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soun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보안물건이 근접한 소단면 철도 단선터널 굴착시 전자발파 시공사례 (Electronic Blasting for Excavating Single Line Railway Tunnel Close to Residential Area)

  • 이민수;김희도
    • 화약ㆍ발파
    • /
    • 제34권3호
    • /
    • pp.17-20
    • /
    • 2016
  • 소단면 철도 단선터널 발파시 보안물건과 근접한 구간에서 진동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심발공법을 다단평행 미진동 전자발파 공법을 적용한 전자발파시시템(EBS)으로 시험발파를 실시하였다. 시험발파결과 진동소음 허용기준대비 진동 23.5%, 소음 75% 수준으로 측정이 되어 전자발파 공법으로 지속적으로 발파를 실시 완료하였으며 또한, 시험발파를 바탕으로 본 시공에서도 공사기간 단축, 공사비 절감, 민원방지 효과를 얻었다.

154kV 대신 S/S인출 전력구 시험발파 패턴 및 진동, 소음 계측에 의한 기존 CRACK에 미치는 영향 연구 (On the Study of Blasting Vibration, Sound by Measuring Gage Influence to Exist Crack in 154kV Daeshin Electric Cable Tunnel)

  • 강대우;박태원
    • 화약ㆍ발파
    • /
    • 제16권3호
    • /
    • pp.25-34
    • /
    • 1998
  • This area is covered in Andesite of high compression strength and located in PUSAN SEO-KU. There are many old houses around shaft site. So, we must have a cautious blasting operation. A total of 40 blasts were test at DAE-SHIN Shaft site to study the magnitude and frequency characterization of blast-induced vibration. The effect of viblating frequency on structual damage and site-specific scaling to define th empirical equations were also discusse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ome empirical equations were obtained. $V=K\{{\frac{D}{W}}1/3\}^{-n}$ where the values for n and K are estimated to be -1.407 to -2.202 and 643.3489 to 7283.2104 respectively. 2. Dominant frequencies at short distance are in the range of about 75.0 to 91.8 Hz, with some exceptions of about 50Hz, Frequencies observed at long distance are in the range of 10 to 2Hz. It is apparent the shift of dominant frequency down to lower levels at long distance.

  • PDF

고층아파트 인근 발파작업시 진동 및 폭음이 층별로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lasting Vibration and Sound on each Floor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 during Blasting Operation)

  • 양국정;심동수;이종식;강대우
    • 화약ㆍ발파
    • /
    • 제20권1호
    • /
    • pp.15-23
    • /
    • 2002
  •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과 주택정책으로 좁은 국토면적에 많은 주택을 보급하기 위하여 다세대 주택인 고층 아파트가 많이 신축되고 있으며, 고층 건물의 규모 및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인근 건축물과 근접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구조물의 신축.증축 및 지하철 공사나 통신선로 등의 지하공간의 활용에 따라 타 공법보다 공사의 진행속도가 빠른 발파작업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도심지에서 인근 고층 구조물 및 건축물에 발파작업으로 인한 진동 및 폭음 등의 민원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공해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지역은 부산 명장동의 "B초등학교 교지정지 및 교사 신축공사" 현장으로서 인근 고층아파트 103동, 104동 및 105동의 1층, 6층, 11층 및 16층에 계측기를 설치하여 발파작업으로 인한 진동 및 폭음이 층별로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검토하고자 하였다.

터널 굴진으로 인한 지상구조물에 미치는 지하수, 진동 및 소음 영향에 대한 조사연구 (On the study of Blasting Vibration Sound & Underground water Influenced to Building Structure in the Shaft sinking and Tunneling)

  • 허진
    • 화약ㆍ발파
    • /
    • 제14권3호
    • /
    • pp.3-9
    • /
    • 1996
  • The scope of this cable works was as follows, it was drilled two shafts, NO. 1 shaft (${\phi}6.8m{\times}31m$), NO.2 shaft (${\phi}6.8m{\times}33m$), ) and it was connected two shaft in Tunneling. The first, it was needed to investigate the surey of influenced of vibration and noise by blastig to near by housing structure. 2nd, it was essential to decide the boundary line of influenced for agriculture water and portable water, by draw down of underground water. Blasting works has been done successfully without any problem, but by draw down of underground water, with in 250m level from #1 shaft, agriculture well drilled 8 place and portable water well drilled 7 place for near by farmers.

  • PDF

터널 내 작업소음 평가 (The Evaluation of Work Noise in Tunnel under Construction)

  • 윤창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03-107
    • /
    • 2014
  • To assess a various of workplace noise environment in the tunnel construction site,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while tunnel constructing work. This study focuses on the sound attenuation according to the soun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various works in the tunnel. Also, the noise distribution while blasting work is measured according to distance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boring processing, muck treatment, and tunnel lining by distance are measured for the noise distributions.

수변 공사에 의한 충격음의 특성과 어류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Impulsive Noise of Waterfront Construction Site and Its Effects on Fishes)

  • 배종우;박지현;윤종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9호
    • /
    • pp.928-934
    • /
    • 2009
  • Underwater impulsive sound such as underwater blasting noise, piling noise and stone breaking hammer affects marine animal hearing response and organs.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mpulsive noise from waterfront construction site and their effect on fish. Time constant, peak pressure, energy and SEL(sound exposure level) of four different underwater impulsive sounds are quantified. Auditory and non-auditory tissue damage ranges are derived by comparing their quantities to the exposure criteria for fish. Damage ranges of auditory tissue and non-auditory tissue of underwater boring blast of 150 kg of charge, are about 100 m and 300 m, respectively. Other three impulsive sounds also gives damage effects but less than that of underwater boring blast.

초유폭약속에 에어튜브(Air Tubes) 발파방법의 진동 및 폭음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Vibration and Sound Level from Air Tubes Blasting using ANFO)

  • 김용균;이천식;강대우
    • 화약ㆍ발파
    • /
    • 제21권1호
    • /
    • pp.49-58
    • /
    • 2003
  • 현재 발파의 수행은 채석, 채굴 및 지하철과 도로, 건축, 토목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파특성의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이 도출되고 있고 사용되지만 발파에 의한 공해인 진동 및 소음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또한 이들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공법들이 시행되고 개선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발파공법과 Air tubes를 이용한 발파공법을 비교하므로 화약의 사용량을 보다 감소시키고, 기존 전색의 길이를 줄이므로 폭약의 투사면적을 증대시켜 진동 및 폭음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파쇄입도를 얻고 상부의 대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발생하는 진동 및 발파폭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노천발파 및 진동, 소음에 민감한 도심지 발파에서 그 이점을 활용하여 보다 안전적이고 경제적인 발파작업을 수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음압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and Sound Pressure Transmission by Controlled Spall Blasting Method)

  • 김식;정영준;김남수;조용소
    • 화약ㆍ발파
    • /
    • 제21권3호
    • /
    • pp.17-22
    • /
    • 2003
  • 발파작업에서 발생하는 공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나 정신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 제어발파를 시행하고 있다. 이완식 제어발파는 발파의 규모가 일반발파와 비교하여 작고, 대상 구조물이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그 전달특성이 다를 수 있다. 근거리에서 계측된 발파진동의 특징은 고주파이고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다. 본 연구는 국내의 8개 지역에서 계측한 자료를 분석하여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전달 특성에 관하여 국내의 현장에서 시공 전에 진동을 추정할 수 있는 진동전파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어발파시에 사용하는 폐타이어를 부착한 철재매트에 의한 폭풍압의 저감 효과와 전달특성을 분석하였다.

발파하중을 받는 지반의 동적 거동 수치 모델링에서 입력변수의 영향 (Effects of Input Parameters in Numerical Modelling of Dynamic Ground Motion under Blasting Impact)

  • 류창하;최병희;장형수;강명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3호
    • /
    • pp.255-263
    • /
    • 2015
  • 화약발파는 광업 및 토목 분야에서 암반굴착을 위한 도구로 많이 사용되는 유용한 방법이지만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종종 위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발파 설계자는 피해를 방지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적정 설계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며, 설계 단계에서는 시험 발파나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의 적정성 평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치해석적 방법에서 발파와 같은 동적 하중과 그에 대한 암반의 응답 거동에 영향을 주는 많은 변수들이 입력 자료로 설정되어야 하지만, 신뢰성 있는 물성을 획득하기 어려운 설계 단계에서 입력자료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설계에 반영할 것인가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은 화약발파를 이용하여 터널과 같은 지하공동을 굴착할 때 암석의 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입력 변수들이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입력 자료에 대한 중요도를 이해하고 설정지침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건설 소음.진동의 사전 영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liminary Influence Analysis of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 안명석;김화일;박주한
    • 화약ㆍ발파
    • /
    • 제32권2호
    • /
    • pp.25-30
    • /
    • 2014
  •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은 일시적이고 간헐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영향은 매우 크다. 건설기계의 적은 소음 진동이라도 발생하면 먼 거리까지 전달되어 차음 및 방진 등의 대책이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의 소음 진동 안전기준을 30m로 적용하였고 발파소음은 60m, 진동은 160m로 적용하였다. 지금까지는 2D를 사용한 모델링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건물이나 산과 언덕 등 크기와 높이를 고려한 3차원 3D 모델링으로 측정 분석하여서 정확도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