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Bacillus subtilis KL-57로부터 생산되는 생체계면활성제 합성 유전자 클로닝 (Cloning of Biosurfactant-Producing Gene from Bacillus subtilis KL-57)

  • 강상모;이병옥;이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93-598
    • /
    • 1994
  • A bacterium KL-57 which exhibited biosurfactant activity was isolate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The biosurfactant-producing gene of B. subtilis KL-57 was cloned into R subtilis MI113 by using plasmid pTB523. The plasmid DNA from the clone was found to carry a 18 kb PstI insert. The biosurfactant-producing gene was cleaved into 4 fragments by SmaI, 3 fragments by PvulI or EcoRl, 4 fragments by PvulI and EcoRI double digestion, 5 fragments by AccI, and 2 fragments by KpnI, HindIII or BamHI. By subcloning the 18 kb Pstl insert, a 2.3 kb EcoRl fragment conferred the biosurfactant producing activity on B. subtilis cells. The 2.3 kb had one HindIII cleave site. But Two fragments, which corresponds HindIII/EcoRl termini, exhibited no biosurfactant activity.

  • PDF

원유로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분리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균주, Pseudoalteromonas sp. HK-3의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Isolated from the Crude-Oil Contaminated Areas)

  • 조수희;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6-3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유에 오염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균주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원유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균주 HK-3의 배양기간 동안, 생장,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 pH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능력이 뛰어난 균주인 HK-3를 선별하여, 이 균주의 배양기간에 따른 생장 변화와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량, 그리고 pH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HK-3는 배양 36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가장 많은 양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대한 부가탄소원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K-3를 다른 부가탄소원(예, glucose, dextrose, mannitol, citrate, acetate)과 함께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생물계면활성제의 최대생산량은 mannitol을 포함하는 BH 고체평판배지에서 관찰되었으며, 투명대의 면적은 직경은 약 7.64 cm2로 측정되었다. 분리균주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불규칙한 막대형의 세균으로 관찰되었다. BIOLOG 시스템과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여 Pseudoalteromons 종으로 확인되어 Pseudoalteromons sp. HK-3로 명명하였으며, GenBank에 [FJ477041]로 등록하였다.

Biosurfactant 생산균주 Bacillus sp. TBM 911-5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p. TBM 911-5)

  • 김선희;정연주;이상철;유주순;주우홍;정수열;최시림;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20-324
    • /
    • 2004
  • 본 연구는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우수한 균주를 얻고자 산지 토양에서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 수십 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원유분해능 및 biosurfactant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특성 및 생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고, 16S rDNA의 부분적 염기서열 결정을 통하여 Bacillus sp. TBM911-5로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 배양액에 생산된 biosurfactant에 의해 48시산 정도에서 표면장력이 최저 29mN/m까지 감소되었다. Bacillus sp. TBM 911-5가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유화활성은 대두유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였으며, 원유에서도 높은 편이였다. 유화안정성은 합성 계면활성제의 Tween 류나 Triton X-100등과 비슷하거나 우수하였으며, 이는 분리된 균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계면활성제로서의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Rhamnolipid B에 의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역병의 억제효과 (Suppression Effect of Gray Mold and Late Blight on Tomato Plants by Rhamnolipid B)

  • 안지예;박명수;김슬기;최경자;장경수;최용호;최재을;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2-229
    • /
    • 2009
  • 기계유가 심하게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고 항균활성과 살충활성을 보이는 Pseudomonas sp. SG3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길항세균은 시험한 8개의 식물병원곰팡이 모두에 대하여 균사생육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in vivo assay에서는 SG3 액체 배양액 처리시 벼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및 고추 탄저병에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해 분리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rhamnolipid B로 동정되었다. Rhamnolipid B는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에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인 B.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토마토 역병균인 P. infestans의 유주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Rhamnolipid B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SG3는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새로운 생물방제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alstonia pickettii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leurotus eryngii

  • Purnomo, Adi Setyo;Maulianawati, Diana;Kamei, Ich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24-1433
    • /
    • 2019
  • DDT is a hydrophobic organic pollutant, which can be bio-accumulated in nature and have adverse consequences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humans and anim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eryngii and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Ralstonia pickettii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DDT. The effects of R. pickettii on fungal development were examined using in vitro confrontation assay on a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R. pickettii culture was added to the P. eryngii culture at 1, 3, 5, 7, and 10 ml ($1ml{\approx}1.44{\times}10^{13}CFU$). After 7 d incubation, about 43% of the initial DDT ($12.5{\mu}M$) was degraded by the P. eryngii culture only. The augmentation of 7 ml of R. pickettii culture revealed a more highly optimized synergism with DDT degradation being approximately 78% and the ratio of optimization 1.06. According to the confrontational assay, R. pickettii promoted the growth of P. eryngii towards the bacterial colony, with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cterial cells and mycelium (0.71 cm/day). DDD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ane), DDE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and DDMU (1-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were identified as metabolic products, indicating that the R. pickettii could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 eryngii.

생물적 방제균 Bacillus amyloliquefaciens LM11의 유래 생물계면활성물질과 항균활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iosurfactants and Antifungal Activity of a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LM11)

  • 강범용;김용환;남효송;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7-185
    • /
    • 2017
  • 장수풍뎅이 유충의 장내세포에서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LM11은 surfactin, iturin, fengycin 같은 biosurfactants lipopeptide를 생산하여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성장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LM11균주 성장단계에 따라 biosurfactant 생산과 surface tension은 상당히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항균 물질인 surfactin, iturin,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는 정지기에 도달하면서 집중적으로 발현되었고 그 생산량도 높았다. 또한 LM11균주를 제거한 배양 상등액 함량의 농도에 따라 고추 탄저병원균의 포자발아와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761, P<0.001).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균사 생장억제를 위한 최소 surface tension 수준은 38.5 mN/m였다(R=0.951-0.977, P<0.001). 본 연구 결과는 B. amyloliquefaciens LM11의 biosurfactant가 식물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에 중요한 항진균 대사물질로 작용하며, 배양액의 surface tension 측정은 생물학적 방제제의 최적 사용을 위한 기초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