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 food activit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초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or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and Its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Activities)

  • 강수희;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420-1427
    • /
    • 2012
  • 참모자반 분획물은 극성에 따라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수층 순으로 분획하여 4개의 분획층을 얻었으며, 각 분획층의 생리활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메탄올 분획 층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에서는 부탄올 층이 pH 1.2에서 57.8%로 4개의 분획물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숙취 해소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ADH 활성과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흡광도 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hepos가 150~167%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가지 분획층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ALDH에서는 메탄올 분획층이 10 mg/ml 농도에서 167.4%의 활성을 나타내어 hepos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참모자반 분획물의 혈당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로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핵산 분획층에서 2 mg/ml의 농도에서 94.1%로 아주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부탄올층, 메탄올층 및 수층은 혈당강하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주름예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한 elastase 저해효과 실험에서 메탄올 분획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2 mg/ml 농도에서 93.2%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1 m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중 특히 메탄올 분획층이 탁월한 주름개선 효과, 숙취 해소능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핵산층은 혈당강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자반 유기용매 분획물은 천연 기능성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Aster scaber extracts)

  • 이은호;박혜진;김나현;홍은진;박미정;이선호;김명욱;안봉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3-401
    • /
    • 2016
  • 참취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항산화 효과, 건강 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 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참취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물과 6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11.1 mg/g, 4.18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sim}200{\mu}g/mL$로 조절하여 DPPH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7%, 91%였고, ABTS radical decolorization도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9%, 99%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87 PF와 2.2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50{\mu}g/mL$ phenolics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95%, ethanol 추출물에서 97%를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능은 물 추출물에서 50.8%, ethanol 추출물에서 69.4%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은 $50{\mu}g/mL$ phenolics농도에서 91%, ethanol 추출물은 $200{\mu}g/mL$ phenolics농도에서 80%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alpha}$-Amyl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4%, 89%로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7%, 25%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측정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6%, 14%로 물 추출물에서 주름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취 추출물은 항산화 고혈압억제, 통풍억제, 당분해억제,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 활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Pharmacological Effects of Bioactive Fractions from Brachyglottis monroi

  • Kwag Jung Sook;Na Young Soon;Perry Nigel B.;Kim Hyung Min;Baek Seung Hwa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60-264
    • /
    • 2004
  • The effects of bioactive fractions from Brachyglottis monroi on biologic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is bioactive subfraction 6-5 is the most cytotoxic to P388 murine leukaemia cell lines. A comparison of IC/sub 50/ values of these subfraction in cancer cell lines showed that their susceptibility to these subfractio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Fr. 6-5 > Fr. 6-3 > Fr. 6-6 > Fr. 6-1 > Fr. 6-2 > Fr. 6-4 by the MTT method. Silica gel flash column chromatography concentrated the cytotoxic activity in subfraction 6-5 which eluted with 30% and 40% ethyl acetate : hexane gave a major bioactive (51 mg, P388 IC/sub 50/ 8,286 ng/mL at 7.5 ㎍/disc).

수송나물(Salsola komarovii)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활성 (The Antioxidation Effect of Salsola komarovii Extract and Its Influence on Cell Bio activity)

  • 김민정;김숙희;이자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08-317
    • /
    • 2020
  • 수송나물은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로 바닷가와 같은 염분이 많은 토지에서도 생장이 가능한 식물이다. 전통적으로 수송나물은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약용으로도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수송나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실험 및 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수송나물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측정에는 DPPH와 ABTS 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IC50값이 186.10 mg/mL과 121.89 mg/mL로 나타났다. 동시에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 측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22.5%의 폴리페놀 함량과 28.4%의 환원능이 나타났다. 세포실험에서는 MTT 법을 사용하여 해당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항염능과 미백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수송나물 추출물은 미백 및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 박성진;권성필;나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58-11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가위 열매(Crataegi fructus)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능성 미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1.31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에서 85.80%,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7.3%, 환원력은 0.31로 나타났다. Melanoma 세포에 대한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최대 허용농도는 $100{\mu}g/mL$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50{\mu}g/mL$에서 8.5%,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1,000{\mu}g/mL$에서 46.83 %를 나타내었다. 아가위 열매 추출물은 약재와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천연물보다 다량의 페놀화합물 및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후 용매별 분획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의 확인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제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열수 온도, 에탄올 비율, 추출방법에 따른 마(Dioscorea batatas)의 기능성 및 특성 연구 (Functionalities and Properties of Yam (Dioscorea batatas) Extract Depending on Various Water Temperature, Ethanol Ratio, and Extraction Methods)

  • 김재용;금준석;박종대;성정민;최윤상;최현욱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19
  • 마 분말과 생 마의 추출 용매(열수 25, 50, 75, 95℃, 에탄올 25, 50, 75 100%) 및 추출 방법(회분법, 침지법)에 따른 추출물과 추출 후 침전물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대부분 생 마 보다는 마 분말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마 분말 50% 에탄올 추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제거능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75% 에탄올 추출법에서 높은 제거능을 보였고, 가압 가열 추출법은 높은 압력과 온도에 의한 항상화 물질의 파괴로 인해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95℃ 열수 추출법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능에서는 마 분말의 경우는 95℃ 열수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 생 마의 경우에는 95℃ 열수 추출법, 25% 에탄올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전물의 RVA 호화특성 결과 대부분 추출법에서 peak viscosity, trough, final viscosity 등이 control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가 나온 반면 95℃ 열수 추출법과 가압 가열 추출법에서는 전분 그래뉼의 파괴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로 인한 viscosity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마 분말 75℃ 열수 추출의 경우 전분 그래뉼의 파괴는 SEM에서 관찰되지 않았음에도 viscosity가 감소한 것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침전물 현탁액의 점도는 마 분말에서 5.82-9.12 cp, 생 마에서 13.88-19.10 cp로 생 마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생 마의 점액 물질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의 추출물과 침전물의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마를 활용한 소재화, 식품 및 피부미용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데이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삼의 성분 변화 (Change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 양승준;우관식;유정식;강태수;노영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1-525
    • /
    • 2006
  • 인삼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을 변수로 하여 열처리한 다음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고온고압처리에 따라 증가하다가 $140^{\circ}C$, 4시간 이후에 감소하였으며, $150^{\circ}C$, 1시간 처리구에서 29.46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온고압처리에 따라 증가하다가 $150^{\circ}C$에서는 2시간 처리구에서 4.75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IC_{50}$은 처리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항산화활성이 무처리구(17.68mg/g)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장 활성이 높은 처리구는 $140^{\circ}C$, 3시간 처리구로 0.22mg/g으로 나타났다. 4년근 인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1.18%이었으며, 고온고압처리에 따라 ginsenoside는 대부분 처리온도가 높아질수록,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g_1$, Re, $Rb_2,\;Rb_3$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는 안정하였으나 $1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하여 감소하였다. Rf는 열처리에 비교적 안정하였으며, $Rg_3,\;Rh_2$는 고온고압처리에 의해 새로이 생성되거나 함량이 증가하여 최대 생성 조건은 $130^{\circ}C$에서는 4-5시간, $140^{\circ}C$에서는 2-4시간, $150^{\circ}C$에서는 2시간으로 나타났다.

녹차추출물에 의한 쥐표피의 효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Enzymatic Activities of Hairless Mice Skin Induced by Ultraviolet B Light)

  • 류병호;박춘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5-361
    • /
    • 1997
  • 털없는 쥐표피를 적출하여 ultraviolet B로서 조사한 후 녹차의 열수 추출물이 표피의 효소의 활성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의 열수추출물을 5, 25, 50 및 $100\;{\mu}g$으로 쥐표피에 첨가한 후 ultraviolet B을 $1.0\;joule/cm^{2}$로 조사한 후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 catalase와 glutathione reductase는 녹차의 열수 추출물의 첨가용량이 증가할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lutathione peroxidase와 superoxide dismutase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lipoxygenase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rachidonic acid에 $50\;{\mu}g$ 녹차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대사를 검토한 결과 대사산물 12 또는 15-hydroxyeicosa- tetraenoic acid보다 5-HETE 및 8-HETE가 억제되었다. 녹차의 열수 추출물을 5, 25, 50 및 $100\;{\mu}g$ 첨가하였을 때 5-HETE는 각각 32, 52, 62 및 80% 억 제되었고 8-HETE는 각각 36, 47, 70 및 84%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Porcine Placenta Extract from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n Photo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 Park, Yooheon;Han, Bok Kyung;Choi, Hyeon-Son;Hong, Yang Hee;Jung, Eun Young;Suh, Hyung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4-17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porcine placenta extract (PPE) on ultraviolet B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to evaluate its functional activities as a skin food ingredient. PPE prepared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was termed SPE, and subsequently digested by enzymes to prepare E-SPE.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192.0%) induced by UVB were decreased by SPE and E-SPE. SPE had more effective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E-SPE treatment. UVB treatment increas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and this elevated expression was decreased by E-SPE treatment. High-dose treatment with E-SPE (50 and 100 µg/mL) reduced TIMP-1 expression levels of UVB-C (control) to 33.5 and 34.6%, respectively. In contrast, at low SPE doses (1 and 10 µg/mL), the treatment slightly decreased TIMP- 1 expression levels to 73.3% and 71.3% of UVB-C,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SPE and E-SPE against UVB damage in keratinocytes via ROS scavenging, down-regulating MMP-2 expression and up-regulating TIMP- 1 expression. This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SPE as an ingredient in the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against photoaging.

Inhibitory Effects of a Combination of Grapefruit and Rosemary Extracts for Alleviating UV-Induced Skin Ageing

  • Choi, Hee-Jeong;Alam, Badrul;Zhao, Peijun;Cha, Yeong-Ho;Kim, Tae-Ho;Lee, Sang-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7-219
    • /
    • 2019
  • Ultraviolet (UV) rad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xtrinsic skin aging. We performed in vivo assay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 combination of grapefruit and rosemary extracts (cG&Re) on UVB-induced skin ag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cG&Re displaye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opical application of cG&Re mitigated photo-aging related lesions such as skin erythema and thickening in photo-aged BALB/c mice dorsal skin, by preventing UVB-induced collagen degradation.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vealed that cG&Re stimulated SIRT-1 expression, and suppressed MMP-1 and $IL-1{\beta}$ expression. It was observed that expression of MMP-1 and -13 mRNA was downregulated in the cG&Re-treated group. Furthermore, cG&Re treatment drastically suppressed protein expression of MMP-1 and 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kinase. As expected, oral administration of cG&Re resulted in the same SIRT-1, MMP-1, and $IL-1{\beta}$ expression patterns observed upon topical application of cG&Re in the UV-induced mice model. Overall, the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cG&Re attenuated both the downregulation of MMP-1 expression and up-regulation of SIRT-1 expression, as well as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MAPK in UVB-induced skin ageing mice model, suggesting that cG&Re might be used as an internal food ingredient for beauty-purposes as well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