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study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86초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for Bibliographic Records of Provider Supplied E-monograph Package)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69
    • /
    • 2013
  • OPAC내에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구축시 서지레코드의 중복과 비일관된 목록기술은 이용자의 자원 식별에 어려움을 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를 위해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지침의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전자책 목록에 관한 이론적 배경, 국내외 전자책관련 목록규칙 및 입력지침,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입력지침을 조사하였으며,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국내 15개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구축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를 위한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지침의 적용방안을 목록규칙, KORMARC, 중립레코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과 공급자 모두를 위한 전자책 패키지 서지레코드의 입력지침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OPAC에서 전자책의 FRBR 구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방안 (Improving the Quality of Bibliographic Data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노지현;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05-128
    • /
    • 2023
  • 부산지역에서는 2020년 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든 도서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통합도서관시스템(ILS)을 구축하고, 지역 내 49개 공공도서관과 103개 공립작은도서관의 서지데이터를 통합하였다. 그러나 각 도서관은 여전히 개별적으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고 있고, 각 도서관에서 구축한 서지데이터는 물리적으로만 통합되어 있을 뿐 통합환경을 활용한 업무효율이나 데이터의 고품질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서지데이터 구축체계와 품질을 분석하고 통합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실행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식을 조사하고, (2) 구축된 서지데이터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3) 발견된 주요 문제점을 토대로 4가지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행전략은 서지데이터의 품질 제고 뿐만 아니라 업무효율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반 구축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서이용 데이터에 기반한 독서자료의 속성 분석 (Bibliographic Attribute Analysis of Reading Material Based on Book Usage Data)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9-306
    • /
    • 2023
  •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의 이용요구가 혼재되어있는 독서자료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서의 동시이용 (동시대출, 동시구매) 데이터에 기반하여 독서자료의 선택 및 이용과 관계된 서지적 속성을 분석하였다. KDC 주제, 독자대상, 이용자 연령 관련 26개 하위 속성 단위로 구분하여 서지적 속성 용어의 동시출현행렬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독서자료의 서지적 속성의 세부 내용 및 두드러진 매개 역할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OPAC을 비롯한 독서정보 시스템의 패싯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어 서지레코드에 있어 FRBR 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ty of FRBR Model in Korean Bibliographic Record)

  • 김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5-314
    • /
    • 2007
  • IFLA의 FRBR 모형은 서지레코드에 있어 매우 유용한 모형이다. 이 연구는 FRBR 모형의 저작개념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레코드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KDC 주류별로 100건씩 1,000건의 서지레코드를 무작위 추출하여 FRBR 모형의 저작유형별 출현빈도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FRBR 모형을 적용할 경우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저작은 단순저작과 복잡저작을 합산한 16.9%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지적 관계가 복잡할수록 유용성이 높게 나타나며, 한 저작에 번역, 개정, 개작, 복제, 해설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작유형을 동시에 갖고 있는 저작은 일부 문학류의 고전작품 등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FRBR 모형의 저작개념을 보다 확대 적용하여 원작에 대한 해설이나 비평까지도 같은 범주의 저작개념에 포함하는 것이 더욱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Open API를 이용한 서지레코드와 목록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Records and the Expansion of Library Catalog Using Open API)

  • 구중억;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99-32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다음, 알라딘, Amazon, Google, KERIS, LibraryThing, OCLC 등 8개의 도서용 Open API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C대학교 도서관의 서지레코드에서 '광학'(DDC 535) 분류 167건의 표본 서지레코드를 선정하여 Open API의 활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Open API를 이용한 서지레코드의 접근점 기능 확대와 목록 확장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12개의 Open API 적용 모형을 실험적으로 구현하였다. 또 통합서지용 KORMARC 001, 010, 012, 020, 035, 246, 505, 520, 850, 856 필드들을 대상으로 Open API를 이용하여 서지레코드의 접근점 기능 확대와 목록 확장방안들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표본 서지레코드의 OPAC 검색결과 간략화면과 상세화면을 대상으로 Open API를 이용하여 목록 확장방안들을 예시로 구현하였다.

서지식별기호를 이용한 URN 변환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ISBN, ISSN, NBN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URN Resolution System Using Bibliographic Identifiers as URN - ISBN, ISSN, NBN as Its Central Issue -)

  • 김성준;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49-177
    • /
    • 2002
  • URIs는 정보 접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별체계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식별체계인 ISBN, ISSN, NBN을 URN으로 이용하여 URN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 URN의 기능적 요구사항, 부호화 요구사항, 구조적 측면을 바탕으로 서지식별기호들의 URN 사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SBN, ISSN, NBN은 URN으로서 사용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RDS를 기반으로 한 서지식별 체계의 URN 변환 시스템을 각각 설계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발전경향 연구 - 미국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ing Trends of Bibliographic Instruction of University Library)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7-152
    • /
    • 1998
  • 오늘날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은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실시되어야 하고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은 참고봉사의 일환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지도 어느덧 4반세기가 지나고 있으나 초보적인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시작된것은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성숙기에 머무르고 있다. 미국의 대학도서관이 오늘날의 성숙된 이용교육 현장에 이르기까지의 발자취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그 발전경향을 파악하였다. 미국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발전과정을 다섯기로 구분한다. 제1기 태동기(1800년~1900년), 제2기 개발기(1901년~1940년), 제3기 침체기(1941년~1968년). 제4기 부흥기(1969년~1980년). 제5기 미래지향기(1981년~현재)로 구분하였다. 발전과정을 고찰하여 파악된 결과들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서지 네트워크의 웹 이용자 서비스 연구 (A Study on the Web User Service of the Bibliographic Network)

  • 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7
    • /
    • 2010
  • 검색엔진, 웹 포털사이트, 온라인 서점 등이 정보의 유통을 주도하면서 도서관과 도서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목록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서지 네트워크 기관에서도 웹 환경의 일반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과정, 도서관과 목록 환경의 변화, 차세대 목록 인터페이스와 OPAC 2.0의 모습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표적인 서지 네트워크 기관으로 최근 주목할 만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OCLC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웹 이용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을 세 가지 전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뿐만 아니라, 도서관과 목록 서비스의 변화와 개선 전략으로도 참고가 되리라 기대한다.

서지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도서의 저작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Work Types of Korean Books Based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3-200
    • /
    • 2007
  • 오늘날 어떤 저작이 창안되어 출판되면 거기서 파생되어 생산되는 관련 저작물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 원작과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하구 출판매체를 달리하여 새로운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내용을 각색하여 새로운 저작으로 출간하기도 하구 내용을 일부 개정하거나 축약하기도 한다. 원작에서 파생된 이들 저작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서로 서지적 관계가 존재하며, 이용자들은 이들의 서지적 관계를 유추하여 필요할 경우 관련 저작을 찾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지적 관계를 기반으로 전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한국어 도서의 저작유형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어 도서의 저작특성과 목록기술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장차 이들 자료를 조직하여 구조화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DLS의 서지적 기술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Bibliographic Items of DLS)

  • 김예지;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5-246
    • /
    • 2020
  • 본 연구는 현행 DLS의 서지적 기술요소가 지니고 있는 한계 및 학교도서관 장서 이용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도서관 장서가 지니고 있는 서지적, 교육적 특성을 반영한 서지적 기술항목을 제안하였다. 현재 DLS에서 자료 유형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구조를 일원화하고, 일반모드와 전문가모드로 분리되어 있는 서지 입력 방식을 통합하여 ISBD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학교도서관 장서의 기술항목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장서의 서지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의 기술을 위해 총 10개 상위 기술항목 및 34개 하위 기술항목을 계층적 구조를 통해 구성하였다. 이는 현재 DLS가 지니고 있는 서지적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교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서지적, 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도서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서지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