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 matching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7초

동작정보 추출을 위한 가변적 탐색 영역과 블록 크기의 정합 (Size-Variable Block Matching for Extracting Motion Information)

  • 장석우;김봉근;김계영;최형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3호
    • /
    • pp.321-32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블록 단위의 동작벡터를 추출하기 위해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을 사용하는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정합 알고리즘은 탐색영역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보다 정확한 동작벡터를 추출할 때가지 블록의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탐색영역의 중심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블록의 동작변화는 작다고 가정한다. 또한, 탐색영역의 범위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블록들의 동작 균일성에 따라 조절된다.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작은 크기의 블록에서부터 정합을 시작한다. 정합 정확도가 좋을 경우 블록의 크기를 조금 확대한 후 본 논문에서 정한 정합 기준이 만족될 때가지 정합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가변적인 블록정합 방법이 보다 정확한 블록 단위의 동작벡터를 추출함을 보여준다.

이동벡터 추정을 위한 고속 Block Matching Algorith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the Motion Vector Estimation)

  • 이인홍;박래홍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11-219
    • /
    • 1988
  • In this paper effective block matching algorithms are proposed to find the motion vector. There are two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the motion vector in MCC (motion compensated coding), i.e.pel(pixel element) recursive algorithm and block matching algorithm. The search algorithm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block matching method. The advantage of this algorithm is the reduction of the computation time.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 time, three mathods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se new algorithms are faster than other methods. Compared with the three step algorithm by Koga et al., the average ratio of the computational savings obtained from the proposed algorithm is about 3-4.

  • PDF

VLIW 기반 DSP에서의 개선된 블록매칭 알고리즘 구현 (An Improved Implementation of Block Matching Algorithm on a VLIW-based DSP)

  • 유희재;정선태;정수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2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study about the optimization of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on a VLIW based DSP.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is well known for its computational burden in motion picture encoding. As supposed to the previous researches where the optimization is achieved by optimizing SAD, the most heavy routine of the block matching, we optimize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by applying software pipelining technique to the whole routine of the algorithm. Through experiments,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optimization is verified.

  • PDF

초기 매칭 에러를 통한 적응적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 (An Adaptive and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Initial Matching Errors)

  • 정태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39-144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DE방법의 계산량을 줄이고 동시에 동일한 예측화질을 얻기 위해, 초기 매칭블록의 서브블록별 SAD값의 비교를 통한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최초 매칭 블록의 서브블록별 매칭 에러의 복잡도의 비교를 통해 후보블록들의 매칭순서를 변경하여 불필요한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예측 화질의 저하 없이 기존의 PDE(partial distortion elimin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영역 탐색 방법에 비해 45%의 계산량을 줄였으며, MPEG-2 및 MPEG-4 AVC를 이용하는 비디오 압축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차영상과 4진트리 구조를 이용한 가변 블럭정합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ble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differential image and quad tree)

  • 정일화;이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768-2775
    • /
    • 1996
  • 가변블럭정합(Variable Block Matching: VBM) 알고리즘은 영상블럭의 복잡도에 따라 다른 블럭크기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영역이나 경계부근에서의 이동벡터 추정시 효과적이지만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계산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적임계치에 의한 차영상신소를 이용하여 4진 크리구조를 구성하고 각각의 블럭에 대해 여러가지 고속블럭정합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가변 블록을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ck Matching Algorithm with Variable-Block Size)

  • 김진태;주창희;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420-1427
    • /
    • 1989
  • A new block matching algorithm that improved the existing block matching algorithm in terms of image quality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subblock of image including the vertical edge of object is subdivided into new two subblocks, and the moving vector found.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shows on real image that the image quality by the algorithm becomes higher than that of the three step search algorithm by 1.1dB.

  • PDF

비트패턴 기반 움직임 추정을 위한 고속의 가변 블록 정합 알고리즘 (Fast Variable-size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Based on Bit-patterns)

  • Kwon, Heak-Bong;Song, Young-Jun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비트패턴을 기반으로 한 고속의 가변 블록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블록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8bit 화소값을 0과 1의 비트패턴으로 변환한 후 블록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비트변환을 통한 영상의 단순화는 움직임 추정의 계산적 부담을 감소시켜 빠른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블록 내의 움직임 정도를 미리 판별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적응적 탐색이 불필요한 탐색을 제거하고 움직임이 큰 블록에서는 정합(matching) 과정을 심화시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본 제안된 방식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한 프레임(frame)당 적은 수의 블록으로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가진 전역탐색 블록 정합 알고리즘(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S-BMA)보다 예측 에러를 적게 발생시켜 평균적으로 0.5dB 정도의 PSNR 개선을 가져왔다.

  • PDF

비트패턴을 기반으로 한 고속의 적응적 가변 블록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 (Fast Variable-size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Based on Bit-pattern)

  • 신동식;안재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372-37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비트패턴을 기반으로 한 고속의 적응적 가변 블록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블록 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8bit 화소값을 0과 1의 비트패턴으로 변환한 후 블록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비트변환을 통한 영상의 단순화는 움직임 추정의 계산적 부담을 감소시켜 빠른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블록 내의 움직임 정도를 미리 판별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적응적 탐색이 불필요한 탐색을 제거하고 움직임이 큰 블록에서는 정합 과정을 심화시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본 제안된 방식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한 프레임 당 적은 수의 블록으로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가진 전역 탐색블록 정합 알고리즘(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S-BMA)보다 예측 에러를 적게 발생시켜 평균 0.5dB 정도의 PSNR 개선을 가져왔다.

  • PDF

A Performance Comparison of Block-Based Matching Cost Evaluation Models for FRUC Techniques

  • Kim, Jin-Soo;Kim, Jae-G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671-675
    • /
    • 2011
  • DVC (Distributed Video Coding) and FRUC (Frame Rate Up Conversion) techniques need to have an efficient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algorithms. Conventional works of these applications have mainly focused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overall system. But, in some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how well the MCI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frame matches the original frame. For this aim, this paper deals with the modeling methods for evaluating the block-based matching cost. First, several matching criteria, which have already been dealt with the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are introduced and then combined to make estimate models for the size of MSE (Mean Square Error) noise of the MCI frame to original one.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block-based matching criteria are evaluated and the proposed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estimating the MSE noise.

16:1 부분 표본 추출 블럭 정합 알고리즘과 이의 하드웨어 설계 (A 16:1 Subsampling Block-Matching Algorithm and Its Hardware Design)

  • 김양훈;임종석;민병기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2호
    • /
    • pp.1624-1634
    • /
    • 1995
  • Conventional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and the resulting hardware cost is very high.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a 16:1 subsampling technique, and describe its hardware design. The algorithm reduces the number of pixels in calculating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at each search location, instead of reducing the search locations.The algorithm is an extension of the block mating algorithm with 4:1 subsampling proposed by Liu and Zaccarin such that the amount of computation is reduced by a fact of 4(16 compared to the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while producing similar performance.The algorithm can efficiently be designed into a hardware for real-time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