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ried Women's Fertility Behavior Depending on Patterns of Life Course with Family Role and Economic Activity - Focusing on the Additional Fertility Plan -  

Kim, Hyun-Jeong (Dept. of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8, no.6, 2010 , pp. 59-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women's fertility behavior (additional fertility plan)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of 2007. Patterns of married women's life courses are divided into five groups depending on family role and economic activity: family-centered (no work experience) type, latent M type, M type,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and first job entry type. This study performs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key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ve distinctive patterns show the different composition: family-centered type (4.5%), latent M type (69.6%), M type (10.4%),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7.4%), and first job entry type (8.1%). Seco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usband characteristics, and value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dditional fertility behavior ; however, institutional character is not significant. Fin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additional fertility plans vary in different patterns of life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words
low fertility; patterns of life course; fertility behavior; additional fertility pl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신인철(2009).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32(2), 59-85.   과학기술학회마을
2 공선영(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19-149.
3 공선희.손승영.안승덕(2008). 서울시 저출산 정책 발전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4 최숙희.김정우(2005). 외환위기 이후 저출산의 원인 분석.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5 최은영(2006). 한국저출산 원인의 깊은 구조 분석을 위한 시론: 국가의 성격 및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0(1), 25-41.
6 황수경(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한국노동연구원.
7 Lutz, W., V. Skirbekk and M. R. Testa(2006). "The low-Fertility trap hypothesis: forces that may lead to further postponement and fewer births in Europe",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2006, 167-192.
8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과학기술학회마을
9 김동식(2008).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and Fertility Intentions Among Working Mothers Living With At Least One Child. 제1회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61-74.
10 김두섭(2008).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1(3), 1-26   과학기술학회마을
11 김태헌.이삼식.김동회(2005). 저출산의 원인-출산행태 및 출산력 차이. 대통령자문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12 민현주(2010). 여성의 취업이 출산간격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 http://www.kwdi.re.kr/seminarView.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7&pnum=4&cnum=0&ntNo=334
14 박경숙.김영혜(2003).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과학기술학회마을
15 박기남(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한국여성학, 25(2), 37-71.
16 황나미(2007). 가임기 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생식건강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27(2), 122-141.
17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신윤정(2008).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19 신윤정.원종욱.이수형.박수미(2008).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응한 여성 인적자본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은기수.박수미(2002). 여성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 분석. 한국인구학, 25(2), 107-138.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22 정성호(2009).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32(2), 161-183.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이삼식.유계숙.윤홍식.최효진(2008). 저출산 대응 정책의 효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이재경.조영미.이은아.유정미(2005). 저출산의 젠더분석과 정책대안 연구.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25 정혜은.진미정(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47-164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조병구.조윤영.김정호(2007). 출산지원정책의 타당성 및 지원효과 분석. KDI.
27 주재선.이채정(2008). 2008 한국의 성 인지 통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