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sulfit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소나무 수피(樹皮)의 총합적(總合적) 이용(利用)(III) - 수피(樹皮) 중아황산염(重亞黃酸鹽) 증해폐액(蒸解廢液)의 특성(特性) - (Utilization of Pine Bark(III) - Characterization of Spent Liquor Obtained from Bisulfite Cooking of Pine Bark -)

  • 문성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54-60
    • /
    • 1994
  • The pine bark from mechanical pulp industry was cooked with bisulfite liquor, and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nt liquor after cooking for 90 minutes, which allowed partial defibration were determined. Lignosulfonate or lignin-related materials in the spent liquor have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3,000, which is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lignosulfonate (C-LS) prepared from wood. The sulfonic equivalent weight calculated by colloid titration was 307 for C-LS, 238~239 for spent liquor. The contents of lignosulfonic acid and phenolic hydroxyl groups on $C_9$ unit of lignin in the spent liquor were 0.98~0.99, and 1.51~1.66,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of C-LS. Especially the content of phenolic hydroxyl group was almost twice that of C-LS. The viscosity of spent liquor after freeze drying was very low compared to C-LS. The dispersing ability of spent liquor was almost equivalent to or more than that of C-LS.

  • PDF

Menadione Sodium Bisulfite-Protected Tomato Leaves against Grey Mould via Antifungal Activity and Enhanced Plant Immunity

  • Jo, Youn Sook;Park, Hye Bin;Kim, Ji Yun;Choi, Seong Min;Lee, Da Sol;Kim, Do Hoon;Lee, Young Hee;Park, Chang-Jin;Jeun, Yong-Chull;Hong, Jeum 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335-345
    • /
    • 2020
  • Tomato grey mould has been one of the destructive fungal diseases during tomato production. Ten mM of menadione sodium bisulfite (MSB) was applied to tomato plants for eco-friendly control of the grey mould. MSB-reduced tomato grey mould in the 3rd true leaves was prolonged at least 7 days prior to the fungal inoculation of two inoculum densities (2 × 104 and 2 × 105 conidia/ml) of Botrytis cinerea. Protection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disease pressure of conidial suspension compared to the higher one. MSB-pretreatment was not effective to arrest oxalic acid-triggered necrosis on tomato leaves. Plant cell death and hydrogen peroxide accumulation were restricted in necrotic lesions of the B. cinereainoculated leaves by the MSB-pretreatment. Decreased conidia number and germ-tube elongation of B. cinerea were found at 10 h, and mycelial growth was also impeded at 24 h on the MSB-pretreated leaves. MSB-mediated disease suppressions were found in cotyledons and different positions (1st to 5th) of tru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conidial suspension, but only 1st to 3rd true leaves showed decreases in lesion sizes by the higher inoculum density. Increasing MSB-pretreatment times more efficiently decreased the lesion size by the higher disease pressure. MSB led to inducible expressions of defence-related genes SlPR1a, SlPR1b, SlPIN2, SlACO1, SlChi3, and SlChi9 in tomato leaves prior to B. cinerea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B pretreatment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chemical fungicides for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of tomato grey mould.

Maillard 반응 유래(由來) 저분자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과 그 억제기구 (Mutagenicities of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and their Desmutagenicity Mechanisms)

  • 김선봉;염동민;도정룡;윤형식;변한석;김인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5-440
    • /
    • 1989
  • 식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각종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식품성분간의 상호반응에 의하여 당의 분해로 생성되는 저분자 카르보닐 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과 그 억제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glyceraldehyde 등의 ${\alpha}-hydroxycarbonyl$ 화합물보다 glyoxal등의 ${\alpha}-dicarbonyl$ 화합물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methyl glyoxal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각종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은 cysteine, glutathione 및 sodium bisulfite의 억제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주로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일중항산소$(^1O_2)$ 및 그 자체의 반응성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첨가된 활성산소 소거제에 의하여 카르보닐화합물의 자동산화로 생성된 일중항산소, 수산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superoxide anion 등의 소거 및 환원제에 의하여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성의 소실로 인하여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공시한 각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 단독으로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규항암제 DA-125의 액상 안정화

  • 박양환;박광신;권종원;차봉진;정비환;정기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09-309
    • /
    • 1994
  • DA-125에 당류로서 Inositol, Dextrose, Iactose, Mannitol 및 Sorbitol을 첨가하여 DA-125 단독으로 용해한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을 때 DA-125의 안정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아미노산 중 L-lysine첨가시 안정성이 향상되는 컷으로 나타났다. 염류를 사용하였을 때는 NaCl, MgSO$_4$첨가시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NaCl의 첨가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DA-125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안정화제로 Sodium Bisulfite 첨가시 안정성이 증가되었다. 안정성 시험 중 pH및 용액상태는 변화하지 않았다.

  • PDF

포도 저장을 위한 아황산가스 발생제의 제조 및 처리 방법 (Preparation and Treatment of Sulfur Dioxide Gas Generating Agent for Storage of Grape Fruit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1-795
    • /
    • 2008
  •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자가 제조하여 포도의 저장 중 병해발생 방지에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sulfite 화합물의 아황산가스 발생 정도와 지속 기간을 측정하고 아황산가스 발생 조절 및 간이 검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도의 저장 중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 cinerea의 포자 발아와 균사생장은 각각 400 ppm과 3200 ppm의 아황산가스 농도 조건에서 억제되었다. 5종류의 sulfite 및 bisulfite 화합물 중 sodium hydrosulfite는 아황산가스 발생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비닐 포장하여 포장의 pinhole수를 조절하거나 산 또는 알카리의 pH 조절제를 혼합하면 가스 발생량과 발생 지속 기간을 조절할 수 있었다. Malachite green 용액은 아황산가스에 의해 정량적으로 탈색되어 아황산가스 검출에 이용할 수 있었으며 여과지에 흡수하여 건조할 경우 아황산가스 검출지로 활용할 수 있었다. MBA 포도를 속효성과 지효성의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동시에 처리하여 저온 저장할 경우 병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칡 뿌리의 Polyphenol Oxidase의 정제 및 성질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rrowroot)

  • 오만진;이원용;이가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31-338
    • /
    • 1988
  • 칡뿌리로 부터 칡뿌리 acetone분말을 제조하고 polyphenol oxidase를 추출, 정제하여 정제효소의 효소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조효소는 DEAE-Cellulose, DEAE-Sephadex A-50,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정제되었으며, 정제효소의 비활성은 94배, 정제수율은 45.4%이었다. 정제효소는 catechol 및 pyrogallol에 대하여 감한 친화성을 나타내었으며, km 값은 catechel을 기질로 하였을 때 16.67mM이었다. 작용 최적 pH는 7.5, 최적온도는 $50^{\circ}C$에서 가장 잘 작용하였고 1mM L-ascorbic acid, sodium bisulfite, EDTA, KCN 및 $Fe^{3+}$ 이온에 의하여 심한 저해를 나타내었으며, $Zn^{2+}$ 이온을 약 1.7배 정도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조효소액을 전기영동하여 catechol로 활성염색 하였을 때 5개 isoenzyme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분자량 35,000의 것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용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라텍스의 제조와 적용 특성 (Preparation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Latex for Latex Modified Concrete)

  • 이봉규;주창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76-1081
    • /
    • 2012
  •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혼화용 라텍스를 개발할 목적으로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라텍스를 이단계 유화중합법으로 제조하고 콘크리트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음이온 유화제로는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와 sodium salt of lauryl sulfate를 선정하였고, 라텍스 안정제로는 nonylphenoxy poly(ethyleneoxy) ethanol 계열의 동족체들(n=10, 20, 40)을, 그리고 potassium persulfate와 sodium bisulfite를 redox 개시제로, $Na_2HPO_4$$K_2CO_3$를 전해질로 각각 사용하였다. 중합안정성에 대한 음이온 유화제의 종류와 사용량의 영향 및 입자크기의 전해질 농도 의존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여 LMC용 라텍스 제조에 적합한 중합처방을 제시하였다. 이 중합처방으로 제조한 라텍스의 LMC 용도에 대한 적용성을 시험한 결과, 슬럼프와 공기량은 한국도로공사의 품질기준을 충족하며, 역학적 물성시험 결과에서는 28일간 경화시킨 시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품질기준보다 각각 39.6, 87.3% 더 높은 증진효과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가공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김영아;강수태;강정구;강진영;류욱환;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3-291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a low-salt fermented seafood product using a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and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w-salt fermented ascidian (LSA).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LSA were as follows. The ascidian was shelled and its muscle sliced into 5 mm widths. This was soaked in a 10% salt and 1% sodium erythorbate solution for 20 min. The solution was drained and then the muscle was soaked in 0.1% sodium bisulfite solution for 1 min. To this was added a 1:1 mixture of anchovy sauce and rice gruel, and it was fermented at $5^{\circ}C$ for 15 days. The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of the LSA were 75.0-75.4% and 8.0-8.5%, respectively. During salt-fermentation at $5^{\circ}C$ for 20 days, the amino-N content of the LSA increased, and the texture softened gradually. The viable cell counts in early salt-fermentation were $4.2-4.5{\times}10^4CFU/g$, and this decreased gradually.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s tended to increase in early salt-fermentation, while tha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slightly. Chemical experiments and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dipping treatment in 1% sodium erythorbate solution and 0.1% sodium bisulfite solution resulted in a good color and prevented browning of the salt-fermented ascidian meat. Moreover, adding anchovy sauce and rice gruel mixture improved the flavor of the LSA.

설파이트(Sulfite) 과민성 천식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Features of Sulfite-Sensitive Asthmatics)

  • 조영수;백수흠;박해심;유남수;조동일;김재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59-166
    • /
    • 1992
  • 연구배경 : 설파이트제제는 음식물, 음료 그리고 기관지확장제를 포함한 여러 의약품 등에서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로 널리 사용되는 첨가제이나, 아낙필락시스, 담마, 혈관부종, 복통, 기관지경련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후 그 사용을 제한하게 되었다. 여러 저자들에 의해서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설파이트 과민성에 대한 보고가 있어, 이에 저자들은 설파이트 과민성 천식으로 확진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 환자 17명에서 설파이트(sodium bisulfite) 경구 유발시험을 실시하여 10명의 설파이트 과민성 천식 환자를 확진하고 그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임상증상으로 기관지 천식과 비염증세가 동반된 경우가 8예 였으며, 천식만 가진 경우가 2예, 담마진을 동반한 경우는 없었다. 병력상 음식이나 약물 복용시 천식 증상이 악화된 경우가 8예 있었으며 이들 환자 모두에서 내원 당시 경구 스테로이드를 필요로 하는 심한 스테로이드 의존형 기관지 천식이였다. 또한 아스파린 과민성을 동반한 경우도 4예 있었다. 2) 검사실 소견상 천식 발작 당시 평균 혈중 총호산구수는 $844/mm^3$였고, 총 IgE-PRIST 치가 1000 IU/ml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가 1예 있었다.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및 IgE-RAST는 10예 모두에서 음성으로 내인성 천식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상 대부분이 낮은 농도 (0.22~2.1 mg/ml)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었다. 3) Sodium bisulfite (100 mg/ml) 피부 단자시험상 6예중 3예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sodium bisulfte 경구 유발검사상 50내지 100mg 투여후 전 예에서 30분이내 즉각적으로 심한 기관지 수축 반응이 관찰되었다. 4) 이들 환자를 천식에 관한 약물치료와 함께 설파이트가 포함된 음식물과 약제를 피하면서 추적 관찰(1~18개월) 한 결과, 대부분 (90%)의 환자에서 경구 스테로이드 요구량이 50%이상 감소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임상 증상이 심한 스테로이드 의존형 내인성 천식 환자들에게는 설파이트에 대한 과민성 유무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임신 중 BDE-47 및 BDE-209에 노출된 어미와 새끼 Sprague-Dawley 랫드의 Global DNA 메틸화 양상과 비만 감수성과 연관된 유전자 발현 (Global DNA Methylation Patterns and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Obesity-Susceptibility in Offspring of Pregnant Sprague-Dawley Rats Exposed to BDE-47 and BDE-209)

  • 박병민;윤옥진;이도훈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8-39
    • /
    • 2017
  •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후성학적 메커니즘과 비만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는 주요한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중 하나이며, 난연제로 널리 쓰인다. 출생전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시 LINE-1 (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의 global DNA 메틸화와 비만 위험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임신한 스프라그-돌리 백서를 이용하여 태반과 모유를 통하여 전달된 BDE-47, BDE-209가 LINE-1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obesogen으로서 발달과정에 따른 유전적 비만 감수성의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보고자 하였다. 어미와 새끼에서 LINE-1의 광범위 DNA 메틸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은 methylation-sensitive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MS-HRM), direct bisulfite sequencing와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을 사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MS-HRM 결과는 출생 후 4일의 노출군 새끼에서 (4마리 중 2마리) LINE-1의 광범위 DNA 저메틸화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bisulfite sequencing은 노출군과 비노출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eta}$-산화 경로와 adipokines과 관련된 어미의 유전자 발현은 두 그룹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새끼의 유전자 발현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beta}$-산화 경로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중 $PPAR-{\alpha}$를 제외하고는 출생 시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BDE-47, BDE-209의 동시 노출이 태반과 모유를 통해서 새끼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