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ing teach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7초

초임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 및 유형 변화 분석 (Analysis of Mentor Teachers' Mentoring Type and Type Changes i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6호
    • /
    • pp.441-452
    • /
    • 2018
  • 이 연구는 교수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멘토링에서 수집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는 관찰자, 비판적 동료, 지원자, 지시자, 역할 모델, 평가자, 상담자, 동반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멘토교사의 멘토링이 멘티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멘티교사의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멘토교사는 멘토링을 실시하기 전 멘티교사와 함께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 멘토링 방법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멘토링 과정을 평가하는 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과학 교수 전략 및 학습 동기 촉진 프로그램이 초등예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eacher Professional Program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on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배민정;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09-124
    • /
    • 2012
  •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as been emphasize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t should be done from systematic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CK of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before and after a training course. For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CK, their lesson plan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usually used didactic or combination of didactic an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and a few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or discovery teaching strategies when making lesson plans. Howev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many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in their lessons which included activities of asking students' prior knowledge, conducing experiments, finding conclusion, and comparing teachers' explanations with students' explanations. Regarding motivational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focused using activities to create student's emotional interest in science lesson but at the end they used other strategies to create positive atmosphere for learning, capture intellectual interest in science, and connect science to students' everyday lives.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ningful because there was less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CK.

초등 신규 교사의 과학 본성에 대한 신념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양일호;한기갑;최현동;오창호;조현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60-3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Defining teachers' beliefs as a broad construct, we tried to examine th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an urban area of Korea, five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were chosen. The cross-case and grounded theory study design were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checked by teachers for internal valid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did not well understand and were unfamiliar with the meanings of various term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2) their beliefs abut the nature of science were broad and various; 3) they understood some parts of the nature of science; 4) there were differences within their understandings about subconcepts of the nature of science.

  • PDF

Two Beginning Teachers' Epistemic Discursive Moves and Goals in Small Groups in Mathematics Instruction

  • Pak, B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229-254
    • /
    • 2021
  • Students' participation in epistemic practices, which are related to knowledge construction on the part of students, is becoming a crucial part of learning (Goizueta, 2019). Research on epistemic practices in science education draws attention to teachers' support of students to engage in epistemic practic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research highlights a need for incorporating epistemic goals, along with conceptual and social goals, into instruction to promote students' epistemic practic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to integrate epistemic goals. I examined 24 interaction excerpts that I identified from six interview transcripts of two beginning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Each excerpt was related to the teachers' talk about their specific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I explored how each teacher's discursive moves and goals were conceptual, social, and epistemic-related as they intervened in small groups. I found that both teachers used conceptual, social, and epistemic discursive move but their discursive moves were related only to social and social goals. This paper suggests supporting teachers to develop epistemic goals in mathematics instruction,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mall groups.

자유학기제 수업에 대한 초임 기술 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Program Class)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3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초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의 수업 내용과 수업 운영에 대한 기술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자유학기제 기술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 데이터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100명의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석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조사 도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전문가 4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Ver.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수업 경험별 수업 내용 및 만족도 응답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남녀 교사별 수업 내용 및 만족도 응답에서는 남교사들이 여교사들 보다 '진로탐색'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습 공간 유무에 따른 응답에서, 진로탐색에 대한 만족도는 실습 공간이 있는 교사의 만족 평균(M=3.64)이 실습공간이 없는 교사의 평균(M=3.25)보다 높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교사들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평가준거를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자유학기제 기술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습재료 부족, 수업시수 증가, 실습 공간 및 수업 내용 부족 등의 해결을 요청하였다. 다섯째, 자유학기제 수업자료는 주로 인터넷이나 기술 교과 연구회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연수와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있다.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 양찬호;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73-38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수업 반성의 특징을 조사했다. 중등 과학영재교육 경력이 5년 미만인 초임 교사 2인을 선정하여 총 3회에 걸친 9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공동으로 계획, 진행, 평가하도록 했다. 두 교사의 모든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을 참관했고, 반성대화 전사본과 반성일지를 Davis(2006)가 제안한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료의 종류 및 수업 차수에 관계없이 두 교사의 수업 반성 과정에서 모두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와 '과학영재학생' 측면이 비교적 많았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 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반성의 빈도도 낮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 대한 반성은 매우 적었다. 통합 수준에 대한 결과에서는 두 교사의 반성 과정에서 과학영재수업의 5가지 측면 중 2~4가지 측면이 다양한 형태로 통합되어 있었다. 특히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나 '과학영재학생'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향은 과학영재교육 경험이 더 많은 교사에게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교사의 경우에는 '과학내용지식'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신화에서 인간출현과정의 교육적 의미 - 단군신화와 창세기 내용을 중심으로 - (Educational Meaning of Human Creation Process in Mythology)

  • 채휘균
    • 교육철학
    • /
    • 제63호
    • /
    • pp.105-131
    • /
    • 2017
  • The myth reflects the human way of thinking about the world. Therefore, an important part of myth is human creation and rol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human creation in myth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e subjects that can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status and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ow to create or create humans, and the purpose and results of human creation. First, it is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teacher. In myth, being like a teacher is a divine being that transcends human ability. In Dangun mythology, Hwanwoong or Shinwoong descended from heaven, and in the Genesis it is the Creator God. In Dangun mythology, the role of the teacher guides the way of becoming a human and provides necessary tasks. In Genesis, the image of the teacher is the Creator God. God plays the role of a teacher who prepares various environments in which learners can work. Second, the status and role of students in myths. In Dangun mythology, students are symbolized by bear and tiger. They go to the teacher with the desire to become human beings. In Dangun mythology, the student is not a passive existence but an autonomous and active image. In Genesis, the appearance of a student is a passive being created by a teacher. Third,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in myth can be seen in terms of educational process and method. In Dangun Myth, the beginning of education is the wish or expectation of learners. Learners eat mugwort and garlic and participate in human learning. In Genesis 1,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a special method, since human being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Creator's command. Fourth, the purpose of education can be discussed through the purpose of human creation. In Dangun mythology, the purpose of education is not to live according to instinct but to become human with culture and personality. In Genesis 1, the purpose of human creation is the role of the Creator in creating and managing the world. Therefore, it is the aim of humans to manage the world in an orderly manner. The purpose of education in Genesis 2 is to enable humans to serve the world.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고미례;남정희;임재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67
    • /
    • 2009
  • 이 연구는 교사들이 가진 교과교육학 지식은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행에 영향을 주며 그와 동시에 교수 활동과 그에 대한 반성 또한 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 하에 신임 과학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참고문헌을 조사하여 수업분석준거를 설정하였으며, 2명의 신임 과학교사들의 수업 20 차시를 관찰 및 녹화하였으며 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보고서 그리고 수업지도 계획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교수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교사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들을 실제 수업에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연구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경험을 쌓음으로써 교과교육학 지식에 많은 영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계기는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반성적 보고서 작성과 단지간의 심도 있는 연수 참여, 그리고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반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 등이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 양상은 각 지식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변화하기보다는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 초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과 과학 교수-학습 활동과의 관련성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Leaching and Learning Context)

  • 양일호;한기갑;최현동;오창호;조현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99-41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Defining teachers' beliefs as a broad construct,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not only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but also the effect and reflection in science teaching practices with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how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s reflected their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 approach that included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t an urban area of Korea, five beginning elementary teacher was chosen. The cross-case and grounded theory study design were adopted as data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checked by teachers for internal valid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and revealed that these teachers' beliefs reflected a little in science teaching practices. On the occasion it was reflected, restricted merely within the narrow limits the way to teach the concepts and contents presented in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some of the obstacles that these teachers' beliefs did not reflect the science teaching practices with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 PDF

코로나-19 유행 시기 신규 보건교사의 교직 적응에 대한 FGI연구 (An FGI Study on the Adaptation of Beginning Health Teachers During the COVID-19 Era)

  • 최성광;최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17-32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신규 보건교사들의 코로나-19 시기에 교직적응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 해결과정, 그리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기 위해 J도에 발령받은 3명의 신규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FGI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19 업무처리 과정에서 수많은 전화와 매일의 학교 현황보고 과정에서 특히 학부모들과 관계의 어려움이 있었다. 코로나-19 업무가 어느 정도 익숙해진 이후에는 보건실 업무를 혼자서 고민해야 한다는 부담감,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건 수업의 어려움, 응급상황에서 유일한 의료인으로서 전문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신규 보건교사들은 교직 적응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한 보건교사 소모임, 유튜브 등을 통해 계속해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소통하고 있었다. 셋째, 이러한 교직 적응 과정이 시사하는 바는 교육청 차원에서 신규 보건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구체적인 연수가 필요하고, 보건수업과 관련한 수업 콘텐츠 등의 인프라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