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ly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9초

Analysis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rk to discriminate between fresh and frozen/ thawed pork

  • Jun-Hwi, So;Seon Ho, Hwang;Sung Yong, Joe;Seung Hyun,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39-751
    • /
    • 2021
  • The thawing process is usually essential for imported pork because this product is typically distributed frozen. Consumers prefer fresh pork because discoloration, nutrient spills, and microbial contamination are high during the thawing process. The illegal act of selling frozen pork by disguising it as fresh pork through various methods can occur for the benefit of the difference in the sales price. However, there is some difficulty in securing systematic and objective data, as sensory tests are generally performed on imported pork. In the experiment conducted he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ork neck and pork belly products were measured. The amounts of change before and after freezing were compar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nd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frozen meat wa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weight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before freezing due to the outflow of drips from the thawing proce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rip loss level due to the thawing method. Vacuum packaging was found to lead to more drip loss than regular packaging,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zen pork neck mea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lean parts and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 in the fatty parts. Frozen pork belly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art closest to the outer fat layer.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atomical variations, innervation patterns, musculocutaneous nerve relation of the coracobrachialis muscle: anatomical study and clinical significance

  • Ashraf Youssef Nasr;Rawan Ashraf Youssef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2호
    • /
    • pp.194-203
    • /
    • 2024
  •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coracobrachialis muscle (CBM) are of great clinical importanc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innervation patterns and musculocutaneous nerve (MCN) relation to CBM. Upper limbs of fifty cadavers (30 males and 20 females) were examined for proximal and distal attachments, innervation pattern of CBM and its relation to MCN. Four morphological types of CBM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number of its heads. The commonest type was the two-headed (63.0%) followed by the single belly (22.0%), three-headed (12.0%) and lastly four-headed (3.0%) type. Moreover, an abnormal insertion of CBM was observed in four left limbs (4.0%); one inserting in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the second into the upper third of humeral shaft, the third one in the common tendon of biceps, and the fourth one showing a bifurcated insertion. Also, four different innervation patterns of CBM were identified including MCN (80.0%), lateral cord (14.0%), lateral root of median nerve (4.0%), and median nerve itself (2.0%). The course of MCN was superficial to the single belly CBM (19.0%) and in-between the heads in the other types (71.0%). Measurements of the length and original distance of CBM muscular branches originating from MCN revealed no sex or side significant difference. Awareness of the anatomic variations, innervation patterns, and MCN relation of CBM is imperative in recent diagnostic and surgical procedures to obtain definite diagnosis, effective management and good outcome.

쌀의 완전미 비율 증가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 정남진;박정화;김기종;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9-32
    • /
    • 2005
  • 불완전미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미외 관별로 백미 품위를 구분하고 각각의 불완전미를 완전미와 혼입하여 근적외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식미치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수확한 현미의 정상립은 $75.7\%$였으며, 불완전렵은 변색립이 $11.0\%$, 청미가 $8.0\%$, 그리고 사미가 $5.3\%$였다. 나. 정상립 현미에서 도정된 백미는 완전미가 $64.7\%$였으며, 동할미가 $25.3\%$, 심복백미가 $10\%$였으며, 변색립 현미는 정상립에서 도정된 백미외관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미는 완전미가 $36\%$, 심복백이 $64\%$였으며, 사미는 심복백미가 $25.3\%$, 유백미가 $74.7\%$였다. 다. 백미 품위에 따른 식미관련 특성 검정 결과, 동할미의 점도는 정상미와 차이가 없었으나 심복백미의 점도는 정상립 보다 약간 낮았고 유백미의 경우는 정상립의 $6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심복백미와 유백미가 정상립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라. 기계적 식미치는 불완전립 모두 정상립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불완전미 중 유백미와 심복백미는 완전미에 $1\%$만 함유되어도 완전미 대비 약 $5\%$의 식미가 감소되었으며, $5\%$ 함유되었을 경우에는 완전미 식미에 비하여 유백미는 $20\%$, 심복백미는 $12\%$의 식미치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동할미의 경우는 $5\%$까지는 식미치에 크게 영향이 없었다. 오히려 잔디의 밀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장의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가 도체의 품질 특성, 등심 및 삼겹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creased Carcass Grade of Finishing Pigs due to Increasing Market Weight on Carcass Quality Trait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and Belly)

  • 박병철;하덕민;박만종;진상근;박재홍;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연구는 과중량으로 인해 강등된 도체등급이 등심과 삼겹살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85~150 kg 범위의 500두 출하돈의 도체로부터 평균 크기의 $1^+A$ 등급 도체 7개, A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5 kg)에 근접한 1A 등급 도체 7개, B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9 kg)에 근접한 1B 등급 도체 12개 및 100 kg 이상의 2C 등급 도체 각각 12개를 본 연구의 공시도체로 선발하였다. 근내지방도는 $1^+A$ 등급 도체가 다른 세 등급 도체보다 높았지만 근육과 지방의 색깔 및 조직감 관련 특성은 네 개의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색깔, pH, 화학적 조성 및 조직감 관련 품질 특성은 도체등급 저하로 인해 단지 최소 수준만 변하였다. 등심 및 삼겹살 신선육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이취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분삼출도는 $1^+A$ 등급 도체가 가장 낮았으며, 색깔과 근내지방도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부위 신선육의 기호도는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과 삼겹살 가열육에서는 맛과 기호도가 비록 구배는 낮았지만 도체등급이 저하될수록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적어도 $1^+A$와 2C 등급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중량으로 인해 등급이 저하된 돼지 도체는 육질 또한 약간 저하되었는데 이는 즉 돼지 도체의 규격등급이 어느 정도는 육질도 반영함을 시사한다.

Supplementation of Either Conjugated Linoleic Acid or γ-linolenic Acid with or without Carnitine to Pig Diet Affect Flavor of Pork and Neutrophil Phagocytosis

  • Lee, Jun-Yeob;Cha, Keun-Hwan;Chae, Byong-Jo;Ohh, Sang-Jip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237-252
    • /
    • 2011
  •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oils containing either CLA, GLA, GLA+Carnitine or corn oil (control) were supplemented to finishing pigs (average 70.8 kg initial BW) diet for 28 d of feeding period. To evaluate the values of the dietary fatty acids, especially in view of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ork; pig performances, carcass characteristics, serum cholesterol, neutrophil phagocytosis, TBARS, electronic nose flavor and fatty acids profile of pork were measur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aily gain and nutrients digestion among treatments, but daily feed intake of CLA enriched diet was lower (P<0.05) than that of other die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ckfat thickness, dressing percentage and carcass grade among pig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oils. Serum tota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be lowered in pigs fed GLA enriched diet. TBARS values during storage of pork were higher in belly from pigs fed control diet whereas the values of belly from pigs fed GLA+Carnitine diet were lower than others. However, difference in TBARS was not remarkable in adipose tissue and 4 weeks extended storage regardless of pork parts.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0 and C18:0 were higher (P<0.05) in pork loin and thin skirt from pigs fed CLA enriched diet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die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atty acids profiles of belly and adipose tissue. CLA accumulation in pork was increased by the dietary CLA supplementation and this could be also confirmed by a slight de novo synthesis of CLA in pork from pigs fed CLA free diets. GLA was selectively accumulated to pork adipose tissue and loin from pigs fed GLA enriched diets. There was no accumulation of GLA when GLA was not supplemented, indicating no de novo synthesis of GLA. Phagocytic activity was the highest (p<0.05) in neutrophil of pigs fed GLA+Carnitine supplemented diet, then, followed by pigs fed GLA supplemented di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agocytosis between control and CLA treatment although the phagocytosis was numerically lowest in pig fed CLA enriched die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electronic nose flavor pattern among treatments regardless of the parts. This study show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functional fatty acids like CLA or GLA was able to result in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feed intake, TBARS, fatty acids profile and flavor of pork, serum cholesterol regulation and neutrophil phagocytosis.

돈육 유래 단백유화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가열 재구성삼겹살 및 가열 재구성 베이컨의 품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Un-Cooked Restructured Belly and Cooked Restructured Bacon using a Protein-Emulsion Material from Pork)

  • 허선진;강근호;양한술;정진연;박구부;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0
    • /
    • 2004
  • 돈육에서 추출한 염용성 단백질과 유화물로 제조한 결착제를 이용하여 재구성 삼겹살과 재구성 베이컨을 제조하고, 재구성육간의 물리적인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구성 베이컨과 삼겹살 간의 육색을 비교한 결과, 명도값(L$^{*}$ )은 재구성 삼겹살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났고, 냉장육과 냉동육으로 만든 베이컨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적색도를 나타내는 a$^{*}$ 와 황색도를 나타내는 b$^{*}$ 역시 재구성 삼겹살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냉장과 냉동육으로 제조한 재구성육간에는 적색도와 황색도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재구성 삼겹살과 재구성 베이컨간의 보수력 비교에서는 재구성 베이컨의 보수력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냉동원료육으로 만든 재구성 베이컨의 보수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재구성 베이컨의 인장강도가 재구성 삼겹살의 인장강도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원료육의 상태에 따른 재구성 베이컨간의 비교에서는 냉장육으로 제조한 재구성 베이컨의 인장강도가 냉동원료육으로 만든 재구성 베이컨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높은 인장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재구성 베이컨과 삼겹살간의 관능검사 결과, 육색은 재구성 삼겹살과 냉장육으로 제조한 재구성 베이컨이 냉동육으로 제조한 재구성육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육색을 나타내었다 다즙성과 탄력성은 재구성 삼겹이 재구성 베이컨에 비교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나 연도는 재구성 베이컨이 유의적으로 (p<0.05)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를 보면 재구성 삼겹살이 재구성 베이컨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높게 나타났다.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β-Cyclodextrin의 급여효과 (Influence of Feeding β-Cyclodextrin on Reducing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Pork)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8-334
    • /
    • 2006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사료 내 ${\beta}CD$의 급여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생체중 50 kg의 3원교잡종 거세 수퇘지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한 후, 시판체중인 110 kg 도달시까지 약 9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일일 사료섭취량, 일일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beta}CD$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의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총지질,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특히 ${\beta}CD$ 5.0% 첨가구에서 각각의 감소율은 21.80%, 55.58% 및 27.69%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돼지고기 삼겹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에서 각각 5.33mg, 12.70mg및 15.23 mg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으며, 특히 이 값을 콜레스테롤의 감소율로서 나타냈을 때 각각 6.44%, 15.36%, 18.42%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 결과는 돼지에서 ${\beta}CD$첨가급여가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식이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벼의 칼슘-의존성 단백질 카이네즈 유전자인 OsCPK11의 기능적 분석 (A Functional Analysis of OsCPK11, a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 (CDPK) Gene in Rice)

  • 이수희;이정은;필립 데이;사이몬 길로이;김성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33-1244
    • /
    • 2017
  •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s (CDPKs)는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벼(Oryza sativa)에는 29개의 CDPKs가 확인되었지만 그들의 기능은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OsCPK11 유전자에 초점을 맞춰 그것의 기능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벼의 어린 잎, 성장한 잎, 꽃에서 OsCPK11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발현이 확인되었고, 지베렐린이 처리된 벼의 호분층에서도 이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s-17이 삽입된 oscpk11의 표현형에서 돌연변이체 각각의 키는 야생형과 구분되지 않았지만, 영과의 수나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덧붙여 많은 돌연변이체 낟알의 배젖에서 white belly materials이 확인되었다. OsCPK11의 cDNA가 cloning되었고, 약 60.5 kD인 OsCPK11 단백질이 GST affinity chromatography와 SDS-PAGE에 의해 얻어졌다.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 OsCPK11이 전형적인 CDPKs의 구조적 특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sCPK11유전자의 기능과 식물에서 칼슘 이온을 매개로 한 신호전달 경로에 CDPK 역할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돼지 도축공정 중의 미생물 증감 추이 (Incide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laughtering Process of Pig)

  • 차성관;서미영;김명호;김윤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05
  • 본 연구는 돼지 도축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단계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와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도축 5단계 즉, 내장적출 전, 내장적출 후, 최종세척 전, 최종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돼지 도체 복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10×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가을철 시료의 경우 소규모 도축장의 일반세균수는 모든 도축공정에서 10⁴∼10/sup 5/ CFU/㎠로서 10²∼10³ CFU/㎠의 균수를 보인 대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고, 냉장실 시료의 경우 대규모 도축장에 있어서 일반세균수가 10² CFU/㎠ 수준으로 10⁴ CFU/㎠ 수준값을 보여준 소규모 도축장과 일반세균수의 값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겨울철 시료와 봄시료에 있어서도 가을 시료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도축장은 모든 도축공정에서 중소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적은 미생물수준을 보였으나, 봄 시료의 경우 최종세척 전(10⁴ CFU/㎠)과 냉장실(10³ CFU/㎠)의 미생물수에 있어서는 도축장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최종 세척 공정의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세척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 둔부 및 복부 부위에서는 세척 효과를 보였지만, 턱 부위에서는 오히려 세척 후 미생물 수가 최종세척 전 단계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