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locus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단판 적층성형 학생용 책상.의자의 제조적성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Desk and Chair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 서진석;박종영;한기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9-65
    • /
    • 2005
  • As physical condition of students improv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human body-friendly desk and chair for students. In this study, desks and chairs were manufactured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under high frequency heating and pressing, using ten wood species such as Japanese red pine, Korean pine, pitch pine, Japanese larch, yellow poplar, black locust, oak, radiata pine, beech, and birch. The performance of these product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high frequency heating, the turned lamination of veneers with full size sheet ($3{\times}6\;feet$) prepared by rotary lathe peeling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making the members of desk top, leg frames of desk and chair. Bending strengths of desk tops were relatively greater for yellow poplar, black locust and red pine,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beech and birch. Bending strengths of desk legs were classified into greater species group (red pine, yellow poplar, larch) and lower species group (radiata pine, Korean pine, pitch pin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ir legs in parallel direction to the lamination were greater in black locust and larch.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between outer and inner gap at the top and drawer bottom of desk top were rather larger for the laminations of birch and beech, and less for those of yellow poplar and pitch pine, showing greater stability of open drawer space. In results, yellow poplar, larch, pitch pine and red pine showed good appearance and strength properties at the curved veneer lamination. Accordingly, it was believed that these domestic woods were able to substitute for birch which was being imported for the use of veneer-laminates type furniture.

  • PDF

국산재(國産材) 묘목가구(苗木家具) 제조(製造)를 위한 Microwave-heating system 활용(活用)에 관한 연구(硏究)(III) - 목재(木材) 함수율(含水率)이 microwave휨가공성에 미치는 영향(影響) -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crowave-heating System to Manufacturing Bent-wood Furniture(III) - Effect of wood moisture content on bending processing by microwave-heating -)

  • 소원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2-50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수입외재의 국산재대체를 위해 전 국토에 널리 분포하고있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Bl.)를 대상으로, 곡목가구재(曲木家具材)로서의 용도개발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목재의 함수율 증가에 따른 휨가공특성의 변화를 구명함으로써 microwave곡목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icrowave곡목제조시 목재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아까시나무와 서어나무 모두 최소곡율반경(最小曲率半經)이 감소하므로서 휨가공성이 개선되었으며, 아까시나무와 서어나무의 휨가공성에 영향하는 목재의 임계함수율은 50%로 측정되었다. 또한 microwave곡목법에 의한 아까시나무와 서어나무의 휨가공성능은 생재휨가공시 최소곡률반경이 각각 60mm와 40mm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some gelling agents and blends and their effects on shoot multiplication

  • Dobranszki, Judit;Magyar-Tabori, Katalin;Tombacz, Etelk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4호
    • /
    • pp.345-352
    • /
    • 2011
  •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blends of agar/guar gum, agar/Phytagel and Phytagel/guar gum were analysed and compared to those properties of agar or Phytagel applied alone at two different gelling concentrations. Moreover, their effects on the shoot multiplication of the apple scion Galaxy and two black locust clones (SF63, SF82) were studied, and their cost benefits over agar were calculated. Elastic hydrogel formation was demonstrated for each blend by rheological measurements, but the gel strength depended on th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the applied gelling agents and blends. Guar gum was able to speed the diffusion in the different blends, and diffusion was independent of gel strength. The rate of shoot multiplication increased (to 8.9 shoots per explant) and the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decreased (to 12%) when the blend of agar/guar gum was used for the shoot multiplication of apple. Similarly, the highest multiplication rates of black locust clones (between 3.9 and 4.1) were obtained on media solidified by blends containing guar gum. The best shoot performance with the lowest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11-12% in SF63 and 2-23% in SF82) was achieved using agar alone or the agar/guar gum blend. The shoot multiplication was improved of both species and the production cost was reduced by 42% by using the agar/guar gum blend.

아까시나무모자이크병에 관한 연구 I. 병징 및 접목전염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I. Symptom and transmission by grafting)

  • 김종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5
    • /
    • 1964
  • 한국 전역에 널리 발생하는 아까시나무의 모자이크병에 대해서, 그 병징을 관찰 기재하고 접목전염시험을 하였다. 본병은 전형적인 mosaic의 양상을 이루며, 접목에 의하여 용역하게 전염되는 것으로 미루어 일종의 virus병으로 생각된다. 접목전염시험에 있어서는 건묘에 병수를, 또는 병근에 건수를 접함으로써, 공히 용역하게 전염시킬 수 있었다. 건묘에 병수를 접한 것에서는, 접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10-30일) 접수(병)를 박리한 것이, 박리않고 그대로 방치한 것에 비하여 훨씬 감염발병이 양호하였으며, 대목과 접수가 접착한 10-30일간에 있어서의 접착기간의 장단에 따르는 감염율의 증감은 인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대목과 접수(병)의 유착이 안되었을 경우에도 전염이 되었다. 목병은 그 병징, 접목에 의한 전염, 그리고 즙액전염의 가능(미발표) 등으로 미루어 Atanasoff(1935), 그리고 Milinko등(1961)이 보고한 동남유럽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 mosaic disease와 근연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편 김명오 등(1961)은 한국에 아까시나무 witches broom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록했는데, 이는 본 모자이크병을 가리킴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Rate of Soil Respiration at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Jinju Area

  • Moon, Hyun-Shik;Jung, Su-Young;Hong, Sung-Ch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71-376
    • /
    • 2001
  • The rate of soil respiration to varying stand ages was studied in four Robinia pseudoacacia stands(18-, 23-, 28- and 35-year old) throughout one year from September 1998 to August 1999. Soil temperatures showed a pronounced seasonal pattern, in contrast to soil moisture. The highest rate of soil respiration was generally found in August when soil temperatures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 January. The daily rate of soil respiration amounted to 5.51($g\;CO_2{\cdot}m^{-2}{\cdot}day^{-1}$) for 18-year old stand, 5.28 for 23-year old stand, 8.29 for 28-year stand, and 2.67 for 35-year old black locust stand, respectively. The $Q_{10}$ values were ranged between 1.63 and 1.66, averaging 1.65 for the R. pseudoaca'cia stand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il temperature and soil respiration for all four stands(r=0.96 to 0.97). Among the study stands, the annual rate of soil respiration was the highest ($3.03kg\;CO_2{\cdot}m^{-2}{\cdot}yr^{-1}$) for 28-year old stand.

  • PDF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Robinia pseudoacacia)

  • 천원수;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7-131
    • /
    • 2016
  • 2014년 안동, 문경, 청송의 야산에 있는 아까시나무에서 잎에 검은 반점이 형성되었다. 이 반점은 점차 회갈색 혹은 회색으로 변하며,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검은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소형 병반에서는 검은 반점뿐만 아니라 노란 halo를 형성하기도 하기도 한다. PDA 배지상에서 균총은 흰색을 띠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렌지색의 분생포자층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방추형이었으며, 크기는 $8.3-17.2{\times}2.5-4.1{\mu}m$였다. 부착기는 암갈색의 곤봉형으로 크기는 $8.1-12.3{\times}4.1-6.4{\mu}m$였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 acutatum과 일치하였다. 아까시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 병을 C.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유묘의 뿌리혹 형성에 적절한 배양토, 질소, 인 수준 구명에 관한 연구 (Optimum Potting Medium and Nitrogen and Phosphorus Levels in the Soil for Root Nodule Formation in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Seedlings)

  • 이경준;이현웅;김태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43-453
    • /
    • 2012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유묘에서 뿌리혹 형성에 가장 적절한 배양토의 종류와 토양의 양료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상업용 상토, 완숙 혹은 미숙 퇴비, 유기질 비료, 산림용 고형비료, 화학비료 등의 토양 첨가물을 이용하여 질소와 인의 수준을 다양하게 조절한 후 포트에 아까시나무 종묘를 식재하여 3개월 간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여 초기 뿌리혹 형성에 적절한 토양 환경을 조사하였다. 피트모스, 질석, 지올라이트를 함유한 상업용 상토는 높은 보수력으로 인해 초기 활착과 건중량 생산에는 적절하였으나 무기 양료 중 질소(0.052%), 인(91 ppm)의 부족으로 인해 뿌리혹 형성에는 부적합하였다. 퇴비는 미숙 퇴비이건 완숙퇴비이건 구별 없이 뿌리혹 형성에 가장 유리했는데, 질소(0.08-0.21%)와 인(141-1,228 ppm)의 함량이 적절하였지만, 칼륨(0.14-1.58 cmol/kg)의 함량은 부족한 편이었다. 화학(복합)비료는 토양 내 질소(0.14-0.21%), 인(406-618 ppm), 칼륨(1.39-3.13 cmol/kg)의 함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초기 건중량 생산에는 지장을 주지 않았지만 뿌리혹 형성에는 부적절하였다. 산림용 고형비료는 뿌리혹 형성에 적합한 반면, 유기질 비료는 뿌리혹 형성에 적합하지 않았다. 배양토에는 적절한 수준의 질소(0.05-0.2%)와 인(100-600 ppm)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 초기 뿌리혹 형성이 제대로 이뤄졌다. 아까시나무 유묘의 경우 토양의 질소와 인 중에서 질소보다 인이 초기의 뿌리혹 형성을 더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조림지(造林地)에서 천이(遷移)의 예측(豫測)과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 (Prediction of Succession and Silvicultural Control in the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 윤충원;오승환;이준혁;주성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29-239
    • /
    • 1999
  •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천이(遷移)를 예측(豫測)하고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에 필요한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단위(植生單位)를 구분(區分)하였고, 아끼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出現)한 주요(主要) 종(種)의 경쟁(競爭) 및 천이(遷移)를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植生)은 I. 굴참나무군락(群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 며느리배꼽군락(群落)(Persicaria perfoliata community), III. 때죽나무군락(群落)(Styrax japonica community), IV. 깨풀군락(群落)(Acalypha australis community), V. 전형군락(典型群落)(Typical community)의 5개 군락(群落)으로 구분(區分)되었고, 이러한 군락수준(群落水準)의 식생단위(植生單位)는 군(群)(group) 또는 소군(小群)(subgroup)의 하급단위(下級單位)로 세분(細分)되었다. 식생단위별(植生單位別)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식생단위(植生單位) 상호간(相互間)에 유의(有意)한 차이를 보였다. CCA법(法)에 의해 식분(植分)을 배열한 결과 1축상의 배열은 해발고, 모래함량, 미사함량 및 유효인함량과 2축상의 배열은 질소, 칼슘 및 칼륨함량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한 주요 종(種)의 경쟁상태(鏡爭狀態)와 천이경향(遷移傾向)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천이(遷移)의 진행(進行)에 따라 향토수종(鄕土樹種)인 참나무류(類), 단풍나무류(類), 벚나무류(類) 등이 혼재(混在)하는 숲으로 천이(遷移)가 진행(進行)될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조직배양에 의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의 개량 I. 대량증식과 체세포배 발생 (Improvement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Through Tissue Culture. I. Micropropag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 우종호;최명석;정은이;정원일;조진기;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41-47
    • /
    • 1995
  • 기내발아된 치묘를 사용하여 아까시나무의 기내대량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고, 미성숙 접합배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기내줄기 대량증식에는 MS기본배지에 1.0mg/l BAP와 0.01mg/l NAA를 첨가해 주었을 때 평균 10.5개의 줄기가 발생되었다. 같은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된 MS배지에 침으로 자극한 잎을윤 치상하였을 때 13.5개의 줄기가 탄생하였다.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있는 $AgNO_3$을 50mg/l 첨가해 주었을 때 줄기기부에 callus발생을 줄여 정상적인 줄기생장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줄기는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2MS 기본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완전한 식물체로 자랐다 LS배지에 2, 4-D와 BAP를 단용 또는 혼용한 배지에 발육단계가 다른 여러 가지 접합배를 이식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수정 4주된 접합배를 1.0mg/l 2, 4-D를 첨가한 LS 배지에 배양했을 때 14.3%의 체세포배를 얻었다. 이들 체세포배는 매우 낮은 빈도로 완전한 식물체로 발전하였다.

  • PDF

Allopathic Effect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Analysis for Its Allelochemicals

  • Lee, Chul;Park, Ju-Yong;Kim, Jung-Hee;Park, Young-Goo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19
    • /
    • 2003
  • 아까시나무에 있어서 알레로파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아까시나무를 포함하여 13개 수 종에 대한 종자발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까시나무의 뿌리와 잎의 침출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침출액에 대한 종자 발아실험 결과 수종에 따라 실험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잎 침출액에서 아까시나무 종자 발아는 30%가 억제되었다. 실험한 수종가운데 무궁화와 오리나무는 뿌리 침출액에서 억제되었으나 누운측백나무는 잎의 침출액에서 발아가 억제되었다. 아까시나무의 잎과 뿌리 침출액을 HPLC분석 한 결과 알레로파시 효과를 가지고 있는 8종류의 authentic phenolic compounds를 찾아냈다. 잎에서는 전체 페놀물질 중 40%를 차지하고 있는 gentisic acid를 뿌리에서는 syringic acid와 vanillicacid를 발견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뿌리에서.보다 잎에서 7배가 많은 phenolic acids가 추출되었다 조사된 8개 phenolic acid 중에서 뿌리에서는 vanillin만이 잎에서는 coumaricacid 만이 발견 되었다. 결과적으로 13수종 중에 3개 수종에서 잎과 뿌리의 침출액에서 종자 발아가 억제되었다. 종자발아 시험결과 아까시나무의 화학물질의 상호작용은 수종에 따라 차이가 많이 있음을 밝혀냈다. 아까시나무의 phenolic compound 총량은 알레로파시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이들 물길의 상승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