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kin Care Education Program to Foster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life care -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피부미용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 라이프케어를 중심으로 -

  • 박정연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 강수경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bout skin care and social welfare with the purpose of operating liberal arts courses to foster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ame of the developed course is "beauty treatment welfare and community service" and details were developed for the course overview, goals of the course, textbooks, course management, assignments, and assessment. The lesson goals of this course are character building by fostering creative and outstanding individuals demanded by the society and equipped with the basic knowledge of majors like skin care and social welfare as well as the capability to share and consider through service learning related education for the increase in convergence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he convergence of skin care and social welfare. The details of the course comprised of introduction about the cours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nvergence,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skin care and social welfare, convergent thinking education and practicum, and education about service learning performance sharing meeting. The service learning is targeted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children and elders, and students can engage in service twice a week with 3 hours for each service session. The assessment is evaluated with midterm (30%), final exam (30%), report (20%), and attendance (20%). This study stresses importance on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kin care and social welfare, which are still undeveloped while convergence education is expanding in university, and with this research as the start, it is anticipated for various approaches to be actively implemented about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beauty treat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양강좌 운영을 목적으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를 기반으로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개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발된 교과목명은 "미용복지와 지역사회 봉사"로 하고, 수업개요, 교과목 목표, 교재, 수업운영 방법, 과제, 평가에 관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교과의 학습 목표는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융합인재로서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기초적 전공지식을 갖추고, 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과 피부미용·사회복지의 융합적 관점에서 봉사학습 연계 교육을 통해 나눔과 배려심을 갖춰 인성을 함양으로 설정하였다. 교과목의 상세 내용은 교과목 소개와 융·복합 개념 이해,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미용복지의 융합적 사고 학습 및 실습, 봉사학습과 성과 공유회에 대해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봉사학습은 사회적 약자·배려 대상인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3시간씩 2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는 중간고사(30%), 기말고사(30%), 레포트 (20%), 출석 (20%)로 산출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복합 교육의 확산 속에서 아직까지 미개발 상태인 피부미용과 사회복지의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본 연구를 시작으로 미용 분야에서 다양한 융·복합 교육의 접근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search funds from Gwangju University in 2020.

References

  1. 김혜영(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2. 강경리, 박충식, 신범식(2016).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인문학.과학 융.복합 교양 강좌 개발과 적용. 교육문화연구, 22(2): 253-286
  3. 박정연(2019). 봉사학습 기반의 대학 피부미용 교양수업이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47): 479-485.
  4. 최현철(2019). 융합교양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한국교양교육학회, 13(5): 153-170.
  5. 차용선(2016). 수도권 대학의 융,복합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디자인 전공 분야를 중심으로-.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3(1): 389-398.
  6. 교육부 대학지원실(20113). 고등교육종합발전 방안. 교육부.
  7. 차윤경, 안성호, 주미경, 함승환(2016). 융.복합교육의 확장적 재개념화 가능성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9(1): 153-183.
  8. 강갑원 (2015). 융합인재교육의 원류, 변천 및 그 정체성의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4(2): 5-29.
  9.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10. 함승환, 외 13인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 과정평가연구, 16(2): 107-136.
  11. 백상미, 정주영, 정선호, 이상무(2016). 대학생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융.복합 신규 교과목 개발. 취업진로연구, 6(1): 89-10.
  12. 권혁, 송덕근, 이진홍(2018).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건국대학교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1(6): 25-34.
  13. 강인애, 이현민(2016). 복합수업을 중심으로 한 대학교양미술교육 사례.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151-155.
  14. 박숙희, 한석훈, 윤종욱(2013). 대학생의 자아실현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융.복합교육과정 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3(2): 61-75.
  15. 김유선, 김샛별(2019). 화예디자인과 색채의 융.복합 교육 강의모델 연구 및 개발 제안.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40(1): 63-75.
  16. 박미정(2016).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3(1): 141-167.
  17. 민기현, 이현주(2019). 봉사학습을 적용한 교양과목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7(2): 211-235.
  18. Mager, R. F., Beach, K. M.,(1967). Developing Vocational Instruction. Fearon Publishing.
  19. 최의창(2014). 융.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과 체육교과의 시도. 교육연구와 실천, 80(1): 41-60
  20. 박정연(2019). 대학의 뷰티재능기부 활성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341-348.
  21. 김지영(2017). 대학의 봉사학습 프로그램 운영 모형 개발 연구. 교육문화연구, 23(1): 65-102.
  22. Lake, Vickies E.,(2012). Jones, the Service learning in the pre K-3 classroom:The what, why, and how-to guide for every teacher. Free Sprit Publishing.
  23. 서정목(2013). 교양과목, 전공과목 및 융복합 교과목의 연계를 통한 융복합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융합학회, 35: 129-143.
  24. 이영희, 윤승준(2016).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온라인 수업 적용 분석-단국대학교 이공계 학생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2(6): 147-173.
  25. 정옥희(2016). 융.복합 접근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미술 감상 콘텐츠 적용 사례 연구. 예술교육연구, 14(4): 39-62.
  26. 서기자(2013). 융 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7(3): 17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