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 industry development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3초

전통 여성 수식의 형태미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for Fashion Cultural Product with Formative Beauty in Traditional Ornament Unique to Korean Females)

  • 김선영;권진
    • 복식
    • /
    • 제63권3호
    • /
    • pp.33-45
    • /
    • 2013
  • This work developed the basic motive design utilizing the physical beauty of the traditional ornaments used uniquely by Korean females and suggested some textile designs and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s. As a research method, computer design programs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CS3 were used as well as literature examination. The motive was mainly based on the dwiggoji and ddeoljam, which are female ornaments. The formative shape in woman ornam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kinds: plant, animal, geometry, and hybrid. The hybrid type was divided further into such combinations as plant, animal, and geometry, which came up with 8 fundamental motives for design development in total. With regard to the basic motive design, the coordinated concept was adopted with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taste and contemporary taste in harmony for the expression of delicate image on the condition that the basic format in female ornament is maintained. Textile design was processed with symmetry, rotation, repeat, and overlap as fundamental motive. As to the design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mapping was proposed for neckties, handbags, clutches, shirts, and one-pieces. Utility and beauty in the traditional ornaments unique to Korean women could be recognized once again through this work. This work also assured the possibility for the endless improvement as a design development motive with originality.

결혼유무에 따른 증강현실(AR)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 행동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Female Consumer Behavior and Purchase Intention : The experience of AR makeup based on marital status)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9-57
    • /
    • 2020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뷰티산업은 성숙한 산업으로 접어들게 되면서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뷰티산업 중에 가상체험 마케팅(Virtual ExperimentalMarketing)을 위한 AR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미국의 FACEBOOK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AR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다. 현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모바일 앱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소개된 유형이므로 AR앱을 체험 마케팅의 트렌드를 쫓고 있다. 따라서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는데 모바일 AR앱을 통한 체험콘텐츠에 있어서 미혼과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증강현실을 접목한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소비자가 느끼는 체험의 만족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신기술인 증강현실 마케팅이 활발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인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메이크업이 접목된 증강현실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대(現代)패션에 반영(反映)된 전통(傳統) 미의식(美意識)의 연구(硏究) - 한국(韓國)과 일본(日本)의 비교연구(比較硏究)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Comparative Research for Korea and Japan -)

  • 윤보연;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4호
    • /
    • pp.56-7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a rational, meaningful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contemporary Korean fashion and culture industry. The study will begin by comparing traditional aesthetics of Japan and Korea and their respective influence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Japanese aesthetic consciousnes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decorative beauty and undecorated beauty wher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consists of aesthetic naturalism, beauty of mysticism and beauty of humor. Japanese aesthetic consciousness is generally inclined toward article fanciness, on the other hand,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is inclined toward natural beauty. Both Japan and Korea reflect their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ir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n Japan's case,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applied to obi(帶, おび). And aesthetic naturalism can be seen in holes, tears and patches present, as well as rough and coarse texture u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n case of Korea, aesthetic naturalism can be seen in elegant naturally flowing curves and use of plain colored fabric used in fashion design. Beauty of mysticism can be seen in splendid primary colors from shaman ritual costumes, and fortune-telling hexagram patterns. Beauty of humor can be seen in outrageously exaggerated and distorted fit of clothes. The above comparativ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ir formative elements, show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contemporary fashion trends reflect and embody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Japan is creating high-grade fashion design of temporal universality and contemporary appeal. Japan has done so by studying their aesthetic tradi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philosophy and utilizing its formative elements. Korea, however, is in the middle of transition: Korea is caught between directly grafting traditional aesthetic designs on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integrating the two according to their common internal spirit.

  • PDF

고령화친화산업의 현황과 뷰티시장의 접근 방향 : 고령화(시니어)화장품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 aging-friendly industry and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beauty market: Focusing on aging (senior) cosmetics)

  • 문지선;최상범;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28-153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고령화 화장품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성분, 고시 외 원료 연구 동향 분석 등을 조사하여 고령친화산업이 화장품 산업 환경과 고령화들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식약처 고시 성분 외에 항 노화 화장품의 원료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원료들의 항 노화 효과를 알아보며, 이를 통해 국, 내외에 등재 학술지에 게재되어진 논문을 중심으로 '고령화', '화장품', '안티에이징', '항 노화' 등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자료를 종합하였다. 고령화 산업과 관련한 항 노화 화장품의 발전을 이끌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하고 있는 4종 원료 외에 피부를 강화시켜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 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단일 연구가 아닌 복합적으로 항 노화에 대한 연구가 과학적으로 뒷받침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Women's Skin Care Factors Affecting Korean Women's Skin and Beauty Industry Market

  • CHOI, Jong-Won;YOO, Ho-Gil;KWON, Young-Eun;KWON, Lee-Se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8호
    • /
    • pp.25-32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beauty industry market and growth development by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of women's perception of skin health ca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aged 20 to 60 living in Seou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0.05 were tested through the multiple range test of the Scheffe.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questions, and the rel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coefficient of Cronbach's α. Results -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kin, and women pay a higher price for skin health as a provisional customer. 'Acne care' was the most common skin condition (32.8%), 'life style' (79.8%)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kin care. Final education was the highest level of skin care for women with a professional background (M=3.41) (F=4.028, p<.05). Conclusions -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health knowledge by age,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were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obs and final education. Customers who use less skin care than customers who frequently use the skin care center were more aware of skin health, and women who have a high awareness of skin are more interested in aging and regenerating due to the skin car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skin condition diagnosi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ocial media

  • Kim, Hyung-Hoon;Ohk, Seu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241-251
    • /
    • 2022
  • 화장품 및 뷰티산업에서 고객의 피부상태 진단과 관리는 중요한 필수기능이다. 소셜미디어 환경이 사회 전 분야에 확산되고 일반화되면서 피부 상태의 진단과 관리에 대한 다양하고 섬세한 고민과 요구 사항의 질문과 답변의 상호작용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 정보는 매우 다양하고 비정형적인 방대한 빅데이터이므로 적절한 피부상태 정보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지능화된 피부상태 진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의 텍스트 분석정보를 학습데이터로 가공하여 고객의 피부상태를 지능적으로 진단 및 관리하기 위한 피부상태진단시스템 SCDIS를 개발하였다. SCDIS에서는 딥러닝 기계학습 방법인 인공신경망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피부상태 유형을 진단하는 인공신경망 모델 AnnTFIDF을 빌드업하여 사용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 AnnTFIDF의 성능은 테스트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피부상태 유형 진단 예측 값의 정확성은 약 95%의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의 실험 및 성능분석결과를 통하여 SCDIS는 화장품 및 뷰티산업 분야의 피부상태 분석 및 진단 관리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지능화된 도구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소셜미디어 기반의 새로운 환경에서 화장품 및 피부미용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진단하는 기초 기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새로운 기술 트렌드인 맞춤형 화장품제조와 소비자중심의 뷰티산업기술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헤어·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2003년 이후에 나타난 헤어·메이크업 경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ir and Make-up Design -Focus on the Hair and Make-up Trend Since the 2003s-)

  • 손영미;이혜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57-664
    • /
    • 2005
  • Man's search for beauty has been going on from prehistoric time until today, and the pursuit of beauty has been progressing, regardless of the times, as a human psychological desire. In the search for beauty, hair and make-up have been subjects of interest for a long time, but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these two aspects are still behind compared to other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various new and creative hair and make-up designs and to suggest their possible development. Using existing literature, this paper studied the skin color and hair color of Koreans that had been studied in earlier papers. It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hair color and hair color images that are suitable for each skin color, classify the modern hair and make-up trends into different images - natural, surrealistic, minimalist, and cyber look, and also analyze them. Actual hair and make-up were also designed based on these images. To depict the natural image, the make-up was made intentionally dark as the skin color; natural materials were used for hair decoration; brown and yellow were used for the eye shadow to express the natural and romantic image of autumn, in general. Second, in the work expressing the surrealistic image, the hair was creatively decorated with a collage of various objects; yellow, green, and red eye shadows and lip expression were used to visually achieve the surrealistic fantasy look. Thirdly, in the work expressing the minimalist image, hair style with bangs without any hair decoration was used; make-up colors were minimized as well, creating a generally simple image. Finally, for the work expressing the cyber image, metallic material decoration was used on a puff-up hair style; the cyber image was emphasized through the use of graphical elements in the make-up.

피부미용 매뉴얼 테크닉이 피부관리사의 직무심리(職務心理)에 미치는 영향 (Skin Beauty Manual Technique Effects on Skin Manager's Job Psychology)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45-350
    • /
    • 2021
  • 미용(美容)산업의 폭발적 발전 속에서 피부관리사는 과중한 업무 강도나 무리한 근무시간으로 인해 건강과 직무(職務)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근무 환경이나 직무 심리에 대한 시급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가설을 설정하여 매뉴얼 테크닉과 연계한 피부관리사의 직무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주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피부미용 매뉴얼 테크닉이 피부관리사의 직무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강찰법이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도를 유발하는 영향에서는 유연법, 고타법, 진동법이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피부관리실에서 고객의 시술 목적과 적용 범위에 따른 심화된 매뉴얼 테크닉의 연구와 개발은 피부관리사의 직무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을 위하여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피부관리사의 직무심리의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사료한다.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피부미용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 라이프케어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onvergence Skin Care Education Program to Foster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life care -)

  • 박정연;강수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39-4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양강좌 운영을 목적으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를 기반으로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개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발된 교과목명은 "미용복지와 지역사회 봉사"로 하고, 수업개요, 교과목 목표, 교재, 수업운영 방법, 과제, 평가에 관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교과의 학습 목표는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융합인재로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기초적 전공지식을 갖추고, 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과 피부미용·사회복지의 융합적 관점에서 봉사학습 연계 교육을 통해 나눔과 배려심을 갖춰 인성을 함양으로 설정하였다. 교과목의 상세 내용은 교과목 소개와 융·복합 개념 이해,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미용복지의 융합적 사고 학습 및 실습, 봉사학습과 성과 공유회에 대해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봉사학습은 사회적 약자·배려 대상인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3시간씩 2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는 중간고사(30%), 기말고사(30%), 레포트 (20%), 출석 (20%)로 산출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복합 교육의 확산 속에서 아직까지 미개발 상태인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본 연구를 시작으로 미용 분야에서 다양한 융·복합 교육의 접근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대학생들의 외모관리관심도 및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 (The appearance management interes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verged with Beauty trend)

  • 오정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05-315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외모관리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G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4월15일부터 30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267명의 자료를 SPSS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외모관리 관심도는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제외한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화장품사용관리에는 남, 여 대학생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화장품사용관리 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은 트렌드와 융합된 패션스타일 화장스타일 피부관리 체형관리 행동요인들의 경우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와 융합된 운동건강기구 사용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들의 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뷰티산업체의 신상품개발연구 등에 참고자료 활용을 기대하고, 추후 새로운 융합형태의 외모관리행동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