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barley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기장 및 수수의 바이러스병 발생 조사 (A Survey of Viral Disease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nd Sorghum (Sorghum bicolor L.) in South Korea)

  • 민현근;박충열;이홍규;염윤아;오종희;김봉섭;임승모;윤영남;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62-267
    • /
    • 2017
  •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5개 지역에서 기장 101점, 수수 200점의 시료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에 대해 paired-end RNA sequencing, RT-PCR 진단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경상도에서 채집한 수수에서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가 검출되었으며, RBSDV, Rice stripe virus (RSV), Barley virus G (BVG), Cereal yellow dwarf virus (CYDV) 4종의 바이러스가 기장에서 검출되었다. 기장에서 검출된 4종의 바이러스 중 RSV와 RBSDV는 경상도에서 채집한 시료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반면, BVG는 5개 지역에서 모두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이미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바이러스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장과 수수에서 RBSDV를 처음으로 동정하였으며, 수수에서 검출된 CYDV는 기존에 보고된 CYDV 분리주와 상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아 Polerovirus 속의 신종 바이러스로 예상된다.

곡물배지가 느타리버섯의 균사배양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grain media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nd its biofunctional activity)

  • 류현순;손미예;조용운;갈상완;이상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4
    • /
    • 2004
  •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 장류발효식품의 개발 및 버섯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상식하고있는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을 행하고 그 배양추출물의 생리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곡물을 냉수에 4시간 수침시킨 후 물 빼기를 한 다음 곡물 중량비에 대하여 수분을 25%(V/W) 전후로 첨가하고 증자시간을 30분 행하는 것이 느타리버섯 균사생육에 효과적이었다.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를 고체 배양한 결과 조와 보리쌀 배지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고 그 다음은 대두박과 검정콩 배지로 나타났으며 밀, 옥수수 및 현미배지에서는 생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균사추출물들이 폐암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 대두박, 현미, 보리쌀 및 검정콩 배지에서 비교적 높은 항암성을 나타내었고, 조와 밀의 배지에서는 낮은 항암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대두박, 밀, 조, 보리쌀, 현미, 검정콩, 옥수수배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Pseudomonas aeruginosa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곡물을 이용한 영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 for the mycelial growth of Ganoderma lucidum on Cereals)

  • 정인창;김선희;권용일;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81-88
    • /
    • 1996
  • 곡물을 이용하여 영지버섯의 균사성장에 적합한 고체배양 조건실험을 실시하였다. 냉침에 의한 곡물의 수분함량 변화는, 단엽콩이 11시간, 메주콩이 10시간, 검정콩이 12시간만에 hydration time에 도달하였고, 균사성장이 가능한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외 곡물인 보리, 수수, 율무, 밀, 현미는 각 5시간, 2.5시간, 4시간, 12시간, 10시간만에 hydration time에 도달하였으나 버섯 균사체가 성장하기에는 부족한 수분함량을 보였다. 냉침에 의한 곡물의 수분함량 변화는, 콩의 경우 침지 120분${\sim}$150분만에 65%정도의 수분함량에 도달하였으며, 보리가 17분, 수수가 30분, 현미가 40분, 율무가 60분, 밀이 120분만에 65%의 수분함량이 되어, 모두 균사배양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곡물을 이용한 담자균의 균사배양을 위해서는 온침에 의한 수분함량 조절이 더욱 적합하였다. 또한 종 시료의 경우는 침지과정과 살균을 병행하여 고체배양하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콩 무게의 1.1배로 수분을 첨가할 때에 배양기 바닥에 수분이 거의 남지 않아 균사배양에 적합하였다. 각 고체재료의 수분함량에 따른 균사성장속도 및 균사체량(glucosamine 함량) 측정에서는 시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분함량이 65%일 때 균사성장속도 및 균사체량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고체재료의 종류에 따른 균사성장속도는 보리 > 밀 > 율무=수수 > 현미 > 콩의 순이었으며, 각 고체재료의 종류에 따른 glucosamine의 함량은 밀 > 보리 > 현미 > 율무 > 수수 > 콩의 순서로 나타났다.

  • PDF

"임원십육지"의 곡물 조리가공(밥.죽)에 관한 문헌 비교 연구(I)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Cooking Product of Grain(Rice, Gruel) in Imwonshibyukji(I))

  • 김귀영;이춘자;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0-378
    • /
    • 1998
  • Imwonshibyukji was a copying manuscript written around 1825, the 27th year of king Soonjo of the Josun Dynasty. It was a massive home encyclopedia of total 52 books and 100 volumes. The unpublished 'Jeongjoji' of its 17-20th volumes analyzed the cooking methods on the steamed rice and gruel and studied the degree of their usefulness and medical values in the light of the cooking process science. The cooking method on the steamed rice was composed of 14 items, and the general introduction outlined 6 kinds of the rice. These were all quoted from Chinese literatures. The 11 items present the methods on the general production of the rice, 2 on the cooking process, and 1 on the preservation. The main material of the rice was rice, and others were naked barley, prosomillet, foxtail millet, glutinous millet, etc. , and the secondary materials were glutinous rice, small red bean, black soybean, potato, bamboo seed, jujube, taro, gaertner, chestnut powder, persimmon power, julib(Zizania caduciflora), mangcho(Erigeron canadensis), namchok(Nandina domestica), licorice root, nitrous, peach, palmicha(schizandra, jinseng, cheonmoondong(Asparagus), and honey are mixed), etc. The literatures quoted in the rice were all 33, in which 23 were Chinese (69.7%) and 10 were Korean (30.3%). In the case of gruel, the cooking methods on the general gruel were described in 41 items, and on the gruel for a medical treatment were in 48 items, in which there was not a cooking method on the gruel but only its medical values were presented. The materials used for the general gruel were approximately 60 kinds: rice, glutinous rice, munbean, job's tears, rye, soybean, black sesame seed, antler of cervidae, chicken, crucian carp, and various medical materials, etc. The gruel was mainly used for protection and medical treatment, and partly for food for hungry people. The literatures quoted in the gruel were total 57, in which 26 were Korean(45.6%), and 31 were Chinese (54.4%). It can be their characteristics that Almost all of the Chinese literatures on the methods of the steamed rice and gruel do not exist.

  • PDF

누룩원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쌀약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 이승주;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9-123
    • /
    • 2010
  • 쌀을 주원료로 누룩 원료만을 교체하여 제조한 약주의 경우도 시료별 다양한 관능특성을 나타내어 누룩 원료 사용 변화를 통한 관능특성 다양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20)에서 떫은맛, 쓴맛, 곰팡이냄새, 유기용매 냄새는 기호도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누룩향미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묘사분석 결과 바람직한 관능특성을 나타낸 누룩의 원료로 찹쌀, 찹쌀흑미, 멥쌀, 쌀보리, 메밀, 현미를 선정하고 흑미의 경우 신맛은 높았으나 전반적인 패널의견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선정에 포함하였다. 향후 선정된 7종의 곡물을 바탕으로 미생물 분리 및 동정을 통해 우수 균주를 선발하고 이를 통해 누룩 원료 및 미생물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s anti-diabetic function

  • Kim, Misook;Kim, Eunji;Kwak, Han Sub;Jeong, Yoon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602-606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We investigated total 26 ingredients of Saengshik which will be commercially produced as an anti-diabetic dietary supplement. SUBJECTS/METHODS: Thirteen vegetables, nine cereals, three legumes and one seed were extracted with aqueous ethanol for 2 h at $60^{\circ}C$, and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nd fo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RESULTS: All ingredients inhibited ${\alpha}$-amylase activity except cabbage. Strong inhibitory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observed in leek, black rice, angelica and barley compared with acarbose as a positive control. Stronger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found in small water dropwort, radish leaves, sorghum and cabbage than acarbose. All Saengshik ingredients suppressed ${\alpha}$-glucosidase activity in the range of 0.3-60.5%. Most ingredients contained total phenols which were in the range of 1.2-229.4 mg gallic acid equivalent/g dried extract. Bu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not observed in carrot, pumpkin and radish. All ingredients contained flavonoid in the range of 11.6-380.7 mg catechin equivalent/g dried extract.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aengshik containing these ingredients would be an effective dietary supplement for diabetes.

FUNCTIONAL PROPERTIES OF SAENGSIK (SUBSTITUTE MEAL) FORMULATED WITH UNCOOKED CEREAL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Kim Sung Soo;Kim Kyung Tak;Hong Hee Do;Ha Tae Youl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od,Nutrition and Health for 21st Century
    • /
    • pp.170-177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ies of Saengsik (substitute meal formulated with uncooked cereal powder) such as functionality, safety and sensory preference by using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optimum formulation of fermented Saengsik (substitute meal) was verified as $40\%$ of fermented brown rice, $13\%$ of fermented job tears, $5\%$ of yellow soybean, $5\%$ of waxy rice, $5\%$ of sorghum, $3\%$ of Seumok bean, $1\%$ of sesame, $3\%$ of barley, $2\%$ of red bean, $5\%$ of prosomillet, $2\%$ of foxtail millet, $9%$ of black rice, $3\%$ of buckwheat, $1\%$ of chestnut, $2\%$ of pumpkin, $3\%$ of peanut. Fermented Saengsik decreased significantly serum glucose in STZ-induced diabetic rats. However, serum lipid levels were not affected by fermented Saengsik. In rats fed with high-fat diet,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slightly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liver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Saengsik.

  • PDF

사상체질과 음식 혈청 IgG 반응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Sasang Institution and Reaction of Food IgG Serum)

  • 금나래;유재희;송재승;권영은;장원희;배효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3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relation between food IgG serum and food classification for Sasangin match. Methods We recruited 10 Soeumin, 10 Soyangin, 10 Taeumin. We did a survey about food intake and obtained their blood samples. We detected IgG antigen reaction of 66 different foods using IgG exclusive Microarray assay. Results We found that IgG value of foods were correlated with Sasangin. Pork, shrimp and black tea h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constitution. The IgG response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frequency of intak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banana, chestnut, citrus, milk, mushroom, cucumber, barley, corn, pineapple, honey and abalon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partially matched to food classification for Sasangin.

참깨 P.E 멀칭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 (Studies on Lodging Control of Sesame fo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ivation)

  • 권병선;이돈우;이정일;이유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6-419
    • /
    • 1986
  • 본 실험은 우리나라 참깨의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효과를 보고자 장려품종인 안산깨. 단백깨, 광산깨를 공시하여 개화초기에 75$^{\circ}$ 45$^{\circ}$의 인위도복 처리와 도복방지 처리로서 개화시에 지주를 세워 처리간의 효과를 조사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초기에 75$^{\circ}$ 도복은 도복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장 감수정도가 커서 단작에서 75%, 맥후작에서 81% 감수되었다. 2. 개화초기의 무처리한 구에서는 단작직파에서 약간의 자연도복이 되어 18% 감수되었고 맥후작직파에서는 태풍피해로 75%의 큰 감수를 보였다. 3.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에서 개화초기에 지주를 세워 재배한 처리는 완전다수였다.

  • PDF

한국(韓國)의 보리해충(害虫)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sect Pests of Barley in Korea)

  • 권용정;안승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29-150
    • /
    • 1985
  • 본(本) 조사(調査)는 보리해충의 종합관리체계수립(綜合管理體系樹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잠재해충을 포함(包含)한 전(全) 해충목록작성 및 주요경계해충의 개체군동태(個體群動態) 파악(把握)과 각(各) 지역(地域) 및 보리품종(品種)에 따른 발생변동요인(發生變動要因)을 조사(調査)코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보리해충은 모두 32과(科) 77속(屬) 94종(種)이며 그중 20종(種)이 새로 추가(追加)된다. 우점도(優占度)로 본 주요경계해충은 애멸구, 보리수염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알락매미충, 보리굴파리, 벼줄기굴파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 알락수염노린재등(等)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보리품종별(品種別) 주요해충의 밀도(密度)는 팔달보리에서 가장 높았고 밀양 22호(號)가 가장 낮았다. 애멸구, 알락매미충, 알락수염노린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는 6월상순(月上旬), 벼줄기굴파리, 보리굴파리는 5월중순(月中旬), 진딧물류(類)는 5월하순(月下旬)에 각각(各各) 가장 높은 발생율(發生率)을 보였다. 천적(天敵)으로서는 긴날개쐐기노린재가 21.4 %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꼬마남생이무당벌레로 9.6%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주요경계해충이 보리수확기(收穫期)인 5월하순(月下旬)에서 6월상순(月上旬)에 걸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확량(收穫量)에 별 다른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 한 조생종(早生種)을 육종(育種) 보급(普及)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同時)에 이모작(二毛作) 지역(地域)의 조식재배(早植栽培)를 유도(誘導)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양22호품종(號品種)에 대(對)한 해충의 저밀도(低密度) 요인(要因)이 화학적(化學的), 물리적(物理的) 또는 생태적(生態的) 저항성(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지 그 여부(與否)를 규명(糾明)하여 장차(將次) 육종연구(育種硏究)에 도입(導入)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또한 경제적(經濟的) 해충관리를 위해서 보리후작(後作) 작물(作物)인 콩등(等) 전작물(田作物)과 벼로 이동(移動)하는 애멸구, 진딧물류(類), 노린재류(類), 인시류등(鱗翅類等)을 보리밭에서 1차(次) 방제(防除)를 하여 그 밀도(密度)를 저하(低下)시키는 방안(方案)과 각(各) 해충의 경제적(經濟的) 피해수준(被害水準)을 설정(設定)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