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efficienc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2초

비대칭 V-cut의 갱내 광산에 대한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Asymmetry V-Cut method in Underground Mine)

  • 김정규;정승원;김준하;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520-533
    • /
    • 2021
  • 갱내채광개발의 안정성 문제로 굴착단면을 축소하였을 때 발생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파효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발파 설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생산발파, 생산발파에 확대공을 2열 추가한 1차 제안발파 그리고 확대공에 1열만 추가하여 비대칭을 이루는 2차 제안발파의 발파효율을 비교하였다. 발파효율 평가지표로는 굴진율과 파쇄입도로 선정하였다. 굴진율의 경우 일반대비 1차 제안발파는 6.07%, 2차 제안발파는 4.65% 향상하였고, 파쇄입도의 경우 P80 기준으로 일반발파 대비 1차 제안발파는 약 58%, 2차 제안발파는 약 47% 파쇄입도가 감소하였다. 평가지표에 따라 1차 제안발파가 2차 제안발파보다 좋은 발파효율을 보이지만, 평가지표의 결과의 차이가 미비하여 1차 제안발파에 추가적으로 소요된 작업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2차 제안발파인 비대칭 V-cut이 현장에 더 적합한 발파설계라 판단된다.

오픈 블라스팅 로봇에서 관로내의 그리트 가압이송 특성 (Pressurized Pneumatic Grit Conveying Characteristics in Pipeline for Open Blasting Robot)

  • 김원배;양석원;이상범;김수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185-1189
    • /
    • 2007
  •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essurized pneumatic grit conveying for ship block open blasting process. Pressurized pneumatic grit conveying is defined as the transportation of grit(abrasive) in a compressed air flow. Total Pressure loss in flexible hose for pneumatic conveying is sum of pressure losses due to gas and grit and needle type pressure transmitter for measured pressure loss. haracteristics of grit open blasting by pneumatic conveying were studied experimentally. Studies variables were blasting nozzle ID, length and ID of flexible hose, grit flow rate, flow rate and pressure of transport air. It was experimentally proved that optimal open blasting condition and cost effective operation regarding grit blasting, obtaining a high qulity surface preparation(Sa $2^{\frac{1}{2}}$).

  • PDF

화약의 폭속이 발파에 미치는 영향 검토 (The Influence of the Detonation Velocity of Explosive in Blasting)

  • 이승찬
    • 화약ㆍ발파
    • /
    • 제23권3호
    • /
    • pp.43-56
    • /
    • 2005
  • 폭속은 화약에서 폭굉의 전파속도이다. 화약의 폭굉 속도는 발파 환경이나 시험 조건 하에서 제품의 성능과 관련된 주요한 변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발파현장이나 시험장에서 가장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화약의 특성치이며 또한 정확한 수치로 측정 할 수 있어 품질 평가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발파에 있어서 폭속과의 관련성을 논의 및 분석한다. 발파 기술자에게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폭속과 발파 공정 관의 관련성을 정밀히 검토해보았다. 그러나 폭속과 폭약의 품질, 효율성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보드릴 자동천공 시스템 도입에 의한 발파효과 향상 (Advancement of Blast Effect by Inducing Drill Jumbo on Automatic Drilling System)

  • 김승준;김정규;고영훈;안제민;김남수;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4권2호
    • /
    • pp.10-17
    • /
    • 2016
  • 발파작업을 위해 필요한 천공작업은 발파의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발파를 위한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천공오차는 잔류공 및 여굴 발생, 불균질한 파쇄입도 등 발파효율 저하요인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정확한 천공을 위해 자동 천공 점보드릴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공간격, 저항선의 천공오차율 0~2.6%로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90%이상의 굴진율, 전체 굴착량 대비 여굴량 4.3%, 50cm 이하 파쇄석 비율 89%~95% 등 발파효과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발파 Cycle time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뇌관(HiTRONIC II™)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 사례 (A Case Study on the Shaft Construction Using Electronic Detonators)

  • 황남순;진근우;여진혁;정동호;김연홍
    • 화약ㆍ발파
    • /
    • 제38권2호
    • /
    • pp.22-35
    • /
    • 2020
  • 최근 전자뇌관은 다양한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흔히 전자뇌관은 발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일반뇌관에 의한 발파작업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보안물건이 근접하여 기계식굴착 공법이 적용된 현장에서 정밀한 발파작업을 위해 전자뇌관을 사용하고 있다. 발파현장에서는 전자뇌관을 이용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본 사례는 보안물건이 근접해 있는 지역에서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보안물건에 대한 허용기준치를 충족시키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시공사례를 소개한다. 한화에서 생산하는 하이트로닉II(HiTRONIC II™)를 사용하여 국내 및 해외 수직구 현장에서 작업을 시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직구 현장에서는 발파에 따른 소음과 진동 영향 때문에 굴착면을 분할하여 발파를 시행한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는 발파 굴착면을 1회에 전단면발파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서울지하철 3,4호선 Tunnel 굴착과 진동대책 조사연구(1)

  • 허진
    • 기술사
    • /
    • 제15권2호
    • /
    • pp.3-15
    • /
    • 1982
  • The study on prevention measures for vibration and excavation of tunnel for the #3, #4, Seoul Subway. In the Seoul subway tunnel blasting, the drilling pattern and prevention method to seismic vibration are as follows as well as for adaptions of NATM, the supportings of roof and wall holes are arranged with control blasting. 1. The blasting is executed basically using the low velocity explosive such as slurry, Nitrate ammonium explosive, and F-I and F-II explosive for control blasting substituting of existing dynamite. 2. The cut holes are arranged with burn cut pattern and also must be arranged with M/S electrical delay caps substituting of ordinary do]ay caps. 3. Jack leg drills are used in Five Job sites and a jumbo drill in one job site. 4. In performance of safety work and in maintenance of building safety. The drilling length for blasting will not exceed 1.20 meter for round so that the vibration value shall carry below 0.3cm/sec. The harmonizing of better powder, better drilling machine and better technique is only the way of improving tunnelling efficiency and less vibration will help the dereasing of accidence.

  • PDF

파시르 탄광에서의 발파진동의 전파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Blast Vibrations in Pasir Coal Mine)

  • 최병희;류동우;선우춘
    • 화약ㆍ발파
    • /
    • 제24권2호
    • /
    • pp.51-63
    • /
    • 2006
  • 인도네시아 파시르 탄광에서는 전형적으로 일자유면 발파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노천에서 지표면을 유일한 자유면으로 한 발파법이므로 구속이 커서 화약의 에너지가 저항선의 파괴에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발파의 부작용으로 간주되는 지반진동의 유발에 많이 소모된다. 현재 파시르 탄광에서는 모암의 제거를 위한 굴착발파에 이와 같은 일자유면 발파방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는 노천광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이자유면 발파인 계단식 발파에 비해 큰 지반진동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파시르 탄광의 경우 노천 채굴적의 양안이 연약사면으로 이루어진 곳이 많아 높은 지반진동 수준은 이들 사면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진동문제와는 별도로 일자유면 발파는 저항선이 하나뿐이므로 암반파괴의 측면에서도 발파효율이 좋지 않다. 따라서 파시르 탄광에서 나타나고 있는 발파의 비효율성과 진동증가 문제를 개선할 목적으로 새로운 발파공법에 대한 연구가 착수되었으며, 이 연구의 일환으로 현행 발파공법에 대한 조사가 기 수행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시르 탄광에서 수행한 지반진동의 계측과정과 결과를 현행 발파공법과 함께 제시하고, 측정된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를 통해 대상지역에서의 지반진동의 전파특성을 분석하였다.

Evaluation of blasting vibration with center-cut methods for tunnel excavation

  • Lee, Seung-Joong;Kim, Byung-Ryeol;Choi, Sung-Oong;Kim, Nam-So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5호
    • /
    • pp.423-435
    • /
    • 2022
  • Ground vibration generated repeatedly in blasting tunnel excavation sites is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hazards induced by blasting operation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inimize these hazards,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using electronic detonator, the deck charge method, the center-cut method among others Among these various existing methods for controlling the ground vib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t method. In particular,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V-cut method, which is commonly used in tunnel blasting, to the double-drilled parallel method,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unnel excavation site. To understand the rock fragmentation efficiency as well as the ground vibration controllability of the two methods, we performed in-situ field blasting tests with both cut methods at a tunnel excavation site. Additionally, numerical analysis by FLAC3D has been execut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fracture propagation pattern and ground vibration generation by each cut method. Ground vibration levels, by PPVs measured in field blasting tests and PPVs estimated in numerical simulations, showed a lower value in the double-drilled parallel compared with the V-cut method, although the exact values are quite different in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estimation.

일자유면 암반 굴착을 위한 신바파공법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w drilling and blasting method for excavaton of rock mass with one free surface)

  • 임재웅;윤영재;서정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4권3호
    • /
    • pp.237-249
    • /
    • 1994
  • A new type of cut method, called SK-cut,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V-cut and Burn-cut blasting methods. Total 190 times of test blasts wer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new blasting method. V-cut, Burn cut and SK-cut were compared by applying them to the excavation of main gallery and construction tunnel of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Test results showed that excavation efficiency of the new method was increased by 5.9~9.8% and that specific charge was reduced to 71~92%.

  • PDF

발파공의 천공오차와 발파정확도의 상관성에 관한 현장조사 및 계층분석기법 연구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Drilling Error and Blasting Accuracy)

  • 이덕환;최성웅;김창오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5호
    • /
    • pp.386-394
    • /
    • 2014
  • 발파를 이용한 채광작업에 있어서 천공의 정확성은 발파의 효율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따라서 천공오차의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과 천공오차의 발생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은 발파의 효율성 및 안전성 확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공오차의 발생 원인을 제어가능 요인과 제어불가능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현장조사와 AHP 분석을 통하여 천공오차를 유발하는 요인들의 영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간의 가중치 분석을 통해 천공오차를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