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 water concentra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유과 반죽의 콩물 농도 및 Incubation time과 포장방법이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an Water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ime of Yukwa Paste and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Yukwa)

  • 조미나;전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4-300
    • /
    • 2001
  • 저장 방법의 차이에 따른 유과의 과산화물가는 대바구니 포장이 가장 높았으며, 질소 치환 포장, 냉동 저장 순으로 나타났고, 저장 기간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콩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가도 증가하였으나 incubation 시간 증가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유과의 hardness는 콩물 농도, incubation 시간과 저장 기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저장 방법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eak number는 저장 기간 10주까지는 냉동 저장군이 다른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12주에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 기간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저장 3개월 후 관능 검사 결과, 유과의 색은 저장 방법과 콩물의 농도에 따라서 용적 증가율은 콩물 농도와 incubation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산패취는 저장 방법에 따라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부드러운 정도, 맛, 종합적 기호도는 콩물의 농도에 따라서만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 PDF

콩물 농도 및 숙성 시간이 Amylase 의 활성과 유과 반죽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an Water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ime on Amylas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ukwa Paste)

  • 손경희;조미나;전형주;박진;주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8-293
    • /
    • 2001
  • 콩물의 ${\alpha}-amylase$ 활성은 콩물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eta}-amylase$와 glucoamylase의 활성은 7% 콩물보다 14% 콩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각각의 효소는 온도 변화 및 기질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고, 생전분보다 호화전분 기질에 대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과 반죽의 pH는 콩물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incubation 시간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점도는 콩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incubation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반죽의 환원당 함량은 생반죽, 호화 반죽 모두 콩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incubation 시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호화 반죽에서는 0% 콩물 첨가군보다 7%, 14% 콩물 첨가군의 환원당 함량이 $3{\sim}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반죽의 ${\alpha},{\beta}-amylase$, glucoamylase 역시 콩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생전분보다 호화전분에 대한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유과 반죽을 동결 건조시켜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콩물 무첨가군에 비해 콩물 첨가군에서 incubation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입자 표면에 구멍이 관찰되어 콩물 첨가시 전분 분해 효소 작용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두와 쥐눈이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small black bean)

  • 홍주연;신승렬;공현주;최은미;우상철;이명희;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4-411
    • /
    • 2014
  •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효모발효한 대두침출액으로부터의 대두올리고당 생산: 한외여과 및 역삼투 처리효과 (Soy-oligosaccharide Production from Yeast Fermented Bean Cooking Water: Effects of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 구경형;박동준;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80-686
    • /
    • 1997
  • 대두침출액(bean cooking water, BCW)을 효모처리 하지 않은 대조구와 선발된 효모(S. cerevisiae KCTC 7039, H. anomala KFRI 626)로 발효시킨 효모처리구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한외여과 후 보유액(retentate)은 원료로 사용한 각각의 BCW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여과 후 회수된 투과액(permeate)은 고형분은 약간 감소되었으나, 총당 함량의 $80{\sim}100%$가 회수되었다. 회분함량은 한외여과 처리와 관계없이 원료인 BCW와 거의 같은 수준이었으나, 단백질의 경우는 한외여과(cutoff MW 20,000)처리에 의해 대조구는 원료의 약 38%, S. cerevisiae KCTC 7039처리구는 31%, H. anomala KFRI 626처리구는 약 21%의 제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2단계의 한외여과 처리를 적용할 경우, 대두 침출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20{\sim}40%$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총당 및 스타키오스를 포함한 올리고당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었다. 대두침출액에 역삼투공정을 적용하여 용질농축비율(VCR, volume concentration ratio)별로 농축한 결과 고형분 및 회분 단백질은 용적농축비율 3.5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최적 용적 농축비는 농축시 요구되는 에너지 양과 투과액으로 손실되는 양을 고려하여 3.5라 여겨진다.

  • PDF

조리과정에 따른 콩나물 중의 수은잔유량 (Residual Mercury in Soy-Bean Sprouts by Steps of Cooking)

  • 정준용;박정덕;정규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307-313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the residual amount of mercury in soy-bean sprouts in each steps of cooking. Samples were taken at markets and also cultured at home without applying the mercury containing pesticides as control. Mercury was determined by dithizone method. It was disclosed that soy-bean sprouts purchased at markets contained $1.32{\pm}0.274ppm$, 13 times as high as the maximal allowabl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food recommeded by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Mercury contents, however, dropped off steadily by steps of cooking: rinsed with distilled water and boiled in distilled water showing concentrations of $0.11{\pm}0.025ppm$ in boiled sprouts and $0.03{\pm}0.022ppm$ in sprout-soup. These valu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samples, and not exceeded the maximal allowabled levels of mercury in foo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mercury containing pesticides in the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is not so serious problem as it has been suspected in respect of food contamination, but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to indiscriminate use of mercury containing pesticides as they may contaminate air, water and soil and secondarily bring harm to human health through food chains.

  • PDF

한국산과 중국산 녹두로부터 방법을 달리하여 분리한 전분의 이화학적 및 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Starches Purified from Korean and Chinese Mungbeans with Different Methods)

  • 전옥윤;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71-881
    • /
    • 2012
  •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es prepared by different purification methods, starches from Korean Eohul variety and Chinese mung bean (MB) with or without hull using alkaline solution or water as solvent were purifi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king muk were investigated. Apparent amylose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ater binding capacity, solubility and pasting properties by RVA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arch gels (10% dry basis) were measured for 0 and 4 day stored at $4^{\circ}C$. The protein and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lowered in starch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The starches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show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s. Apparent amylose contents of Eohul and Chinese starches showed 37.06-39.03% and 31.57-32.74%, respectively. Chinese starch was higher in water binding capacity but lower in solubility at $85^{\circ}C$ than others. Peak, trough, cold, and breakdown viscosities of Eohul st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one. Mung bean starch gel made immediately exhibited clear and glossy appearance but became whiter like milk. The crystallinities of starch and starch gel showed A and B types, respective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starch gel made immediately and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4 day stored gel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5). Especially, Eohul starch gels purified from hulled MB showed higher resilience (bending property) and hardnes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high quality muk would be made using MB starch purified from hulled Korean mung bean using water as solvent.decreased in contain more than 20% of SGP added group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GP was found in the range of less than 10%.

Locust Bean Gum으로 제조한 가식성 필름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Locust Bean Gum-Based Edible Film)

  • 최수진;김상용;오덕근;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63-371
    • /
    • 1998
  • Locust bean gum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투명도, 수증기투과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투명도는 가식성 필름으로 적합하게 보였으며, 수증기투과도는 가소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LBG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조온도를 20, 35, 50, 65, $80^{\circ}C$로 달리하였을 때 수증기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게 관찰되었고, 상대습도가 0%에서 32, 58, 85% RH로 증가함에 따라 수증기투과도가 글리세롤 첨가의 경우 2배, 솔비톨 첨가의 경우 3배가 증가하여 저장성에 있어서는 글리세롤이 가소제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필름의 두께가 0.06에서 0.09, 0.12 mm로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수증기투과곡선의 모습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LBG 필름의 수증기투과도는 다른 가식성 필름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 인장강도는 LBG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가소제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글리세롤을 사용할 경우 더 크게 측정되었다. 반면, 신장율은 LBG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가소제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솔비톨을 사용할 경우 더 크게 측정되었으나, LBG 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약하게 나타났다. LBG와 아가로오스, 카파-카라기난, 잔탄검을 혼합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한 결과 카파-카라기난과의 상승효과로서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증가하였다.

  • PDF

블랙푸드 첨가에 따른 약콩 청국장 및 대두청국장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black-bean-Chungkukjang-added black food and soybean Chungkukjang extracts)

  • 박현숙;신승렬;홍주연;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5-743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약콩청국장에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 분말을 첨가한 약콩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식품학적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약콩청국장,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블랙푸드 첨가한 약콩청국장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0.625~5.0 mg/mL의 농도에서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나 10 mg/mL의 농도에서는 대두청국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3.0일 때 보다 높았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0.625 mg/mL의 농도에서는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대두청국장의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과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rom Button Mushroom Compost

  • Oh, Sung-Hoon;Lee, Chang-Jung;Yoon, Min-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100-108
    • /
    • 2016
  • An auxin-producing bacteria (strain 5-1) wa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compost in Boryeong-Si, Chungcheongnam-Do. The 5-1 strain was classified as a novel strain of Enterobacter aerogenes based on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analyses. The isolated E. aerogenes 5-1 was confirmed to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one of the auxin hormones, using TLC and HPLC analyses. When the concentration of IAA was assessed by performing HPLC quantitative analysis, a maximum concentration of IAA of $109.9mgL^{-1}$ was detected in the culture broth incubated in R2A medium containing 0.1% L-tryptophan for 24 h at $35^{\circ}C$. Acidification of the culture was deemed caused by an increase of IAA becaus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AA production and pH was observed. Supplementation with a known precursor of IAA production, L-tryptophan, appeared to induce maximal production at 0.1% concentration, but it reduced production at concentrations above 0.2%. To investigate the growth-promoting effects to crops, the culture broth of E. aerogenes 5-1 was used to inoculate water cultures and seed pots of mung bean and lettuce. In consequence, 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of mung bean and lettuce were two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actericidal Efficacy of Oxidized Silver against Biofilms Formed by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pv. flaccumfaciens

  • Harding, Michael W.;Marques, Lyriam L.R.;Allan, Nick;Olson, Merle E.;Buziak, Brenton;Nadworny, Patricia;Omar, Amin;Howard, Ronald J.;Feng, Ji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334-344
    • /
    • 2022
  • Bacterial wilt is a re-emerging disease on dry bean and can affect many other crop species within the Fabaceae. The causal agent,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pv. flaccumfaciens (CFF), is a small, Gram-positive, rod-shaped bacterium that is seed-transmitted. Infections in the host become systemic, leading to wilting and economic loss. Clean seed programs and bactericidal seed treatments are two critical management tools. This study characterizes the efficacies of five bactericidal chemicals against CFF. It was hypothesized that this bacterium was capable of forming biofilms, and that the cells within biofilms would be more tolerant to bactericidal treatments. The minimum biocide eradication concentration assay protocol was used to grow CFF biofilms, expose the biofilms to bactericides, and enumerate survivors compared to a non-treated control (water). Streptomycin and oxysilver bisulfate had EC95 values at the lowest concentrations and are likely the best candidates for seed treatment products for controlling seed-borne bacterial wilt of bean. The results showed that CFF formed biofilms during at least two phases of the bacterial wilt disease cycle, and the biofilms were much more difficult to eradicate than their planktonic counterparts. Overall, biofilm formation by CFF is an important part of the bacterial wilt disease cycle in dry edible bean and antibiofilm bactericides such as streptomycin and oxysilver bisulfate may be best suited for use in diseas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