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nzyl alcohol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우르솔릭산 피부 적용제제의 설계 및 평가 (Formulation Design and Evaluation of Ursolic Acid Microemulsion Delivery System for Topical Formulation)

  • 박종희;경기열;이계원;지웅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4호
    • /
    • pp.233-241
    • /
    • 2005
  • Ursolic acid (UA), a bioactive triterpene acid, has been known to increase collagen content in human skin in addition to other actions such as anti-inflammatory, skin-tumor prevention and anti-invasion. However, it is poorly soluble in water. Therefore, we firstly prepared microemulsion system with benzyl alcohol, ethanol and Cremophor EL, RH 40 and Brij 35 as surfactant in order to increase solubility of UA and then prepared microemulsion was dispersed in o/w cream base for the topical delivery of UA in an effort to improve anti-wrinkle effect. The pseudo-ternary phase diagrams were developed and various microemulsion formulations were prepared using benzyl alcohol as an oil, Cremophor EL, RH 40 and Brij 35 as a surfactant. The droplet size of microemulsions was characteriz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accumulation of VA in the skin from topical cream was evaluated in vitro using hairless mouse skins. The mean droplet size was $26.8{\pm}6.6$ nm for microemulsions II with Cremophor EL. All UA creams showed pseudoplastic flow and hysterisis loop in their rhe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s added in topical creams. The in vitro accumulation data demonstrated the UA topical cream pre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Poloxamer 407 and Xanthan gum as a copolymer showed higher accumulation percentage than those prepared with either Poloxamer 407 or Xanthan g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UA topical cream using microemulsion systems may be promising for the topical delivery of UA.

Propolis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Propolis)

  • 송효남;김영언;황인경;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53-1158
    • /
    • 1999
  • 밀원식물을 달리하여 채집된 두 종류의 국내산 propolis의 향기성분을 Aroma Scan과 GC/MS로 분석하였다. Aroma Scan으로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의 두 propolis는 서로 다른 향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GC/MS 분석한 propolis의 향기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 Propolis의 44종과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47종을 포함한 총 55종이 검출되었다. Aldehydes 5종, alcohols 8종. ketones 5종, esters 3종. fatty acid 1종을 비롯하여 27종의 hydrocarbons과 2종의 terpenes 및 4종의 phenolic derivatives가 검출되었다. Benzaldehyde, cinnamyl alcohol, eudesmol 및 benzyl benzoate 등을 포함한 36종의 화합물은 두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geraniol과 n-undecane을 포함한 8종의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동정되었으며, piperitenone과 valencene을 포함한 11종의 화합물은 밤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검출되어 밀원 식물에 따라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4-Chloro-{\alpha}-(4-chlorophenyl)-{\alpha}-(trichloromethyl)$ Benzyl Alcohol(Dicofol)의 각종유기용매중(各種有機溶媒中)에서의 안정성(安定性) (Stability of $4-Chloro-{\alpha}-(4-chlorophenyl)-{\alpha}-(trichloromethyl)$ Benzyl Alcohol(Dicofol) in Various Organic Solvents)

  • 신현화;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77-181
    • /
    • 1982
  • Dicofol의 각종(各種) 유기용매(有機溶媒)에 대(對)한 안정성(安定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5^{\circ}C$에서 7일간(日間) 방치(放置)하여 그 침전생성유무(沈澱搬成有無)를 조사(調査)하고, $50^{\circ}C$에서 56일간(日間) 처리(處理)한 다음 각종용매(各種溶媒)에 대(對)해서 Dicofol의 분해형태(分解形態)를 T.L.C.로 확인(確認)하였으며, 그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을 2주(週)간격으로 gas chromatography로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Dicofol 수화제(水和劑)와 N.N-dimethylformamide 및 cyclohexanone용액(溶液)에서는 Dicofol의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이 각각(各各) 1.2%, 6.7%, 13.3%이었으나 xylene, toluene, M.I.B.K. 및 isophorone용액(溶液)에서는 거의 주성분(主成分) 분해(分解)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5^{\circ}C$에서 7일간(日間) 방치(放置)하였을 때 isophorone 을 제외(除外)한 xylene, toluene 및 M.I.B.K. 용액(溶液)에서는 침전(沈澱)이 생성(生成)되어 Dicofol의 용제(溶劑)로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사실(事實)로 미루어 볼 때 공시(供試)된 각종(各種) 유기용매중(有機溶媒中)에서 Dicofol의 제제상(製劑上) 가장 적합한 용매(溶媒)는 isophorone임을 알았다.

  • PDF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 꽃의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Acacia Flower(Robinia pseudo-acacia))

  • 권중호;변명우;김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9-793
    • /
    • 1995
  • 전통 화식문화(花食文化)의 재조명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카시아 꽃잎의 화학성분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꽃잎의 수분함량은 86.6%이었다. 건물량 기준으로 조단백질 24.55%, 조회분 8.51% 및 총당 40.97%은 비교적 높은 함량이었으며, 아스코르브산도 160.44 mg%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당 함량은 건물량으로 fructose 75.23mg/g, sucrose 61.70mg/g 및 glucose 43.69mg/g 순이었고, 무기질은 주로 칼륨, 마그네슘, 칼슘, 철, 나트륨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44.44%, 리놀레산 19.31%, 리노렌산 12.90% 등의 순이었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는 약 1.7 : 1이었다. 분석된 18종의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의 비는 약 0.32%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대부분이 저비점의 탄화수소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octadecanoic acid 24.19% benzyl alcohol, 9.41%, linalool 7.05% heptacosane 5.43%, geraniol 4.28% 등이 주요 향기성분이었다.

  • PDF

양송이의 숙도지연에 다른 휘발성 향기성분과 아미노산의 변화 (Monitoring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Amino Acids in Fresh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ssociated with Shelf-Life Extension)

  • 권중호;변명우;윤형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4-519
    • /
    • 1990
  • 양송이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한 전리에너지 처리가 버섯의 품질에 관련된 휘발성 향기성분과 아미노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료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된 1-octen-3-ol(68%), benzaldehyde(13%), 3-octanone(8%), benzyl alcohol(5%), 3-octanol(2%), 1-octen-3-one(1%) 등의 eight-carbon 화합물과 방향족 화합물들을 2kGy의 감마선 조사와 저장조건(17일간, $9{\pm}1^{\circ}C,\;80{\pm}7%\;RH)$에 의해 함량의 증감현상이 나타났으나 대조시료와 감마선 조사시료에서 각각 추출된 휘발성 성분의 GC pattern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함유황유리아미노산은 2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그 밖의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첨가제를 이용한 액체연료의 열안정성 향상 (Thermal Stability Improvement of Liquid Fuel by Using Some Additives)

  • 박선희;김중연;전병희;한정식;정병훈;김성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4-2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열안정제)를 이용하여 exo-tetrahydrodicyclopentadiene (exo-THDCP, $C_{10}H_{16}$)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실험은 반응 진행 중 미량의 시료 추출이 가능한 회분식 반응기에서 수행되었다. 추출한 시료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를 이용해 성분 분석하여 첨가제 성능-exo-THDCP의 열분해성-을 확인하고, 반응시간에 따른 exo-THDCP의 분해생성물의 성분 및 조성 변화를 통해 첨가제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열안정제로써 수소공여체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1,2,3,4-tetrahydroquinoline (THQ), benzyl alcohol (BnOH) 등을 첨가하였을 때 exo-THDCP의 열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수소공여체 물질들은 개시반응이 진행된 exo-THDCP 라디칼에 수소원자 (hydrogen radical)를 제공함으로 라디칼의 반응성을 완화시켜 1차 생성물의 활성을 감소시키어 2차생성물질인 $C_{11}$ 이상 생성물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Novel Method for Preparing of Oxoruthenates Complexes: trans-[RuO3(OH)2]2-, [RuO4]-, (n-Pr4N)+[RuO4]- and [RuO4 and Their Use as Catalytic Oxidants

  • Shoair, Abdel-Ghany F.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0호
    • /
    • pp.1525-1528
    • /
    • 2005
  •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K_3[Ru(C_2O_4)3]{\cdot}4H_2O\;(C_2O_4}^{2-}$ = oxalato anoin) complex are described, and its redox properties (in buffer solution of pH = 12) have been investigated. This complex is used for in situ generation of oxoruthenates complexes which have been characterized by electronic spectroscopy. Reaction of ${K_3[Ru(C_2O_4)3]{\cdot}4H_2O$ with excess ${S_2O_8}^{2-}$ in molar KOH generates trans-${[RuO_3(OH)_2]^{2-}/S_2O_8}^{2-}$ reagent while with excess ${BrO_3}^-$ in molar $Na_2CO_3$ generates ${[RuO_4]^-/BrO_3}^-$ reagent. Avoiding the direct use of [$RuO_4$] the organic-soluble $(n-Pr_4N)^+[RuO_4]^-$, (TPAP) has been isolated by reaction of $K_3[Ru(C_2O_4)3]{\cdot}4H_2O$ with excess ${BrO_3}^-$ in molar carbonate and n-$Pr_4$NOH. In a mixture of $H_2O/CCl_4$ ruthenium tetraoxide can be generated by reaction of $K_3[Ru(C_2O_4)3]{\cdot}4H_2O$ with excess ${IO_4}^-$. The catalytic activities of oxoruthenates that have been made from $K_3[Ru(C_2O_4)3]{\cdot}4H_2O$ towards the oxidation of benzyl alcohol, piperonyl alcohol, benzaldehyde and benzyl amine at room temperature have been studied.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의 기호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ld T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11-1020
    • /
    • 2003
  • 갈색도를 나타내는 420nm에서는 한국차의 경우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672nm에서는 녹차 및 반발효차에서 특징적인 peak를 보였고,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감소되어 강발효차에서는 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녹차 및 각 발효차 가루 및 차추출액의 색도는 모두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정도가 같은 차라도 추출액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녹차와 각 발효차의 추출액에 대한 관능 검사의 결과 향미는 발효차의 경우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약발효차는 각 온도에서 향미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맛은 녹차의 경우 추출물의 온도가 60∼7$0^{\circ}C$일 때 가장 좋은 선호도를 보였고, 중발효차와 강발효차는 추출물의 온도가 9$0^{\circ}C$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차의 선호도는 녹차, 강발효차, 중발효차, 약발효차의 순이었다. 향기성분은 녹차에서는 7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29.919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linalool, geraniol, nerolidol, benzyl alcohol과 linalool oxide로 나타났다. 약발효차는 76개의 peak가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59.077 mg/kg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은 geraniol, linalool, linalool oxide, ethanol, benzyl alcohol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녹차의 성분과 유사하였다. 중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455.608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ethyl acetate, 3-methylbutanal, ethanol, (E)-2-hexenal, (E)-geraniol, linalooloxide으로 나타났다. 강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680.521mg/kg이며 주요성분은 3-methylbutanal, ethyl acetate, geraniol, ethanol, (E)-2-hexenal, hexanal, linalooloxide로 나타났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향기성분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알데히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Green Tea during Growing Season at Different Culture Areas)

  • 이주연;왕려비;백주현;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6-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차이, 그리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주와 전남지역에서 재배한 차의 생엽을 시기별로 채취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SPME를 사용하여 포집, 흡착하여 GC, GC-MS, GC-O, 그리고 retention time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분의 양은 수분함량을 고려한 건조함량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엽이 78-80%, 건조엽이 3.20-4.98% 정도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흡착에 사용되는 SPME 방법은 이전의 여러 방법에 비해 분석시간이 짧고 본래의 향이 아닌 방해성분의 생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ME fiber는 7.4%의 높은 재현성을 가졌으며 표준물질(ethyl n-heptanoate)의 내부표준법에 의한 재현성 결과에서는 불안정한 peak area값(RSD 30.5-98.7%)을 가져 3.47%의 재현성 결과를 가진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을 비교한 결과, 5월에 채취한 생엽의 휘발량이 가장 많았으며, Group I과 Group II 향기특성의 함량비율이 균형적이었다. 휘발량이 가장 많았던 5월에 채취한 생엽을 제주와 전남의 재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주 성분은 Z-3-hexenal, linalool, E-2-hexenol, n-hexanal, Z-linalool oxide, myrcene, benzyl alcohol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채엽 시기가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향기가 다른 녹차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녹차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이용한 녹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Green Tea(Camellia sinensis L. var. Yabukita) by Purge and Trap Headspace Sampler)

  • 이재곤;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7
  •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사용하여 녹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 확인한 후 성분조성을 동시증류추출장치로 추출된 성분가 비교하였다. Headspace법으로는 88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methyl butanal(3.1%), 1-penten-3-ol(5.48%), 2-penten-1-ol(2.89%), hexanal(5.77%), heptanal(2.24%) 등의 비교적 비점이 낮은 성분들과 2,4-heptadienal(4.28%), linalool(2.27%), nonanal(2.06%), 2,6-dimethyl cyclohexanol(2.57%) 및 $\alpha$-pinene(1.52%), caryophyllene(1.70%) 등의 hydrocarbon 화합물, $\beta$-cyclocitral(2.0%), $\alpha$-ionone(2.62%), $\beta$-ionone(2.98%) 같은 carbonyl 화합물이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으로는 64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저비점 성분들보다는 benzyl alcohol(3.79%), linalool(9.52%), terpineol(2.16%), geraniol(2.75%), nerolidol(6.50%) 등의 alcohol 성분들과 $\alpha$-ionone(1.77%), $\beta$-ionone(4.80%), geranyl acetone(1.82%) 등의 ketone 화합물, hexanoic acid(1.45%), nonanoic acid(1.11%) 등의 acid 화합물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