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ly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1초

Supplementation of Either Conjugated Linoleic Acid or γ-linolenic Acid with or without Carnitine to Pig Diet Affect Flavor of Pork and Neutrophil Phagocytosis

  • Lee, Jun-Yeob;Cha, Keun-Hwan;Chae, Byong-Jo;Ohh, Sang-Jip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237-252
    • /
    • 2011
  •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oils containing either CLA, GLA, GLA+Carnitine or corn oil (control) were supplemented to finishing pigs (average 70.8 kg initial BW) diet for 28 d of feeding period. To evaluate the values of the dietary fatty acids, especially in view of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ork; pig performances, carcass characteristics, serum cholesterol, neutrophil phagocytosis, TBARS, electronic nose flavor and fatty acids profile of pork were measur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aily gain and nutrients digestion among treatments, but daily feed intake of CLA enriched diet was lower (P<0.05) than that of other die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ckfat thickness, dressing percentage and carcass grade among pig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oils. Serum tota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be lowered in pigs fed GLA enriched diet. TBARS values during storage of pork were higher in belly from pigs fed control diet whereas the values of belly from pigs fed GLA+Carnitine diet were lower than others. However, difference in TBARS was not remarkable in adipose tissue and 4 weeks extended storage regardless of pork parts.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0 and C18:0 were higher (P<0.05) in pork loin and thin skirt from pigs fed CLA enriched diet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die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atty acids profiles of belly and adipose tissue. CLA accumulation in pork was increased by the dietary CLA supplementation and this could be also confirmed by a slight de novo synthesis of CLA in pork from pigs fed CLA free diets. GLA was selectively accumulated to pork adipose tissue and loin from pigs fed GLA enriched diets. There was no accumulation of GLA when GLA was not supplemented, indicating no de novo synthesis of GLA. Phagocytic activity was the highest (p<0.05) in neutrophil of pigs fed GLA+Carnitine supplemented diet, then, followed by pigs fed GLA supplemented di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agocytosis between control and CLA treatment although the phagocytosis was numerically lowest in pig fed CLA enriched die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electronic nose flavor pattern among treatments regardless of the parts. This study show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functional fatty acids like CLA or GLA was able to result in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feed intake, TBARS, fatty acids profile and flavor of pork, serum cholesterol regulation and neutrophil phagocytosis.

돈육 유래 단백유화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가열 재구성삼겹살 및 가열 재구성 베이컨의 품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Un-Cooked Restructured Belly and Cooked Restructured Bacon using a Protein-Emulsion Material from Pork)

  • 허선진;강근호;양한술;정진연;박구부;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0
    • /
    • 2004
  • 돈육에서 추출한 염용성 단백질과 유화물로 제조한 결착제를 이용하여 재구성 삼겹살과 재구성 베이컨을 제조하고, 재구성육간의 물리적인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구성 베이컨과 삼겹살 간의 육색을 비교한 결과, 명도값(L$^{*}$ )은 재구성 삼겹살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났고, 냉장육과 냉동육으로 만든 베이컨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적색도를 나타내는 a$^{*}$ 와 황색도를 나타내는 b$^{*}$ 역시 재구성 삼겹살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냉장과 냉동육으로 제조한 재구성육간에는 적색도와 황색도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재구성 삼겹살과 재구성 베이컨간의 보수력 비교에서는 재구성 베이컨의 보수력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냉동원료육으로 만든 재구성 베이컨의 보수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재구성 베이컨의 인장강도가 재구성 삼겹살의 인장강도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원료육의 상태에 따른 재구성 베이컨간의 비교에서는 냉장육으로 제조한 재구성 베이컨의 인장강도가 냉동원료육으로 만든 재구성 베이컨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높은 인장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재구성 베이컨과 삼겹살간의 관능검사 결과, 육색은 재구성 삼겹살과 냉장육으로 제조한 재구성 베이컨이 냉동육으로 제조한 재구성육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육색을 나타내었다 다즙성과 탄력성은 재구성 삼겹이 재구성 베이컨에 비교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나 연도는 재구성 베이컨이 유의적으로 (p<0.05)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를 보면 재구성 삼겹살이 재구성 베이컨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높게 나타났다.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β-Cyclodextrin의 급여효과 (Influence of Feeding β-Cyclodextrin on Reducing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Pork)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8-334
    • /
    • 2006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사료 내 ${\beta}CD$의 급여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생체중 50 kg의 3원교잡종 거세 수퇘지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한 후, 시판체중인 110 kg 도달시까지 약 9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일일 사료섭취량, 일일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beta}CD$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의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총지질,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특히 ${\beta}CD$ 5.0% 첨가구에서 각각의 감소율은 21.80%, 55.58% 및 27.69%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돼지고기 삼겹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에서 각각 5.33mg, 12.70mg및 15.23 mg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으며, 특히 이 값을 콜레스테롤의 감소율로서 나타냈을 때 각각 6.44%, 15.36%, 18.42%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 결과는 돼지에서 ${\beta}CD$첨가급여가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식이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벼의 칼슘-의존성 단백질 카이네즈 유전자인 OsCPK11의 기능적 분석 (A Functional Analysis of OsCPK11, a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 (CDPK) Gene in Rice)

  • 이수희;이정은;필립 데이;사이몬 길로이;김성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33-1244
    • /
    • 2017
  •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s (CDPKs)는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벼(Oryza sativa)에는 29개의 CDPKs가 확인되었지만 그들의 기능은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OsCPK11 유전자에 초점을 맞춰 그것의 기능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벼의 어린 잎, 성장한 잎, 꽃에서 OsCPK11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발현이 확인되었고, 지베렐린이 처리된 벼의 호분층에서도 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s-17이 삽입된 oscpk11의 표현형에서 돌연변이체 각각의 키는 야생형과 구분되지 않았지만, 영과의 수나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덧붙여 많은 돌연변이체 낟알의 배젖에서 white belly materials이 확인되었다. OsCPK11의 cDNA가 cloning되었고, 약 60.5 kD인 OsCPK11 단백질이 GST affinity chromatography와 SDS-PAGE에 의해 얻어졌다.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 OsCPK11이 전형적인 CDPKs의 구조적 특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sCPK11유전자의 기능과 식물에서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 CDPK 역할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돼지 도축공정 중의 미생물 증감 추이 (Incide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laughtering Process of Pig)

  • 차성관;서미영;김명호;김윤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05
  • 본 연구는 돼지 도축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단계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와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도축 5단계 즉, 내장적출 전, 내장적출 후, 최종세척 전, 최종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돼지 도체 복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10×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가을철 시료의 경우 소규모 도축장의 일반세균수는 모든 도축공정에서 10⁴∼10/sup 5/ CFU/㎠로서 10²∼10³ CFU/㎠의 균수를 보인 대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고, 냉장실 시료의 경우 대규모 도축장에 있어서 일반세균수가 10² CFU/㎠ 수준으로 10⁴ CFU/㎠ 수준값을 보여준 소규모 도축장과 일반세균수의 값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겨울철 시료와 봄시료에 있어서도 가을 시료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도축장은 모든 도축공정에서 중소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적은 미생물수준을 보였으나, 봄 시료의 경우 최종세척 전(10⁴ CFU/㎠)과 냉장실(10³ CFU/㎠)의 미생물수에 있어서는 도축장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최종 세척 공정의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세척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 둔부 및 복부 부위에서는 세척 효과를 보였지만, 턱 부위에서는 오히려 세척 후 미생물 수가 최종세척 전 단계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활성탄의 첨가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arb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 문성실;신철우;강근호;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0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사료내 활성탄 첨가 급여가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등심과 삼겹부위를 이용하여 일반성분, 조직적 특성, 관능적 특성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활성탄 첨가급여로 인해 일반성분, pH, 가열감량에 있어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육의 기호성과 조직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경도의 경우 활성탄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분석결과, 등심부위의 palmitic acid 함량은 대조구가 활성탄 첨가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활성탄 첨가급여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삼겹부위에서는 대조구가 활성탄 첨가급여구에 비해 stear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사료내 활성탄을 첨가함으로써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했으나,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명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조사두수의 확대와 급여수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악관절증의 동통에 대한 국소마취제의 관절강내 Pumping에 의한 감별법 (DIFFERENTIAL DIAGNOSIS BY JOINT CAVITY PUMPING WITH LOCAL ANESTHETIC FOR PAIN OF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SIS)

  • 정훈;정학;키노 코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1_2호
    • /
    • pp.146-153
    • /
    • 1992
  • In the outpatient clinic, we have many patients who suffer from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hese vary from MPD syndrome to osteoarthrosis, and many cases have tender spots or areas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egion and/or masticatory muscles. Further, they frequently have masticatory muscle pain when opening the jaw.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for tendernesses and pain on opening the jaw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region and the masticatory muscles by joint cavity pumping with local anesthestic. The areas of tenderness and jae-opening paw in 65 patient suffering from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were examined and recorded before and after anesthetizing the upper joint cavity with 2% lidocaine. Maximum interincisal distance was similarly recor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area surrounding the upper joint cavity including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the tenderness and jaw-opening pain vanished almost entirely after anesthesia. This was considered a direct infiltrative effect of the local anesthesia. After the anesthesia, 86% of the tendernesses o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66% of those on the posterior belly of the diagstric muscles vanished, while the disappearance rates on the masseter, temporal, and medial pterygoid muscles were 50~60%. Apart from the temporomandibular region, pain on opening the jaw was found on the masseter, temporal, posterior belly of the digastric muscles, and medial pterygoid muscles before anesthesia. The disappearance rates after anesthesia were 90~100% except for the pain of the posterior belly of the digastric muscles, for which the rate was 66%.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than 88% of the tendernesses o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more than 60% of the tendernesses and jaw-opening pains on the digastric muscle, and more than half of the tendernesses and almost all of the jaw-opening pains in the jaw-closing muscles are referred pains from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tendernesses that had no change after anesthesia were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spasms of the muscles proper. Generally, maximum interincisal distance increased after anesthesia. The average distance was 34mm before anesthesia, but increased to 41mm after anesthesia. In a few cases, however little or no change was found in those distances. In these cases, pathological changes were found in the joint cavities arthrographically or arthroscopically.

  • PDF

Effects of Increasing Slaughter Weight on Production Efficiency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Gilts and Barrows

  • Jeong, Jin-Yeun;Park, Byung-Chul;Ha, Duck-Min;Park, Man-Jong;Joo, Seon-Tea;Lee, Chul-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6-215
    • /
    • 2010
  • A total of 582 gilts and barro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regressive relationships to slaughter weight (SW) of variables related to production efficiency and pork quality. Average initial weights and SW were 88.6 and 122.5 kg, respectively, for gilts and 88.7 and 121.4 kg, respectively, for barrows.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were not affected by SW. Backfat thickness,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in barrows (23.3 mm) than in gilts (20.7 mm),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0.21 mm/kg; p<0.001). When the 4-notch carcass yield and quality grades were quantified according to an arbitrary 1 point-per-1 notch scale, the former, but not the latter, regressed on SW (-0.64/10 kg; p<0.01). The percent yield of the belly per total lean (overall mean=20.7%)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0.37%/10 kg; p<0.001), whereas in other cuts, the SW effect was negligible. The redness of the loin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p<0.05), but oth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inimally influenced by SW. In sensory evaluation, effects of SW for fresh and cooked loin, ham, and belly were mostly considered insignificant in terms of quality, albei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veral cases. However, positive regressions on SW (p<0.01) of the marbling and acceptability scores of fresh loin as well as the fat:lean ratio of fresh belly were noteworthy. Collectively, SW of approximately 125 kg was maximal for both sexes under the current carcass yield grading, in which 94 kg is the upper weight limit for grade A carcass. However, if the carcass weight limit of the grading was to be removed or broadened, the SW for gilts (but not that for barrows because of their excessive fat content at above 125-kg SW) could be increased to 135 kg or greater without compromising carcass quality.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미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03-409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장애아동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성격유형은 에니어그램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대처행동은 한국판 장애아부모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은 장형이 가장 많았다. 대처능력은 장애자녀를 위한 적극적 문제해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대처능력과 부부협력 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대처능력과 부부협력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 모두 가슴형과 장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슴형이 장형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중재 개입 시,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예측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