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carbonate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9초

Controlling Factors of Feed Intake and Salivary Secretion in Goats Fed on Dry Forage

  • Sunagawa, K.;Ooshiro, T.;Nakamura, N.;Nagamine, I.;Shiroma, S.;Shinjo,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14-142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eeding induced hypovolemia (decreases in plasma volume) and decreases in plasma bicarbonate concentration caused by loss of $NaHCO_3$ from the blood, act to suppress feed intake and saliva secretion volumes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feeding in goats fed on dry forage. The animals were fed twice a day at 10:30 and at 16:00 for 2 h each time. Prior to the morning feeding, the collected saliva (3-5 kg) was infused into the rumen. During the morning 2 h feeding period (10:30 to 12:30), the animals were fed 2-3 kg of roughly crushed alfalfa hay cubes. At 16:00, the animals were fed again with 0.8 kg of alfalfa hay cubes, 200 g of commercial ground concentrate and 20 g of sodium bicarbonate. In order to compensate for water or $NaHCO_3$ lost through saliva during initial stages of feeding, a 3 h intravenous infusion (17-19 ml/min) of artificial mixed saliva (ASI) or mannitol solution (MI) was begun 1 h prior to the morning feeding and continued until the conclus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goats in the present experiment remained unchanged after parotid gland fistulation. Circulating plasma volume decreases caused by feeding (estimated by increases in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ASI and MI treatments. During the first 1 h of the 2 h feeding period, plasma osmolality in the ASI treatment was the same as the NI (non-infusion control) treatment, while plasma osmolality in the MI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to the NI treatment, cumulative feed intake levels for the durat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in the ASI and MI treatments increased markedly by 56.6 and 88.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unilateral cumulative parotid saliva secretion volume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in the ASI treatment was 50.7% higher than that in the NI treatment. MI treatment showed the same level as the NI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 proved that the humoral factors involved in the suppression of feeding and saliva secretion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feeding in goats fed on dry forage, are feeding induced hypovolemia and decrease in plasma $HCO_3^-$ concentration caused by loss of $NaHCO_3$ from the blood.

Altered Regulation of Renal Acid Base Transporters in Response to Ammonium Chloride Loading in Rats

  • Kim, Eun-Young;Choi, Joon-Seok;Lee, Ko-Eun;Kim, Chang-Seong;Bae, Eun-Hui;Ma, Seong-Kwon;Kim, Suhn-Hee;Lee, Jong-Un;Kim, Soo-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2호
    • /
    • pp.91-95
    • /
    • 2012
  • The role of the kidney in combating metabolic acidosis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for many year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ltered regulation of renal acid base transporters in acute and chronic acid loading.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Metabolic acidosis wa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NH_4Cl$ for 2 days (acute) and for 7days (chronic). The serum and urinary pH and bicarbonate were measured. The protein expression of renal acid base transporters [type 3 $Na^+/H^+$ exchanger (NHE3), type 1 $Na^+/{HCO_3}^-$ cotransporter (NBC1), Na-$K^+$ ATPase, $H^+$-ATPase, anion exchanger-1 (AE-1)] was measured by semiquantitative immunoblotting. Serum bicarbonate and pH were decreased in acute acid loading rats compared with controls. Accordingly, urinary pH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NHE3, $H^+$-ATPase, AE-1 and NBC1 was not changed. In chronic acid loading rats, serum bicarbonate and pH were not changed, while urinary pH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s. The protein expression of NHE3, $H^+$-ATPase was increased in the renal cortex of chronic acid loading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altered expression of acid transporters combined with acute acid loading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idosis. The subsequent increased expression of NHE3, $H^+$-ATPase in the kidney may play a role in promoting acid excretion in the later stage of acid loading, which counteract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acidosis.

담수(湛水)가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한 토양(土壤)의 pH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Flooding on the pH Change of Soil with Calcium Carbonate)

  • 오왕근;박영선;최영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9-154
    • /
    • 1971
  • 논 또는 밭상태하(狀態下)에서 생(生)짚을 시용(施用)했을 경우(境遇)와 그렇지 않았을 경우(境遇)에 시용(施用)한 탄산석회(炭酸石灰)와 소석화(消石火)가 토양(土壤) 및 토양용액(土壤溶液)의 pH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저 5릿터들이 폴리에칠렌 폿트에 전토(塡土)하여 시험(試驗)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하고 밭상태(狀態)로 방치(放置)했을 때는 소석회(消石灰)를 시용(施用)했을 때와 같이 토양(土壤)의 pH를 크게 높였으나 탄산석회(炭酸石灰)를 시용(施用)하고 담수상태(湛水狀態)로 방치(放置)했을 때는 그렇지 못하였다. 2. 생(生)짚 시용(施用)으로 인(因)한 토양환원(土壤還元)인 발달(發達)은 토양(土壤)의 pH를 상승(上昇)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석회시용(石灰施用)으로 인(因)하여 상승(上昇)된 토양(土壤) pH는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에 중탄산(重炭酸) Ion 이 축적(蓄積)되고 탄산(炭酸)까스의 분압(分壓)이 높아짐으로서 점차(漸次) 감소(減少)된다. 이 사실(事實)로 미루어 중간낙수(中間落水)나 중경(中耕)과 같은 작업(作業)은 담수토양(湛水土壤)의 pH를 높이 유지(維持)하는데 유효할 것 같다. 3. 환원(還元)된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생성(生成)된 탄산(炭酸)이나 중탄산염(重炭酸鹽)은 그 토양(土壤)의 완충능(緩衝能)을 증가(增加)할 것이다.

  • PDF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에 대한 염산리도카인-중탄산나트륨과 MS-222의 마취 효과 (Anaesthetic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Sodium Bicarbonate and MS-222 o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박인석;조진희;이수진;김유아;박기의;허준욱;유종수;송영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9-453
    • /
    • 2003
  • Anaesthetic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sodium bicarbonate mixture $(lidocaine\;HCL/NaHCO_3)$ and tricaine methanesulfonate (MS-222) was tested for the greenling (Hexagyammos otakii)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12^{\circ}C,\;8^{\circ}C\;and\;24^{\circ}C.$ Based on the exposure and recovery time, effective dose of lidocaine $HCl/NaHCO_3$ was 800 ppm $(18^{\circ}C)\;and\;300\;ppm\;(24^{\circ}C)$ for greenling of $21.0\pm1.4\;cm$ body length. Anaesthetic dose and temperature-dependent relationship in exposure and recovery time were observed. Effective dose of MS-222 at $18^{\circ}C$ was proven to be 125 ppm and 150 ppm. Combination of lidocaine $HCl/NaHCO_3$ and MS-222, considerably reduced the dosage of each anaesthetic required to give rapid, deep anaesthetic condition. In the dry exposure after anaesthetic, the control fish exhibition $22\%$ mortality after dry exposure of 20 min; whereas, the anaesthetic condition with 800 ppm lidocaine $HCl/NaHCO_3$ for 1 min exhibited delayed recoveries from the anaesthetic condition with mortalities of $20\%,\;41\%,\;78\%\;and\;100\%$ after dry exposures of 8 min, 12 min, 16 min and 20 min,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lidocaine $HCl/NaHCO_3$ can be used as suitable anaesthetic for the greenling.

알칼리도 제어에 의한 SBR 반응조에서의 부분아질산화 (Partial Nitritation in an SBR Reactor by Alkalinity Control)

  • 이창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300
    • /
    • 2013
  • 혐기성 암모늄 산화공정 전처리로써 적절한 $NO_2{^-}-N/NH_4{^+}-N$ 반응비율에 맞는 유출수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실 규모의 연속 회분식 반응기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부분아질산화 적용에 있어서 운전인자들을 이용하여 AOB를 활성화하고, 동시에 NOB를 억제하는 다양한 전략이 있다. 하지만 적용된 인자들은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아질산 축적에 있어서 극복할 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분아질산화의 주 인자를 조사하여 안정적인 공정을 구축하는데 있다. 부분아질산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세적인 인자인 온도, 중탄산알칼리도, pH를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의 결과로써 알맞은 알칼리도 비가 $35^{\circ}C$와 상온 두가지 온도범위에 안정적인 50% 부분아질산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질산화시 필요한 알칼리도를 50% 아질산화에 맞추어 주입하여 질산화과정을 억제하는 것이다. 알칼리도 비는 pH 조절없이 50% 부분아질산화의 전략으로 제안한다. 유출수의 $NO_2{^-}-N/NH_4{^+}-N$ 비가 거의 100%에 다다랐을 때 중탄산알칼리도는 각각 6.8, 6.7이 되었다. PCR-DGGE의 미생물 분석 결과 암모늄산화균이 지배적인 질산화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NOB는 억제되어 활성을 잃은 것으로 사료된다.

Turtle bladder의 수송기작(輸送機作)에 관한 연구 : I. 방광(膀胱)의 상피조직(上皮組織) (Studies on Transport Mechanisms of Turtle Bladder I . Epithelium of Urinary Bladder)

  • 전진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19권2호
    • /
    • pp.119-137
    • /
    • 1989
  • Turtle bladder의 상피조직(上皮組織)과 세포막(細胞膜) 투과성(透過性)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을 적용(適用)하여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을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방광상피(膀胱上皮)의 3가지 주요세포형(主要細胞形)은 granular-cell, ${\alpha}$${\beta}$형(形)의 CA-rich cell로서 구분된다. 2.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의 주요기능(主要機能)은 $Na^+$ 재흡수(再吸收)이며, 두 단계(段階)의 수송과정(輸送過程)으로 설명되며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을 통한 $Na^+$의 세포내(細胞內) 확산이동(擴散移動)과 그후 기저막(基底膜)에 위치한 $Na^{+}\;-K^{+}$ 펌프에 의한 능동수송과정(能動輸送過程)이다. 3. ${\alpha}$${\beta}$형(形) CA-rich cell은 $Na^+$ 수송(輸送)에 관여하지 않으며, ${\alpha}$형(形)의 CA-cell은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의 proton펌프를 이용하여 proton 분필(分泌)에 관여한다. 또한 ${\beta}$형(形)의 CA-cell는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을 통한 $HCO_{3}^-$ 분필수송(分泌輸送)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의 적용하에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의 특성(特性)을 관찰한 바, ${\alpha}$형(形)의 CA-cell의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은 proton펌프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이는 intramembrane particle이 다수 관찰되고 있으며, ${\beta}$형(形) CA-cell은 기저세포막(基底細胞膜)에서 이와같은 intramembrane particle이 나타나고 있다. 5. 상술(上述)한 두 type의 CA-cell에서 수송특성(輸送特性)의 차이는 proton 및 $HCO_{3}^-$ 분필수송(分泌輸送)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삶는 방법에 따른 수리취(Synurus palmatopinnonatifidus var. indivisus KITAM.)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Boil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 Ri Chwi(Synurus palmatopinnonatifidus var. indivisus KITAM.))

  • 김명희;박용곤;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1-705
    • /
    • 1992
  • 수리취의 삶는 방법을 달리하여 조리한 후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생수리취와 비교 분석하였다. 조리수는 물, 1%소금, 1%중조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삶는 시간은 물과 소금 첨가 조리수에서 30분, 중조첨가 조리수에서 10분으로 하였다. 삶는 수리취액의 pH는 중조를 조리수에 이용한 것이 8.21로 가장 높았고, 수리취잎의 색도 중 녹색도(a)의 경우 중조처리구가 생수리취(-10.50)와 가장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 및 비타민 C의 함량 또한 중조의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조리방법에 따른 변화의 정도가 적었다. 생수리취의 무기질은 Mg, K, Ca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삶은 후에는 조리수에 따라 그들의 함량에 다소 차이가 있었고, 소금, 중조 처리구의 경우 N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생수리취의 가용성 단백질은 70%가 album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조리에 의해 albumin은 감소한 반면 glutelin, globulin 및 prolami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수리취에서 분리 정제한 알콜 불용성 물질의 식이섬유 함량은 조리방법에 따라 NDF, ADF, cellulose, lignin값이 감소한 반면 hemicellulose값은 증가하였다.

  • PDF

고비표면적 탈황용 석회소재 제조 (Manufacturing of Lime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for Desulfurization)

  • 권석제;김영진;김양수;서준형;조진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24
  •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황산화물(SOx)의 배출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서는 황산화물 처리를 위해 중조(NaHCO3)와 석회소재를 사용하며 중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부존자원인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중조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회석은 박스형 전기로와 수직형 전기로를 통해 열처리했으며, 수직형 전기로가 가진 구조적 특징에 의해 비표면적 22.33 m2/g, 세공용적 0.14 cc/g의 생석회를 제조하여 석회소재의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