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ief about science teach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Self-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Science Teachers)

  • 조부경;서소영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61-373
    • /
    • 2001
  • This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Data was obtained from 317 kindergarten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Riggs & Enochs). Results indicated that scienc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attitudes about science and teaching science, and children's interest in science influence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cience related experiences of childhood and schooling negatively affecte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 PDF

Assessment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 Choi, Sung-Youn;Kim, Su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13-723
    • /
    • 2008
  •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are influential factors in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nd behavior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teachers to do bette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have caused teachers' science teaching-anxiety, developed an instrument measuring science teaching-anxiety,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teachers' confidence in science teaching.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ich factors affect science teaching-anxiety level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2) how each factor of science teaching-anxiety is related to science teaching-efficacy. The subjects were 133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57.1% were female) in a large city. The data sources included teachers' responses to three paper and pencil questionnaire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ience Teaching-Anxiety Questionnaire (STAQ),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B). To clarify the science teaching-anxiety, we specified it into six factors: trait anxiety abo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tate anxiety about instruction, science activities, student assessment,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significant aspects of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efficacy. First, their level of anxiety ab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science teaching was relatively high among six factors.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Third, trait anxiety about science teaching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cience teaching-efficacy while state anxiety about instruction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were followed.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 및 변화 양상 (Kore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Evolution)

  • 김영민;이현주;김재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과학 교수와 학습 및 교실 환경에 대해 어떠한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그러한 신념과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두 대학에서 과학 교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을 묻는 32문항으로 구성된 BARSTL에 응답하였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1년 뒤 4학년이 되었을 때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신념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수업 및 학생들의 과학 학습, 그리고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해 긍정적이긴 하지만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그 수준은 졸업하는 시점인 4학년 말이 되어서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PDF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 과학 학습,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 의존성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Teaching: Context Dependency of Epistemological Beliefs)

  • 윤혜경;강남화;김병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5
    • /
    • 2015
  •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바라보는 이론적 입장은 크게 영역과 무관하게 발달된다는 입장과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된다고 바라보는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보다 복합적인 구인으로 이해하기 위해 과학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이 서로 다른 과학 내용 지식의 영역(용불용설, 임페투스론)에서 그리고 '과학 지식', '과학 학습', '과학 교수'라는 세 가지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일관성이 있는지,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의존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과학 지식', '과학 학습', '과학 교수' 세 가지 상황에서 일관적인 경우는 극히 적었다. 두 가지 상황에서만 일치하는 연관적 신념이 대부분이었고 세 가지 상황에서 모두 서로 다른 유형의 인식론적 신념을 가진 비일관적 신념을 가진 비율이 일관적인 인식론적 신념을 가진 비율보다 높았다. 또 용불용설과 임페투스론 두 주제 영역을 가로질러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일관적인지 알아본 결과 '과학 지식'과 '과학 교수' 상황에서는 주제 영역과 관계없이 일관적 신념을 보인 비율이 높았으나 '과학 학습' 상황에서는 주제 영역에 따라 인식론적 신념이 달라지는 경우가 일관적인 경우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보다 일관된 인식론적 신념을 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교사의 과학 교수, 과학 학습,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 teaching, science learning and the nature of science)

  • 김정인;윤혜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89-40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개방형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과학 교수, 과학 학습, 과학의 본성에 대하여 가진 신념의 내용과 특징을 알아보고, 그들의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30명의 교사들 중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교사가 과학 교수, 과학 학습, 과학의 본성에 대하여 전통적인 신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60%, 66.7%, 83.3%). 세 가지 측면에 대하여 '일관적 신념'을 가진 교사의 비율은 40%였고, 두 가지 측면에서 같은 신념을 보인 '연관적 신념'을 가진 교사는 53.3%, 세 가지 측면 모두 서로 다른 신념으로 이루어진 '확산적 신념'을 가진 교사는 6.7%였다. 또 일관적 신념을 가진 교사 중 83.3%는 전통적 신념 중 내용 지식 중심의 신념을 일관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즉 일관적 신념을 보인 교사의 비율이 40%로 적지는 않지만 대부분 전통적 내용 지식 중심의 신념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한 신념 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1980년대 이후 구성주의가 널리 강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적으로 일관된 신념을 가진 교사의 비율(6.7%)은 낮은 편이어서 교사 신념의 구조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중학생들의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Preference for Science,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최영미;김인환;임성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았고,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간의 상관 관계를 주제별, 성별, 학년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덕적 감수성은 성별이나 학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주제에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선호도는 성별이나 학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은 성별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위 차원에 따라 여학생과 고학년에서 보다 높은 상관을 나타났다.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학습에 신념 간의 상관관계는 하위 차원에 따라 일부 나타나는데 특히 여학생과 저학년에서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과학을 좋아할수록 과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보다 도덕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도덕적 감수성이 높을수록 과학 공부를 더 재미있어 하고 과학 공부에 대해 긍정적인 신념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교육에서 선호도나 신념과 같은 정의적 영역이 도덕적 감수성과 같은 인성 영역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음을 주장하며, 과학 교과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교수 학습에 있어서 학생 변인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물리 학습을 돕기 위한 단계적 상황 교수·학습 전략 및 적용 (Strategy and Application of Phased Context Teaching-Learning for Helping Physics Learning)

  • 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33-342
    • /
    • 2015
  • 이 연구는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를 개발하고 대학 물리학 수업에 적용하여 물리 학습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 소재 대학의 사범대학 자연계열 1학년 대학생 총 35명으로 했다.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는 상황 이상화하기, 상황 확장하기, 상황 비교하기 단계로 개발하고, 일차원 운동, 이차원 운동, 뉴턴의 운동 법칙 등 6차시 물리 수업에 적용했다. 물리 학습에 대한 효과는 힘 개념 검사지(FCI)와 물리 학습에 대한 신념(MPEX)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연구결과 단계적 상황 교수자료는 대학생의 힘 개념 변화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물리 학습에 대한 신념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단계적 상황 교수 학습 전략으로 개발된 교수자료는 학생에게 과학개념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는 기회를 주어 물리 개념 변화를 돕는 데 효과가 있다. 끝으로 연구 결과들을 통해 단계적 상황 물리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 PDF

Changes in Epistemological Beliefs in Chemistry Following Completion of Advanced Chemistry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Dong-Seon Shin;Min Jung Jung;Jong Ke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09-219
    • /
    • 2024
  • We studied the effe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hange of epistemological beliefs in chemist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emistry by completing 'advanced chemistry'. For seven months from July 2023 to January 2024, 80 first-year students at G Science High School in Gyeongnam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chemistry before and after classes in advanced chemistry. Chemistry academic achievement was classified by 'upper' and 'lower' levels based on the end-of-semester grades of 'advanced chemistr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year and analyzed with the SPSS 28 program. After completing advanced chemistry, the epistemological belief in chemistry increased in the proportion of favorable responses. After completing advanced chemistry, the proportion of favorable responses increased in detailed factors such as 'effort', 'math link', 'outcome', 'reality link', and 'concepts', while the 'visualization' factor decreased. Although completing 'advanced chemistry' positively changed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chemistry, visual expression showed little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chemical concep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will have to focus on the design of instructors' teaching-learning, such as learner-centered inquiry experiments, creative visual expressions, etc., for successful chemistry teaching-learning.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 김경진;권병두;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4-525
    • /
    • 2005
  •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영재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 기간의 영재교육연수를 받은 후 영재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단기간의 영재교육연수만으로도 그동안 일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던 교사가 영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철학을 정립하고 영재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교수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신념은 교수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 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학영재학교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2명, 기구과학교사1명으로 총 5명이다. 자료는 참여교사 당 4차시의 수업 관찰 및 녹화, 심층면담을 통해서 수집하였고, 모든수업과 면담자료를 전사 후에 분석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인 자료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신념이 서로 맞물려 하나의 신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교사들의 신념체계는 '학생 중심', '교사 중심', '갈등 혼돈', 이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수업진행 시 학생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학생들이 교사의 지적권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동참하게 하는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교사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데 치중하고, 수업진행에서 학생보다 교사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항하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교사의 지적권위에 학생들이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갈등 혼돈'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는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교수활동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이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특히, 영재학생 담당교사의 경우는 영재교육에 관한 신념뿐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교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사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및 과학 교육에 관한 신념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 김정민;여성희;심규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489-498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surveying and examining the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21 item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on a 5-Likert scale(score range from 1 to 5). The one contained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invention, and the other contained science teacher, learning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6 pre-service and 96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24 male and 148 female). The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 belief about that science knowledge should be acquired by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the beliefs of in-service teachers was more explicit than those of pre-service teachers. They had beliefs to educate learners by providing scientific joyfulness and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But,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perform scientific process-based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cientific experienc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in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