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five personal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 장은지;최은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07-321
    • /
    • 2017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학생 2,260명을 대상으로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에 발달적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성격 5요인의 발달적 변화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더불어 신경증 하위요인을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기 문제행동 시기와 특성을 확인 하였다. 분석에는 일원배치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경증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 모두에서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기 성격특성에 대한 성별에 따른 학년별 발달적 경향성에서도 성별 간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남자는 중등 2학년, 여자는 고등 3학년에서 성격특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경증과 관련된 외현화 행동문제는 중등 1 2학년에서 내현화 행동문제는 고등 3학년에서 주로 발현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상이한 정신건강문제가 발현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reating Characters Based on the Portrait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and the Death Records of the "Chosun-dynasty Sillok"

  • Jang, Sun-Hee;Kwon, Yu-M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2호
    • /
    • pp.49-58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rtrait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and the Death Records of the Chosun-dynasty Sillok in an effort to find new methods to apply to character design. The basis of this study were 42 figures from a group of portrait painting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o the Chosun dynasty of the 25th King, Chul-Jong. First, Chinese letters illustrating the personalities in the Death Record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ased on the Big Five theory, which divides personalities into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f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Secondly, a representative facial image was created through a morphing technique after extracting the portraits using a method that relied on the high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specific Chinese letters related to each personality type.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의 관계에서 성격 5요인의 조절효과 탐색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Depression)

  • 조명현;조은산;안도연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115-132
    • /
    • 2023
  • 기존의 정서연구들에서는 감정표현불능증이 우울의 중요한 예측변인이라는 점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변인의 관계가 성격요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지를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정표현불능증, 우울, 성격 5요인을 포함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조절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감정표현불능증은 우울을 예측하여 기존 연구 흐름과 맥을 같이 하였다. 또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호성, 정서적 안정성, 개방성은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외향성과 성실성은 조절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우울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완화하는 데는 우호적이고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며 개방적인 성격이 도움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에 의해 우울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어떤 구체적인 성격특질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는지를 변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중요한 함의를 갖고 있다.

어머니의 5요인 성격특성과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othe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layfuln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 한지현;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73-188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the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layfuln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7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3-6 years old.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PAS(Playfulness Scale for Adults) and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the mother'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neuroticism(N) in the mothers resulted in lower levels of warmth acceptance(W A) in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extroversion(E), openness(O), agreeableness(A), and conscientiousness(C)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W A.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of the mo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 higher levels of playfulness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W A. and lower levels of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P N) and rejection restriction(R R). Second, N, E, C, and a maternal sense of humor had an effect in W A. C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P N and N was observed to have an effect in R R.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검증: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loyee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06-3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 성격 5요인,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8차년도(2015년), 19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3명이 분석 대상이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격 5요인 중 개방성(${\beta}=.07$), 성실성(${\beta}=.19$), 외향성(${\beta}=.09$)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경증(${\beta}=-.09$)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 중 신경증(${\beta}=.08$)만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 5요인 중 성실성(${\beta}=.08$)과 친화성(${\beta}=.09$)이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직무만족도(${\beta}=.31$)와 생활만족도(${\beta}=.29$)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증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결과, 외향성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격과 자아존중감을 함께 고려한 상담 및 지원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외식 산업 종사자의 성격 특성과 직업 선호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Preference in Foodservice Industry)

  • 김두라;강재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9
    • /
    • 2007
  •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the job prefere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Questionnaire was held with targeting to the persons who engag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especially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 with the Big Five Theory of Personality, which include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and job preference. As a result,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were founded as the meaningful factors of effect on the job preference. In order to promote the job prefere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engagement of employees who have suitable personality trai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result of this study.

  • PDF

A Deep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User Personality Using Social Media Profile Images

  • Kanchana, T.S.;Zoraida, B.S.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265-271
    • /
    • 2022
  • Social media is a form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rnet to share information through content and images. Their choice of profile images and type of image they post can be closely connected to their personality. The user posted images are designated as personality trai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ive factor model personality dimensions from profile images by using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Developed a deep learning framework-based neural network for personality prediction.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Big Five Factor model can be quantified from user profile image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proposed two models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s to classify each personality of the user. Done performance analysis among two different models for efficiently predict personality traits from profile image. It was found that VGG-69 CNN models are best performing models for producing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91% to predict user personality traits.

외식업체 종사원의 성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Foodservice Employees' Big 5 and Its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 유영진;하동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8-518
    • /
    • 2013
  •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Big Five personality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and turnover intention were empirically analys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investigated.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customer-contact employees of restaurant among Youngnam province.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respectively had positive influences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lso neuroticism gave negative influence to turnover intention. Another research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existed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to turnover intention.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that restaurant managers are recommended to select employees of having much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and to employ those of having much of agreeableness. In the field of restaurant industry, training is very important for employees to foster these personalities, because this industry does not have environment of hiring employees of having much of these personalities. Also training can be applied to employees of having high neuroticism for minimizing their turnover intention.

대학생의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경증과 성실성을 중심으로-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Focus o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 백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19-2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5요인 중 신경증과 성실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둘째, 성격 5요인 가운데 그 자체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의미하는 변인으로, 임상적 의미가 매우 높은 신경증과 성실성을 선정하여 신경증 및 성실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지역 D대학 1학년 462명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격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 분석 결과 신경증과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성실성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성격 5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보면 성실성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회피중심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신경증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사회적지지, 문제해결중심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격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신경증 요인과 회피중심 간에 관계에서만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예측하기 위해 성격요인이 유용한 심리적 구인이라는 점과 특히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예언변수인 신경증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회피성향을 갖고 있는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육적 중재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격 5요인이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on Career Behavior)

  • 이길환;이덕로;박상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397-43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 중 성격 5요인(Big Five)이 대학생의 진로행동, 특히 불안전한 첫 일자리로의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충청권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와 2개 전문대학의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유효한 설문지는 342부였다. 설문지의 통계적 자료처리는 사회과학용 통계패키지인 SPSS WIN 18.0 응용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처리에 이용된 통계적 기법은 기본통계분석에 이어 내적 일관성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외향성 성격과 친화적 성격은 불안전한 첫 일자리로의 진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생의 신경증 성격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불안전한 첫일자리로의 진입에 부(-)의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의 성실성 성격은 예상과는 달리 불안전한 첫 일자리로의 진입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몇몇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