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directional matching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지문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1:N 매칭 방법 (Efficient 1:N Matching Scheme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 정순원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5호
    • /
    • pp.173-17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문 인식에 있어서 매칭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통상 지문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문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 특징점간의 기하학적 유사성을 분석하여 두 지문의 매칭 점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기하학적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지문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지문 데이터를 미리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정렬 결과에 따라 두 지문의 유사도가 달라지므로 통상의 지문 매칭에 있어서는 양방향 매칭을 통하여 최종 매칭 점수를 구한다. 양방향 매칭의 경우 단방향 매칭에 비하여 매칭 신뢰도는 높아지나 매칭에 걸리는 시간이 단방향 매칭에 비해 두 배로 걸린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지문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양방향 매칭 점수의 분포를 구하고,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1:N 지문 매칭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는 이러한 방법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매칭 점수 분포를 이용한 효율적인 1:N 지문 매칭 알고리듬 (Efficient 1:N Fingerprint Matching Algorithm using Matching Score Distribution)

  • 김경민;박중조;이범;고영진;정순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08-217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wo adaptive fingerprint matching methods. First, we experiment an adaptive threshold selection of 1:N matching system in order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matching score. Second, we propose a adaptive threshold selection using fitting algorithm for high speed match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NITZEN database, which has 5247 samples. Consequently, this paper shows that our suggested method can perform 1.88 times faster matching speed than the bidirectional matching speed. And, we prove that FRR of our suggested method decreases 1.43 % than that of the unidirectional matching.

An Efficient String Matching Algorithm Using Bidirectional and Parallel Processing Structure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 Chang, Gwo-Ching;Lin, Yue-De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5호
    • /
    • pp.956-967
    • /
    • 2010
  • Rapid growth of internet applications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performance. String matching is the most computation-consuming task in IDS. In this paper, a new algorithm for multiple string matching is proposed. This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the canonical Aho-Corasick algorithm and it utilizes a bidirectional and parallel processing structure to accelerate the matching speed. The proposed string matching algorithm was implemented and patched into Snort for experimental evaluation. Comparing with the canonical Aho-Corasick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has gained much improvement on the matching speed, especially in detecting multiple keywords within a long input text string.

양방향 인재매칭을 위한 BERT 기반의 전이학습 모델 (A BERT-based Transfer Learning Model for Bidirectional HR Matching)

  • 오소진;장문경;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33-43
    • /
    • 2021
  • While youth unemployment has recorded the lowest level since the global COVID-19 pandemic, SMEs(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still struggling to fill vacancies. It is difficult for SMEs to find good candidates as well as for job seekers to find appropriate job offers due to information mismatch. To overcome information mismatch, this study proposes the fine-turning model for bidirectional HR matching based on a pre-learning language model called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The proposed model is capable to recommend job openings suitable for the applicant, or applicants appropriate for the job through sufficient pre-learning of terms including technical jargon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emonstrat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our model in terms of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compared to the existing content-based metric learning model.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developing practical models for job recommendations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emporal matching prior network for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videos

  • Yoo, Seok Bong;Han, Mikyong
    • ETRI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411-419
    • /
    • 2020
  • In real-worl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ccuracy in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is considered quite critical. Many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still images, but their accuracy on actual videos is not satisfactory. This stems from several problematic conditions in videos, such as vehicle motion blur, variety in viewpoints, outliers, and the lack of publicly available video dataset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se challenges and propose a license pl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scheme for videos based on a temporal matching prior network. Specifically,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detection and recognition accuracy in the presence of motion blur and outliers, forward and bidirectional matching priors between consecutive frames are properly combined with layer structures specifically designed for plate detection. We also built our own video dataset for the deep training of the proposed network. During network training, we perform data augmentation based on image rotation to increase robustness regarding the various viewpoints in videos.

Object Detection by Gaussian Mixture Model and Shape Adaptive Bidirectional Block Matching Algorithm

  • 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81-684
    • /
    • 2008
  • We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moving object detection capability of Gaussian Mixture Model by suggesting shape adaptive bidirectional block matching algorithm. This method achieves more accurate detection and tracking performance at various motion types such as slow, fast, and bimodal motions than that of Gaussian Mixture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the conventional methods.

양방향 사진트리 기반 변이 추정을 이용한 중간 시점 영상 합성 (IVS using disparity estimation based on bidirectional quadtree)

  • 김재환;임정은;손광훈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295-2298
    • /
    • 2003
  • The correspondence problem for stereo image match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view points as multi view video applications become more popular. The conventional disparity estimation algorithms have limitation to find exact disparities because they consider not image features but similiar intensity points. Thus we propose an efficient disparity estimation algorithm considering features of stereo image pairs. As simulation results, our proposed method confirms better intermediate views than the existing block-matching methods.

  • PDF

130 nm CMOS 공통 게이트 증폭기를 이용한 60 GHz 양방향 능동 위상변화기 (A 60 GHz Bidirectional Active Phase Shifter with 130 nm CMOS Common Gate Amplifier)

  • 현주영;이국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111-111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존 CMOS 수동 스위치를 사용한 switched - line 타입 위상변화기의 수동 스위치를 공통게이트 증폭기(양방향 증폭기)로 대체한 60 GHz CMOS 양방향 능동 위상변화기를 제안한다. 양방향 능동 위상변화기는 양방향 증폭기 블록과 수동 delay line 네트워크 블록으로 구성된다. 양방향 증폭기 블록은 순방향과 역방향의 특성이 같도록 설계하기 위해 공통 게이트 증폭기(CGA) 구조가 적합하며, 입력단과 출력단의 매칭은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합 바이어스 회로를 이용하여 1개의 바이어스 전압($V_{DS}$)만으로도 증폭의 방향(순방향, 역방향)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동 delay line 네트워크 블록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구성하였다. 동부 하이텍 1P8M 130-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90도, 180도 1-bit 양방향 능동 위상변화기를 각각 설계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 60 GHz에서 평균 -3 dB의 삽입 손실을 얻었으며, 각각 90도 180도의 위상차를 얻었다.

SPUDT와 양방향 변환기를 직렬 연결한 SAW 필터 (A SAW filter fabrication of the series connected SPUDT type filter with bidirectional transducer filter)

  • 유일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74-2381
    • /
    • 2007
  • 표면 탄성파 필터 적절한 임피던스 정합 조건도 얻고자 단상 단방향성 및 양방향성 변환기형 필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경사진 빗살무의 변환기 형태인 표면 탄성파 필터 제작하기 위하여 Langasite 기판위에 빗살무의 전극들을 형성시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극재료로는 Al-Cu를 사용하였다. Langasite 기판위에 형성시킨 단상 단방향성 필터의 전극 수는 50쌍, 두께는 $5000{\AA}$으로 하였으며, 반사기 폭은 $3.6{\mu}m$이고 전극 폭과 전극과 반사기 사이의 간격은 각각 $1.2{\mu}m$로 하였다. 양방향성 필터에서는 전극 폭과 간격은 각각 $1.8{\mu}m$로 하였다. 제작한 필터의 임피던스 정합 후 주파수 특성에서 중심 주파수는 190MHz, 대역폭은 5.3MHz정도로 측정되었으며, 리플 특성은 0.3dB 이하이고, -20dB 정도의 삽입 손실이 측정되었다.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directional Stereo Matching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 이철훈;설성욱;김효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4호
    • /
    • pp.389-39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비선형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변이(disparity)를 예측하고 예측된 변이는 좌영상에서 우영상으로의 스테레오 정합에 적용된다. 변이 예측은 몇 번의 반복으로 구해지며 비선형 칼만 필터의 초기 상태 예측치에 큰 오차를 나타내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웃 화소의 영향을 고려하여 선형 내삽법(intepolation)을 좌·우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스테레오 정합에 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기존의 SSD방법과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매우 우수한 정합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