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sphere reserv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통한 해안 식생복원계획 -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 고개 일대를 대상으로 -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through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 focus on the Dalmaji-gil area, Haeundae-Gu, Busan Metropolitan City. -)

  • 윤성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1-201
    • /
    • 2019
  • This study suggested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a coastal area where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targeting the whole area of Dalmaji-gil, located in Haeundae, Busan. After distinguishing if it would be a proper site for the oper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by analyz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land owners, the target species for vegetation restoration was determined, and the facilities and program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atial division of the biosphere reserve. The basic direc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expansion of green space and the securement of life habitats downtown. Second, is the conservation of core areas by separating the conserved area from the space for use.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resting space and the reinforcement of an ecological educational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vegetation restoration plan of a coastal area, fully utilizing the existing vegetation of the subject area, by suggesting the land use and flow plann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vegetation restoration) plan, life habitats establishment plan, planting plan, and hydrologic plan, facilities, maintenance, and monitoring plan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the ocean on three sides.

Changes in nocturnal insect communities in forest-dominated landscape relevant to artificial light intensity

  • Lee, Hakbong;Cho, Yong-Chan;Jung, Sang-Woo;Kim, Yoon-Ho;Lee, Seung-G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18-227
    • /
    • 2021
  • Background: Artificial light at nigh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adversely affecting global insect diversity. Here, we compared the insect diversity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pecifically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ith no artificial light at night), with that of three nearby urban sites with a gradient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five locations at each site).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mean annual temperature, and field light intensity (lux) at night on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 Results: The urban sites generally exhibited higher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as well as clear indicator spec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site.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insects marked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hree urban sites. The abundance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in light intensity. Species richness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was likely correlated with the field light intensity at night and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time environment and marked changes in insect community structure and revealed consequent transition of ecosystem services by changes in trophic group composition.

An extension plan of Yakushima Biosphere Reserve as a case study of consensus building of islanders

  • Matsuda, Hiroyuki;Yumoto, Takakazu;Okano, Takahiro;Tetsuka, Kenshi;Fujimaki, Aomi;Shioya, Katsunor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41-247
    • /
    • 2015
  • A participatory approach of local stakeholders is important to create a balance between nature protec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in a nature reserve and its vicinity area. The zoning and management policy of biosphere reserves (BRs) is a good example of this idea, especially for island reserves. Yakushima was inscribed as a World Natural Heritage (WH) in 1993. Almost all of its residents did not remember that Yakushima was a BR. In addition, Yakushima has some problems in nature reserve management. Overabundance of the deer population is a critical threat to both agriculture and natural vegetation in the world heritage site. There are too many tourists visiting the WH site and Nagata-hama beach. The beach is a Ramsar site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pawning grounds of sea turtles in the north Pacific. Now, residents and the municipality have decided to reactivate the Yakushima BR. Although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f Japan has an initiative to manage the WH and the Ramsar site, the BR is managed by the municipality and local stakeholders. Local activities of both nature conserva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are encouraged in the BR site. The islanders willingly included all areas of the island into the BR site. Scient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ety of Yakushimaolog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build trust between local stakeholders and to seek feasible policies on the nature reserves. The concept of the "Yakushima Environmental Culture Village" is a good model for the extension plan of the Yakushima and Kuchinoerabujima BRs.

Matter dynamics with respect to influences of C3 and C4 plants in four subtropical grasslands of Nilgiri Biosphere Reserve, the Western Ghats, India

  • Paulsamy, Subramanium;Kil, Bong-Soup;Sivashanmugam, Munusam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259-267
    • /
    • 2012
  • Biomass changes, net primary production and transfer dynamics of dry matter in four subtropical humid montane grasslands at Ebbenadu, Korakundah, Thiashola and Wenlockdown in Nilgiri Biosphere Reserve (NBR), the Western Ghats, India, were investigated. Despite the early report of a higher density and dominance of $C_4$ species over $C_3$ species in these grasslands, no functional study of matter production had previously been carried out.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roles played by these two groups of species,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ry matter and net primary production contributed by $C_4$ specie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its $C_3$ counterpart in all the grasslands. The turnover rate of aboveground dry matter for both $C_3$ and $C_4$ species was generally rapid, whereas it was slow for belowground parts, and litter components of $C_3$ and $C_4$ species together. In all grasslands, generally about 60% and 10% of the input were channeled to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s, respectively, by the $C_4$ species, whereas the $C_3$ species transferred only about 22% and 8% of dry matter to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s, respectively. The total disappearance of dry matter was 2.73, 2.10, 3.19, and $1.96\;g\;m^{-2}\;day^{-1}$ in Ebbenadu, Korakundah, Thiashola and Wenlockdown grasslands, which was 48.83%, 44.30%, 54.81%, and 41.09% of the total input, respectively, in these grasslands. This resulted in a considerable surplus dry matter production in all the grasslands studied. This balance sheet of dry matter in community function indicates that all the four studied grasslands were supporting the existing wild animals adequately in terms of pasture supply.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stronger establishment of $C_4$ species rather than their $C_3$ counterparts, in terms of higher density and dominance, has driven them to play major roles in matter dynamics and system transfer functions in all the four grasslands studied. This fact evidenced that pasture from $C_4$ species for wild animals was determined to be higher in comparison to that of $C_3$ species.

한라산에서 발견된 미기록 응애 Asca bicornis (응애아강,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의 보고 (A New Record of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 (Acari, Mesostigmata, Ascidae) from Hallasan Mountain in the Republic of Korea)

  • 금은선;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197
    • /
    • 2018
  •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는 토양에 서식하는 포식성 응애로, 토양해충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떠돌이응애과는 10속, 24종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물장오리오름에서 토양응애 생물다양성 연구 중 이끼에서 우리나라 미기록종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을 발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등판과 배판의 묘사를 통해서 형태적인 특징을 자세히 제공하였다. 근연종인 A. aphidioides는 등판 양쪽 말단에 돌출된 혹에서 각 1개의 센털이 있으나, A. bicornis는 2개가 나 있다.

137Cs, 40K and 210Po in abiotic components of aquatic ecosystems two rivers in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 Ilya G. Sidorov ;Nataliya N. Tereshchenko ;Andrey A. Korotkov;Olga D. Chuzhikova-Proskurnina;Nguyen Trong Hiep ;Aleksandr V. Trapeznikov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265-4271
    • /
    • 2022
  • Determination of 137Cs, 40K and 210Po in water, bottom sediments and suspended matter of river systems of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was carried out. The averag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s of Ca Gau and Long Tau was 0.89 ± 0.14 and 1.08 ± 0.15 Bq m-3 and was comparable to the levels of this radioisotope in waters of the East Sea.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bottom sediments was 2.23 ± 0.81 and 3.63 ± 1.24 Bq kg-1.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 and bottom sediments could be characterized as low. So, the water area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could be attributed to areas with insignificant pollution by technogenic radionuclides.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in bottom sediment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ranged from 9.2 ± 1.2 to 25.5 ± 2.1 Bq kg-1, which is typical for river bottom sediments. Such values indicate the absence of anthropogenic enhancement of the entry of this radionuclide into the Can Gio river systems. The 40K activity concentration varied within 467 ± 42-651 ± 39 Bq kg-1 and represented typical values of potassium content in the bottom sediments of coastal water bodies, subject to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lithogenic component of suspended matter.

제주도 UNESCO 및 UNFAO 세계유산에 대한 인식 비교 -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Residents' and Visitors' Perceptions on Six Heritages in Jeju Designated by UNESCO and UNFAO)

  • 유원희;서세진;최병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4-143
    • /
    • 2017
  •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세계적 유산의 중요성에 비해 제주도민과 방문객 대상의 인식 측정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의 세계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 그리고 로고의 인식 여부와 세계적인 유산 등재에 따른 영향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가장 최근에 등재된 해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밭담과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유산 로고에 대한 인식 여부에서는 유네스코 로고에 대한 노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자연과 유산의 지속적 보호와 더불어 올바른 홍보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설악산과 한라산 생물권보전지역의 식물 관련 전통지식 자료 유형 분석 (Analysis of Traditional Knowledge Data Types Related to Plants in Seoraksan and Hallasan Biosphere Reserves)

  • 이일원;김기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1-359
    • /
    • 2024
  • 생물권보전지역에 서식하거나 인근 전통시장에서 거래되는 민속식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질적인 환경을 가진 설악산과 한라산에 자생하고, 전통시장에서 거래되는 관속식물의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악산에서 조사된 민속식물은 102과 489분류군으로 나타났다(국화과(14.5%), 백합과(6.9%), 마디풀과(3.8%), 미나리아재비과(3.6%)). 한라산에서 조사된 민속식물은 118과 374분류군으로 나타났다(콩과(4.5%), 미나리과(4.2%), 꿀풀과(4.0%)). 설악산과 한라산의 민속식물 모두 한방 및 치료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잎이 가장 주된 이용 기관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서 서식하는 민속식물이 이용 분야와 이용 기관에 따라 과별(Family)로 얼마나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는지 정량적으로 살펴보면, 기타 이용 분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설악산 인근 전통시장에서 거래되는 민속식물상은 34과 56속 59종으로 국화과(15.25%), 두릅나무과(8.47%), 콩과(8.47%)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한라산 인근 전통시장에서 거래되는 민속식물상은 49과 94속 102종으로 국화과(12.75%), 콩과(8.82%), 장미과(7.82%) 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통시장에서 거래되는 민속식물은 모두 한방 및 치료의 이용이 가장 많았고, 이용기관은 설악산 인근 전통시장에서는 줄기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한라산 인근 전통시장은 잎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 조도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72-287
    • /
    • 2019
  •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한국군사정전협정에 의해서 설정된 폭 4km, 길이 248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으로서 서쪽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장단반도의 임진강 하구로부터 시작해서 동쪽으로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의 동해안까지 이른다. 그러나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민통선지역(민북지역)과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도 어느 정도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와 유사하므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을 합쳐 일반적으로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라고 부르고 있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식물상은 총 1,864종류로 파악되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관속식물 종류의 약 42%에 해당한다.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은 수많은 지뢰와 출입의 제약 때문에 정밀한 조사가 거의 불가능하다. 2001년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경의선 남북 연결 철도 건설 구간의 비무장지대 내부 식생을 조사한 결과 산림 식생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로 우점하는 2차림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였고 비무장지대의 나머지 반은 과거의 묵논에 형성된 억새, 물억새, 달뿌리풀 등의 장경초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비무장지대의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덮여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은 이와 같이 군사적인 활동에 기인한 빈번한 산불로 대부분 구조가 단순한 2차 천이 초기의 산림이거나 과거의 농경지에 형성된 묵논 습지 및 초지로 되어 있다. 비무장지대의 법적 보호 장치로는 통일 후 2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환경부의 자연유보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비무장지대의 보전을 위해서는 천연보호구역, 명승, 국립공원 등 국내법에 따르는 자연보호지역 지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제적인 협력을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국제습지의 지정에 비무장지대가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무장지대의 세계유산 신청 시에는 지난 60여 년간 산불에 의해서 2차림과 묵논 습지가 유지되어온 독특한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내세울 수 있다. 아무런 자연 보전 대책 없이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비무장지대 생태계는 순식간에 6.25전쟁 직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통일 후에도 비무장지대 생태계를 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뢰 존치, 철조망 존치, 도로와 철도의 터널 및 교량화, 산불 유지 등의 대책이 논의되고 준비되어야 한다.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using the Geographical Resources on Hong Island)

  • 박미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21
    • /
    • 2011
  • 지오파크(Geopark)는 세계유산 및 생물권보전지역과 더불어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3대 보호 지역 중의 하나로, 단순한 감상 수준의 관광이 아니라 지형 지질 자원에 대한 지식을 통해 자연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존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오파크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지오파크의 필요 조건인 국내 지오투어리즘 사례 지역으로 흥도 유람선 선상해설 작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오파크 국내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지형 지질 교육을 통해 자연 경관 자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 보호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