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omial logistic analysi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1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부 신호교차로 유턴 사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U-turn Accident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 Urban Area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강종호;김경환;김성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79-12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유턴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원시 3지, 4지 신호교차로의 유턴 교통사고 자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먼저 유턴 운영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맨-위트니 U검정으로 평균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4지 신호교차로의 사고유형별 구분에 있어서는 추돌사고를 제외한 유형에서, 사고위치별에 있어서는 유출부 사고가 유턴구역이 설치된 집단의 사고발생건수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사고건수에 대한 반응척도를 이항으로 분류하고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한 결과 상충교통량, 대향차로수와 같은 독립변수가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3지 신호교차로에서는 종단 경사, 4지 신호교차로에서는 횡단보도수가 공통영향 이외에 특정변수로 도출되었다.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 유턴 운영을 위해서는 유턴 구역 대향차로수가 사고무발생 교차로의 평균차로수인 3.5개 차로 이상이며, 접근부의 종단선형이 상향경사일 경우에 설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된다. 또한 유턴 차량의 많은 부분이 횡단보도 시간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점을 고려하여 유턴 시기에 대한 지시표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성인의 신체활동 정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evel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Korean Adults)

  • 김지윤;박승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9-20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Korean adults. Methods: Drawing from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V-2), data from 6,521 adults who completed the Health Interview and Health Behavior Surveys were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care utilization was tested using the $X^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s of using outpatient and inpatient healthcare for different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fter adjusting for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A generalized linear model applying a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was used to determine how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related to use of outpatient and inpatient healthcare. Results: Physically active participants were 16% less likely to use outpatient healthcare (OR, 0.84; 95% CI, 0.74-0.97) and 23% less likely to use inpatient healthcare (OR, 0.77; 95% CI, 0.63-0.93) than physically inactive participants. Levels of outpatient and inpatient healthcare use decreased as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creased, after adjusting for relevant factors. Conclusion: An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being physically active and lower healthcare utilization was ascertained among Korean adults indicating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encourage regular physical activity.

생애경제활동유형에 따른 기혼여성의 출산행태 영향요인 연구 - 추가출산계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ried Women's Fertility Behavior Depending on Patterns of Life Course with Family Role and Economic Activity - Focusing on the Additional Fertility Plan -)

  • 김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59-69
    • /
    • 2010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women's fertility behavior (additional fertility plan)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of 2007. Patterns of married women's life courses are divided into five groups depending on family role and economic activity: family-centered (no work experience) type, latent M type, M type,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and first job entry type. This study performs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key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ve distinctive patterns show the different composition: family-centered type (4.5%), latent M type (69.6%), M type (10.4%),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7.4%), and first job entry type (8.1%). Seco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usband characteristics, and value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dditional fertility behavior ; however, institutional character is not significant. Fin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additional fertility plans vary in different patterns of life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중학교 여학생의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관련요인 및 고위험군 특성 (The Factors related to Long Hours of Smartphone Us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k Group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박성희;이지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5-145
    • /
    • 2018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ng hours of smartphone usag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13,648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ir own smartphone extracted from the 13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17). The factors related to using smartphones for a long time was analyzed by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was defined by a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hours spent on smartphone usage was 269.54 minutes per day.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ong hours of smartphone usage were grade, living with parents,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status,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sadness and hopelessness, the main purpose of smartphone usage, drinking, body mass index, breakfast, and satisfaction with sleep quality. The subjects showing low academic performance and having breakfast four times a week or less were more likely to use their smartphone for a long tim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need to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ime usage of smartphone. Particularly, the subjects who show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skip breakfast frequentl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high-risk group for spending long hours on smartphone usage.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 이미정;김찬호;이창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39-5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공공임대주택 본격 공급 시기에 맞추어 유형통합 대상인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유형별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공공임대주택 단지계획 시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하는 요소를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자료는 2021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 데이터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국민임대 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더 높았다. 임대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전반적 주택상태만족도의 경우 영구임대와 국민임대 거주자는 주택상태,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요인, 행복주택 거주자의 경우 주택소음과 주거환경요인으로 나타나 상이하였다.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영구임대 거주자의 경우 주택상태, 시설접근성 및 주거환경 요인이었으며 국민임대 거주자는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주거환경 요인, 행복주택 거주자는 주택상태,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요인으로 나타나 상이하였다. 세 가지 유형 모두 공통적으로 주택소음 요인을 주택상태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시설접근성 요인을 주거환경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어 단지계획 시 우선 반영해야 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후속 연구를 통해 영향요인의 변화 추세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필요하다.

Open Communication About Reproductive Health Is Associated With Comprehensive HIV Knowledge and a Non-stigmatising Attitude Among Indonesian Youth: A Cross-sectional Study

  • Wirawan, Gede Benny Setia;Gustina, Ni Luh Zallila;Januraga, Pande Putu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4호
    • /
    • pp.342-350
    • /
    • 2022
  • Objective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prevention among youth seems under-prioritised compared to other key populations. HIV knowledge and stigma are important parts of HIV prevention. To inform HIV prevention among youth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sed the associations between open communication regarding sexuality and sexual health, comprehensive HIV knowledge, and non-stigmatising attitudes in Indonesia.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Indonesian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IDHS) 2017. The analysis included unmarried men and women aged 15-25 years old. Comprehensive HIV knowledge and a stigmatising attitud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IDHS 2017. Open communication about sexuality and sexual health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people with whom participants could openly discuss these topics in their direct network of friends, family, and service providers, with a scale ranging from 0 to a maximum of 7. Primary analysis use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weighting adjustments. Result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22 864 respondents. Twenty-two percent of youth had no one in their direct network with whom to openly discuss sexual matters, only 14.1% had comprehensive HIV knowledge, and 85.9% showed stigmatising attitudes. Youth mostly discussed sex with their friends (55.2%), and were less likely to discuss it with family members, showing a predominant pattern of peer-to-peer communication.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aving a larger network for communication about sexuality and sexual health was associated with more HIV knowledge and less stigmatising attitudes. Conclusions: Having more opportunities for open sex communication in one's direct social network is associated with more HIV knowledge and less stigmatising attitudes.

한국 제조업체의 혁신활동 결정요인: 기업규모와 전유성의 역할 (The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novative Activity: Do Firm Size and Appropriabilities Matter?)

  • 송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65-577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규모와 전유성 등의 기술전략이 기업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데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한국기술혁신조사(KIS)의 2016년 2,003개 제조업체의 자료로 로짓회귀모형과 영과잉음이항회귀를 활용하였다. R&D 지출과 특허출원이 혁신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이용되었다. 설명변수로서는 기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업 나이, 기술수준별 산업구분, R&D 종사자수, 벤처기업여부, 수출여부, 그리고 산업 전유 특성을 타나내는 네트워크, 전유방법, Spillover를 설정하였다. 우선, 실증적인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기업의 규모에 따라 혁신활동 결정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데에,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산업의 특성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았다. 규모가 작은 신생기업, 벤처기업, 혹은 수도권 소재기업일 때 혁신활동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략적 전유는 소기업 R&D 지출과 중기업의 특허출원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른 기업 또는 산업 간의 네트워크는 대기업을 제외한 기업들에서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간의 기술적 상호작용은 기술 spillover과 혁신활동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나, 이 성과는 기업 규모와 산업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 및 중년남성 근로자 중 1년 이상 금연 유지 성공군 및 실패군 간 개인적·사회적·환경적 특성 차이 분석: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2013년) 자료를 바탕으로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uccess Group and Failure Group of 1-year Continuous Smoking Abstinence in Young Adult and Middle-aged Male Workers: with Focus on the First-year Analysis of Korean Cross-sectional Survey)

  • 이준아;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5-10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ssociated with 1-year continuous smoking abstinence in Korean young adult and middle-aged male workers. Method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s an ongoing surveillance system that assesses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For a secondary analysis of cross-sectional data from KNHANES VI-1, this study selected 683 Korean male workers as a subpopulation, who were young adult or middle-aged. The subpopulation was composed of success or failure group of 1-year continuous smoking abstinence.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Success group was more likely to be older, live in urban areas, rate their health status as excellent or good, and have ever been diagnosed with hypertension than failure group. Additionally, Success group was less likely to have used electronic cigarettes (e-cigarettes), drink more than once a month, and have been exposed to secondhand smoking in workplace within a week. Conclusion: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s requires consideration of resources in rural areas, promoting self-efficacy, restricting e-cigarettes and drinking, and promoting a smoke-free workplace.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hange Job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 염동문;장유미;이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26-534
    • /
    • 2018
  •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정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3~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1,2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직장차별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구분하였고, 이후 집단별로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유형은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으로 나타났고, 직장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정도, 만성질병 유무, 총소득, 생활만족도이었다. 둘째, 장애인의 직장차별 유형별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직장차별과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은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직장차별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가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A Study on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Experiences and Labor Market Outcome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 권혜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현황을 살펴보고, 참여경험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07명(27.6%)이며, 이중 실질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695명(25.7%)으로 나타났다.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정규직취업)에 있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월평균임금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함의를 도출하고, 내일배움카드제의 정책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