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C$_2$S

검색결과 1,572건 처리시간 0.035초

Anti-inflammatory effect of ozonated krill (Euphausia superba) oi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Kim, Hong-Deok;Lee, Soo-Bin;Ko, Seok-Chun;Jung, Won-Kyo;Kim, Young-Mog;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15.1-15.9
    • /
    • 2018
  • Background: Inflammation has been known to associate with many human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anti-inflammatory effect of ozonated krill (Euphausia superba) oil, which was prepared by the treatment of krill oil using ozone ga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valuat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Results: Ozonated krill oil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suppres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Ozonated krill oil also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ozonated krill oil, we evaluated the effects of ozonated krill oil on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pathway. Ozonated krill oil suppressed the LPS-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p38 MAPK and c-Jun N-terminal kinases (JNK).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zonated krill oil exhibited an anti-inflammatory effect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ozonated krill oil suppressed pro-inflammatory mediator and cytokine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by inhibiting the phosphorylation of p38 MAPK and JNK.

Coercivity Enhancement of Sintered Nd-Fe-B Magnets by Grain Boundary Diffusion with DyH3 Nanoparticles

  • Liu, W.Q.;Chang, C.;Yue, M.;Yang, J.S.;Zhang, D.T.;Liu, Y.Q.;Zhang, J.X.;Yi, X.F.;Chen, J.W.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8권4호
    • /
    • pp.400-404
    • /
    • 2013
  • Grain boundary diffusion technique with $DyH_3$ nanoparticles was applied to fabricate Dy-less sintered Nd-Fe-B permanent magnets with high coercivity. The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magnets were systematically studied. The coercivity and remanence of grain boundary diffusion magnet were improved by 60% and reduced by 7% compared with those of the original magnet, respectively. Meanwhile, both the remanence temperature coefficient (${\alpha}$) and the coercivity temperature coefficient (${\beta}$) of the magnets were improved after diffusion treatment. Investigation shows that Dy is preferentially enriched as (Nd, Dy)$_2Fe_{14}B$ phase in the surface region of the $Nd_2Fe_{14}B$ matrix grains indicated by the remarkable enhancement of the magneto-crystalline anisotropy field of the magnet. As a result, the magnet diffused with a small amount of Dy nanoparticles possesses enhanced coercivity without remarkably sacrificing its magnetization.

토끼의 혈장내 Aldosterone 농도에 미치는 Aspirin과 Furosemide의 영향 (Effects of Aspirin and Furosemide on Plasma Aldosterone Level in Rabbits)

  • 서영진;이권행;김옥녀;이상복;조규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
    • /
    • 1984
  • It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secretion of aldosterone is mainly regulated by angiotensin II in animals and humans, however, potassium and ACTH are also proposed as other humoral factors involved in the aldosterone secretory process. Recently, stress, anesthesia, adrenergic stimulation, low sodium intake or water deprivation stimulate plasma renin activity, while high sodium intake and deoxycorticosteroid have been reported to cause suppression of renin activity in animals. It seems that overall response of aldosterone secretory mechanisms reflects complex interactions both intrarenal and extrarenal components. Furosemide has been widely used to investigate the control of renin secretion by the kidne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uretics and the disposition of endogenous aldosterone were reported (Oh, 1984). The sequential with 10 min interval samples of plasma were collecte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furosemide(1 mg/kg), aspirin(10 mg/kg), respectively. And also similar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propranolol (10 mg/kg) pretreated rabbi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entration of plasma aldosterone was average of $426.I{\sim}485.5pg/ml$ in normal rabbits. Plasma concentrations of aldosterone rised significantly after injection of furosemide during 50 min, and the rise of plasma aldosterone was blocked by the propranolol pretreatment 2) Significant fall in the plasma level of aldosterone after injection of aspirin was not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creased secretion of aldosterone induced by furosemide administration is mediated through ${\beta}-receptors$, and the possible role of prostaglandin is substantiated.

  • PDF

생약복합물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의 유전자 발현 연구 (A Study on the Gen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by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9-73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복합제제인 SH21B의 adipogenesis 억제 효능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H21B는 7가지 생약성 천연물질인, 황금, 행인, 마황, 석창포, 포황, 원지 및 하엽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3T3-L1을 이용한 in vitro 연구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연구에서 SH21B의 adipogenesis 억제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작용하는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반응(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SH21B를 처리한 지방세포와 그렇지 않은 지방세포를 비교한 결과, 최종마커인 ADIPOQ와 SLC2A4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마커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심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 역시 SH21B의 처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좀 더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핵심전사인자의 상위에 위치한 다양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중, Krox20과 KLF15의 유전자 발현이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C/$EBP{\beta}$와 KLF5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다양한 상위조절자 중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인 Krox20과 KLF15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 등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면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반응의 결과임을 제시한다.

일부 산업보건기관들의 혈중연 분석치 비교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Blood Lead Determination in Some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in Korea)

  • 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5
    • /
    • 1995
  • 사람의 독성 영향을 평가하는데는 생체 시료중 금속의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나라는 최근에 산업보건 분야에서 이 문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법적인 정도관리 제도를 도입하였다. 연은 특수건강 진단과 산업위생 정도관리 프로그램에서 표준적인 금속으로 이용된다. 과거 20 여년 동안 연중독은 중금속 중독증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따라서 산업보건 전문기관들은 혈중연 분석의 능력은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 왔다. 또한 혈중연은 연 폭로를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므로 신뢰성과 정확한 분석이 항상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산업보건기관에서 혈중연 분석의 실험실간 측정치의 변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축전지 제조공장의 68명 연폭로 근로자로부터 2 ml씩 2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그 하나는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SIIM)에서 분석하고 40개의 시료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CIIM), 그리고 나머지 28개의 시료는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JOHC)에서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한편 일본 전국노동위생연합회(JFOHO)에서 정도관리용 우혈을 농도별로 6종을 구입하여 우리나라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 Y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S 대 환경보건과, D 연구소등 6개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도 3%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평균값에서 역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최고 6.84% 였다. 2.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 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가 15% 이하의 차이를 나타낸 시료의 수는 40개중 35개로 87.5%의 일치율을 나타내었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28개 시료중 22개로 78.6%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3.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의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단순회귀식은 순천향 = 2.19 + 0.9243 C 대학(p=0.0001), 상관계수는 r = 975(p =0.0001)였으며, 일본 기관과는 순천향 = 1.91 + 0.9794 K 일본(p=0.0001), 상관계수 r = 0.965(p=0.0001)였다. 4. 일본 정도관리시료의 공인 값과 본 연구에서 이들 시료를 분석한 기관들 간의 분석치에 대한 단순회귀식의 설명력(R2)은 모두 0.99 이상이었으며 일본 정도관리 시료의 공인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국내 및 일본 기관들의 정도관리 시료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기울기는 0.972에서 1.153으로 정체적으로 양호한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 PDF

시호 Saponin의 혈소판 활성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latelet Activation of Saikosaponin Isolated From Bupleuri Radix)

  • 박영현;송민주;김남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5-359
    • /
    • 1998
  • 식물중에서 배당체 일종인 saponins을 다량 함유한 시호(Bupleurum falcatum)로부터 생체 조절 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혈소판 활성화 작용을 통하여 뇌심혈관계 질환 연구에 이용하고자 시호 용매 분획물에서 분리 및 동정한 Saikosapini을 thronbin, collagen, arachidonic acid 등의 효능제(agonist)와 세포의 $Ca^{2+}$ 의존성을 비교연구하였다. 시호 용매추출물 중에 acetone 추출물이 혈소판 응집작용이 강하며, 그 유효성분을 분리 및 동정한 saikosaponin a와 d는 C16 위치에 각각 ${\alpha}와\;{\beta}$형의 OH기를 갖는 이성체로, saikosapnin d가 a보다 강한 응집작용을 갖는 구조활성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각 효능제에 따라서 혈소판 활성화에 대한 세포의 $Ca^{2+}$ 의존성은 thrombin > colagen $\geq$ PAF>PMA> arachidonic acid $\geq$ Ionophore A23187순으로 나타났다. 시호 추출물 및 saikosaponin의 혈소판 활성화 작용은 기존 효능제와 다른 세포의 $Ca^{2+}$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트립톨라이드가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과 노화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 (Triptolide Mimics the Effect of Dietary Restriction on Lifespan and Retards Age-related Diseases in Caenorhabditis elegans)

  • 백선미;박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1-937
    • /
    • 2018
  • 뇌공등에 함유되어있는 트립톨라이드는 뛰어난 항염증,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이전 연구에서 트립톨라이드의 섭취가 개체의 항스트레스 효능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킴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트립톨라이드에 의한 수명연장에 관여하는 세포 내 기전과 트립톨라이드가 노화관련 질환인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트립톨라이드는 인슐린/IGF-1-like 신호전달 저하에 의한 수명연장 돌연변이인 age-1과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저하에 의한 수명연장 돌연변이인 clk-1의 수명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반면, 식이제한 유도 돌연변이인 eat-2의 수명에는 유의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또한 박테리아 희석을 이용한 식이제한에 의해 연장된 수명을 추가적으로 더 연장시키지 못했다. 트립톨라이드 섭취는 고농도의 당 섭취에 의한 체내 독성과 사람 아밀로이드 베타 형질전환 유전자로 인한 체내 독성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트립톨라이드에 의한 수명연장이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 기전과 중복되며, 트립톨라이드가 노화관련 질환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트립톨라이드는 식이제한 효능을 대체할 수 있는 식의약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형질전환 체세포로부터 소 복제수정란의 효율적인 생산 (Efficient Production of Cloned Bovine Embryos from Transformed Somatic Cells)

  • Wee G.;B. H Sohn;Park, J. S.;D. B. Koo;Lee, K. K.;Y. M. Han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4
    • /
    • 2003
  • 인체 트롬보포이에틴(hTPO)은 megakaryopoiesis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트롬보포이에틴을 유선조직에서 직접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소 베타 카제인 프로모터, 인체 트롬보포이에틴 cDNA 및 네오유전자로 구성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소 귀조직 세포로부터 유도된 섬유아세포에 lipoffctamine을 이용하여 발현벡터(pBT-L n대)의 삽입을 유도하였다. G4l8 저항성을 지닌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2주 이상 배양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 콜로니는 PCR에 의해 동정하였으며, 이들 콜로니를 핵치환 전까지 계속적으로 증식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재구성된 난자는 전기적인 융합과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한 활성화를 실시하였으며, 체외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35개의 콜로니를 PCR에 의해 분석한 결과, 이 중 29(82.9%)개가 형질전환된 콜로니였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의 난할율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65.1%와 23.8%로 나타났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로부터 발달한 29개의 배반포 중 27개가 형질전환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형질전환 소 수정란을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있다.

인삼(人蔘)사포닌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대한 지용성(脂溶性) 비타민의 첨가효과(添加效果) (Study on the Additional Effect of Fat-Soluble Vitamins to Antioxidative Action of Ginseng Saponin)

  • 이향숙;우순임;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115
    • /
    • 1983
  • 1.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vitamin A와 D가 인삼사포닌 단독보다 높아 지용성 비타민 첨가에 의한 상승효과가 인정되었다. 2. 과산화지질 생성초기의 유도기간은 vitamin A, D를 첨가했을 때 대조군이나 인삼 사포닌보다 효과적으로 유도기간을 연장시킴을 알 수 있었다. 3. in vitro에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을 TBA value로 조사한 결과 vitamin E>A>D의 순으로 지용성 비타민의 첨가효과가 인정되었다. 4. in vivo실험에서 인삼 사포닌 및 지용성 비타민 첨가 투여에 의한 rat의 체중 및 간장, 신장의 장기중량 변화는 지용성 비타민의 첨가가 체중증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간장은 비타민 첨가군에서 다소 중량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신장의 중량변화에는 큰 유의성을 발견 할 수 없었다. 5. in vivo실험에서 인삼 사포닌 및 지용성 비타민 첨가 투여에 의한 rat의 혈액에서의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작용은 vitamin E>D>A의 순으로 나타났고, 간장에서는 vitamin A와 E첨가군에서 효과적임이 인정되었다.

  • PDF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tween Lentinula edodes and New Cultivar Lentinula edodes GNA01)

  • 장혜림;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행란;황진봉;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84-14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흡하고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 수요가 부족한 이슬송이버섯의 보급 확대 및 수요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슬송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슬송이버섯은 중국 복건성 삼명진연구소 L26과 경원9015를 모균주로 하여 교배된 신품종 표고버섯으로 표고버섯과 달리 갓과 자루의 구별이 없는 구형을 띠고 있다. 이슬송이버섯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및 조단백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낮았으나 조회분, 조지방, 조섬유 및 탄수화물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높았다. 이슬송이버섯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19.05{\mu}g/100g$으로 표고버섯의 베타카로틴 함량보다 약 3배 높았으며, 비타민 D 함량 또한 $118.53{\mu}g/100g$으로 표고버섯의 약 2배로 확인되었다. 주요 무기질은 K으로 측정되었으며, Mg 함량이 표고버섯의 약 2배로 측정되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슬송이버섯 및 표고버섯의 지방산 함량과 조성은 모두 불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linoleic acid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슬송이버섯의 총 페놀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낮았으며, 1,1-diphenyl-2-picrylhydrazyl 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또한 모든 농도에서 표고버섯보다 낮았다. 그러나 이슬송이버섯은 10 m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FRAP 또한 1에 가까운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슬송이버섯은 비록 항산화 활성은 표고버섯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D 함량은 표고버섯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추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훌륭한 식품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