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aching age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19초

탈색모발의 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Bleached Hair)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51-257
    • /
    • 2008
  • 본 연구는 탈색회수에 따른 모발의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여 건강모발과 비교하였으며, 인장시험 결과 절단된 모발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인장시험에서 건강모발은 인장강도가 $14.66g/cm^2$으로 측정되었고, 탈색 1회, 2회, 3회 모발은 각각 $12.95g/cm^2$, $12.61g/cm^2$, $11.43g/cm^2$으로 나타났다. 결국 탈색모발은 탈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였다. 건강모발과 탈색모발의 인장강도 시험 후 절단된 모발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건강모발은 표면의 큐티클세포들이 들떠서 분리되어 있었으며, 탈색모발의 표면은 건강모발의 표면보다 더 심하게 큐티클세포들이 분리에 있었다. 탈색모발의 큐티클세포들은 모발표면의 바깥쪽으로 심하게 휘어져 분리되어 있었다. 큐티클세포의 분리는 세포막사이 복합체의 파괴에 의해서 일어났으며 큐티클세포의 세포질의 일부인 내큐티클의 파괴에 의한 분리는 일어나지 않았다.

Impact of combined at-home bleaching and whitening toothpaste use on the surface and color of a composite resin

  • Carolina Meneghin Barbosa;Renata Siqueira Scatolin;Waldemir Francisco Vieira-Junior;Marcia Hiromi Tanaka;Laura Nobre Ferraz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3호
    • /
    • pp.26.1-26.12
    • /
    • 2023
  • Objective: This in vitro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whitening toothpastes on a composite resin during at-home bleaching with 10% carbamide peroxid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samples (7 mm × 2 mm) were used for color and roughness analyses, while another 60 samples (3 mm × 2 mm) were utilized to assess microhardness. The factors analyzed included toothpaste, for which 5 options with varying active agents were tested (distilled water; conventional toothpaste; whitening toothpaste with abrasive agents; whitening toothpaste with abrasive and chemical agents; and whitening toothpaste with abrasive, chemical, and bleaching agents). Brushing and application of whitening gel were performed for 14 days. Surface microhardness (SMH), surface roughness (Ra), and color (ΔL*, Δa*, Δb, ΔE*ab, and ΔE00) were analyzed. The Ra and SMH data were analyzed using mixed generalized linear models for repeated measures, while the color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Dunn tests. Results: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time points, all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Ra and reductions in SM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for SMH at the final time point, at which all groups differed from the distilled water group. Conventional toothpaste exhibited the lowest Ra, while whitening toothpaste with abrasive agent had the highest valu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ΔL*, Δa*, and Δb. Conclusions: While toothpaste composition did not affect the color stability and microhardness of resin composite, combining toothbrushing with whitening toothpaste and at-home bleaching enhanced the change in Ra.

미백보조광 조사가 치아미백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BLEACHING LIGHT ON WHITENING EFFICACY)

  • 박종현;신혜진;박덕영;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95-10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백제의 치아미백효과에 미백보조광의 빛에너지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 치관의 설면을 실험에 사용하였고, 하나의 대구치에서 근심과 원심으로 구분되는 2개의 치아절편을 얻었다. 모든 시편을 24시간동안 적포도주에 보관하여 착색을 유도하고, 인공타액에 보관하였다. 시편들은 미백광조사기와 미백 powder의 종류에 따라 4개의 실험군으로 나뉘었으며,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Group 1 : LumaCool로 광조사를 시행, LumaWhite를 사용 Group 2: LumaCool로 광조사를 시행, Polaoffice를 사용 Group 3: FlipoWhite 2로 광조사를 시행 LumaWhite를 사용 Group 4: FlipoWhite 2로 광조사를 시행, Polaoffce를 사용 미백처치는 10분간 매 24시간마다 총 6회 시행하였고, 미백처치시 동일한 치아에서 얻어진 두 개의 시편 중 원심시편에는 미백광조사를 시행한 반면, 근심시편에는 미백광조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색조의 평가는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매 미백처지 전과 후에 시행하였고,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얻어진 색조 변화 차이를 paired-sample T test를 이용하여 95%의 신뢰수준으로 비교하였다. 미백처치 후 모든 실험군에서 $L^*$ value와 ${\Delta}E$의 증가와 $a^*$ value와 $b^*$ value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Group 2원심 절편의 $a^*$ value와 group 3원심절편의 $b^*$ value에서의 더 큰 변화와 group 4의 원심절편에서의 $a^*$ value가 좀 더 적은 변화를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근심절편과 원심절편사이에서 색조변화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미백보조광의 빛에너지는 미백제의 치아미백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에 명백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불소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 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ated Bleaching Agents and Post-treatment Fluoride Application on the Color and Microhardness of Enamel Surface)

  • 심연수;정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P를 이용하여,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 불소가 함유된 미백제, 그리고 10% CP로 미백한 후에 불소를 적용하여 하루에 8시간씩 14일 동안 처리함으로써, 치아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색조 변화측정 결과, 대조군을 제외하고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치아 미백 후 시간 경과에 따라 $L^*$ 값과 ${\Delta}E^*$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비슷한 수준의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의 색조에서 노란색이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미백 처리 전후의 법랑질의 표면경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유의한 미세경도 감소를 보였다(p<0.05). 특히 10% CP군은 가장 낮은 미세경도 수치를 보였고, 미백제에 불소가 함유된 군과 미백 후 불소를 적용한 군은 미세경도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주간 진행되는 10% CP는 치아미백에 효과적이며, 미백제에 불소를 함유시켜도 미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표면미세경도는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에 비해 덜 감소했다. 임상에서 미백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적정 농도의 불소를 이용해 적용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조사에 의한 미역 추출물 항염증제제의 갈색 색상 제거 (Gamma-irradiation Elimination of Brown Color from the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an Undaria pinnatifida Extract)

  • 강지영;김아람;송유진;박진규;이주운;변명우;안동현;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68-47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leaching of an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Undaria pinnatifida extract (AIAU). Brown-colored AIAU was irradiated with $^{60}CO$ gamma rays at doses ranging from 10-200 kGy. Discoloring of the anti-inflammatory agent was achieved by gamma irradiation, with significantly removal by 50 kGy irradiation. The main active compound of the agent consisted of 4% U. pinnatifida extract, which inhibited inflammatory symptoms in mouse ear edema by 93%. There was no change in effects against edema, erythema, blood flow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irradiation.

상어 껍질과 육으로부터 산 및 Pepsin 가용성 콜라겐의 추출과 탈색조건 (Extraction and Bleaching of Acid- and Pepsin-Soluble Collagens from Shark Skin and Muscle)

  • 김재원;김도균;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9
    • /
    • 2010
  •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0.1 M이었고, 추출시간은 각각 72시간 및 24시간 이었다. 산가용성 콜라겐인 ASSC (citric acid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ASMC (citric acid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 pepsin 가용성 콜라겐인 PSSC(pepsin and citric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PSMC (pepsin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에 함유된 총 단백질 함량은 각각 88.66, 83.09, 90.33 및 84.81% (dry basis)이었으며 시판 표준 콜라겐의 88.86%와 대등하였다.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은 ASC에서는 25.70~70.31%, PSC에서는 32.94~83.09%이었다. 상어육과 껍질 (dry basis) 100 g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콜라겐의 수율은 ASC는 53.85~57.22%, PSC는 20.81~23.28%이었다.

35% Hydrogen Peroxide Gel의 미백효과 및 법랑질의 변화 (35% Hydrogen Peroxide Gel in the Whitening Effect and Enamel Changes)

  • 이혜진;김민영;김교한;권태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5-260
    • /
    • 2008
  • 본 연구는 전문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5% hydrogen peroxide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에 노출시킨 후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5% HP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Delta}E^*$)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30분 노출군에서는 appreciable에 해당이 되며 1시간, 2시간 노출군에서 각각 much, very much에 해당이 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2. 법랑질 표면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주동안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미백제 노출군에서는 법랑질 표면경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2시간 노출군에서 각 주마다 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미백 후 노출시간이 길수록 법랑질 표면의 불규칙한 표면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성분 분석을 시행해본 결과 모든 군에서 Ca, P의 전반적인 감소를 볼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5% HP 치아 미백은 미백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술후 치아의 시림이나 거칠어짐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수 있으므로 짧은 기간 동안 정확한 방법으로 전문가에 의하여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플렉소 인쇄 신문지와 OCC 배합에 따른 ONP 탈묵펄프의 백색도 변화 (Analysis of brightness decrease originated from mixing of flexo printed ONP and OCC in ONP recycling process)

  • 류정용;송봉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9-123
    • /
    • 2011
  • The application of flexo printed ONP and OCC leads to brightness decrease of deinked stock in ONP recycling system. The largest problems are due to accumulation of flexo ink & introduction of brown fibers. All these are emphasized by variations in the amount of flexo printed ONP and OCC in recovered ONP stock. Most of the brightness problems caused by flexo ink can be helped and solved by applying a proper polyelectrolytes as coagulation agent and flocculation agent. This requires exact evaluation of sedimentation or dissolved air flotation potentials of flexo ink and polyelectrolytes. Effect of bleaching chemical (H2O2) addition level on the increase of brightness of OCC included stock has been investigated by lab scale test.

  • PDF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세치제의 치아미백효능에 대한 임상적 실험 연구 (A clinical experimental study on tooth whitening effectiveness in toothpaste of containing natural extracts)

  • 윤현서;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9
    • /
    • 2018
  • Objectives: Despite a rise of an interest in tooth whitening, diverse problems are being caused in case of hydrogen peroxide that is being used as a tooth bleaching agent. Thus, the aim was to examine tooth whitening effectiveness using natural products as a plan for supplementing this. Methods: 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a tooth color through using VITA Easyshade V after having developed toothpaste with the application of extracts such as Citrus Peels,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strawberry, and lemon, and then having used it for 10 weeks, they are as follows. Both upper and lower 6 anteriors mostly got brighter.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especially in the right canine (p=0.015), in the right central incisor (p=0.007), and in the left central incisor (p<0.001). In consequence of having measured a color change, the tooth got brighter gradually in the higher extract content and in the lengthier use time. In case of canine, it got less bright compared to other teeth. In the outcome of evaluating sensuality, most of the questions were indicated to be high in case of using a whitening toothpaste for 10 weeks. But in what "there is no stickiness in the mouth, the stickiness was more felt in the use up to 5 weeks, but was improved in 10 weeks. Conclusions: The bleaching effectiveness was proved by developing a toothpaste with the application of natural extracts. A short-term effect cannot be seen like a whitening agent of using hydrogen peroxide. But there is a continuous effect in consideration of tooth-brushing more than 3 times a day.

치경부의 상아세관을 통하여 추출된 표백제가 배양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BLEACHING AGENT LEAKED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OF CERVICAL AREA ON CULTURED FIBROBLAST CELLS)

  • 추광문;최기운;한두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155-16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eaching agent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of cervical area in the intracoronal bleaching of pulpless teeth on cutured fibroblast cells. Extracted human incisors were enlarged to # 40 K-file and obturated with gutta-perella and AH 26 sealer. The gutta-percha was removed to 2mm below the cementoenamel junction of the root The teeth were divided into 3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xperimental groups; Experimental group 1: Temporary inlay wax filld with 30% $H_2O_2$ in pulp cavity. Experimental group 2: Temporary inlay wax filld with 30% $H_2O_2$ in pulp cavity after placement of ZOE cement to cementoenamel junction. Experimental group 3: Temporary inlay wax filld with 30% $H_2O_2$ in pulp cavity after application of Copalite to cementoenamel junction. Control group: Temporary inlay wax filled without 30% $H_2O_2$ in pulp cavity under the same condition at each experimental group. Each tooth was immersed in well of multidish cultured fibroblast cell for 48 hours. The cellular multiplication and cell viability were calculated at the interval of 1, 3, 5. 7 hours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well were observed and their photographs were taken with inverted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CD The cellurar multiplicaton and cell viability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t 1 hour after experiment and the morphology of fibroblast cell was changed from star shape to round (2) The cell viability was lowered to 34 % in experemental group 1, 44 % in experimental group 2, and 38 % in experemental group 3 at 3 hours after experiment (3) The cell multiplication was decreased to 54% in experemental group 1. 47% in experimental group 2, and 40% in experemental group 3 at 7 hours after experiment. (4) The decrease of cell number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fibroblast cell were remarkable in experimental group 1, group 3 and 2 in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broblast cells receive severe damage by 30% $H_2O_2$ solution leaked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and the dentinal tubules are able to be obturated better by ZOE cement than by Copal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