandu(big dumpling) in Pyongan-do Area. The coast area is famous for using lots of sea food. Fresh seafood is consumed raw, and clams, fish and seaweed are liberally added to soups and other dishes. The East coast is catched salmon, flatfish, codfish, sandfish and mackerel The West coast is catched yellow corvenia, lobster, tiny shrimp and large-eyed herring. The South coast is catched sea mussel, codfish and laver.

패류의 호흡대사에 관한 연구(II) 담수산 패류, Cristaria plicata spatiosa (CLESSIN), 아가미 조직의 산화적 대사와 그 효소분에 대하여 (Study in the Respiratory Metabolism in Some Bivalves(II) on the Oxidative Metabolism and its Enzyme System in the Gill Tissue of the Fresh Water Mussel, Cristaria plicata spatiosa (CLESSIN))

  • 한문희;김동준;최희정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2
    • /
    • 1961
  • 1) Respiratory metabolism patterns and its enzyme systems in the gill tissue of the fresh water mussels, Cristaria plicata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effects of respiratory enzyme inhibitors, (KCN, NAF) and succinoxidase assay, while studying the effects of neutral salts (NaCL, KCL, CaCl2) and pH on oxygen consumption of the gill tissue. 2) In the limited concentration of KCL (0.3mM) and NaCl (0.4mM) solutions, oxygen consumption of the intact gill tissue was accelerated, but in CaCl2(0.5mM) solution, i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The oxygen consumption was gradually decreased at the above concentrations of these limitations. The optimum pH for the respiration of the gill was 7.3. 3)Cyanide in 10-8M solution inhibited 88.8% of the respiration of the intact gill tissue. Methylene blue accelerated the respiration of the noral gill tissue, and slightly but significantly reversed the cyaniide poisoned respiration. 4)Oxygen consumption of the gill homogenate was apparently increased by the mixed addition of succinate, cytochrome c and activators (AlCl3 and CaCl2). This results suggested that succinoxidase system acts on the respiratory pattern of the gil tissue. 5) It was able to recognize that the enolase, which acts on the anaerobic glycolytic system, participated in the tissue respiration of the gill for NaF in 5$\times$10-2 M solution inhibited 55.5% of the respiration of the same intact tiss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