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c model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5초

수산식품 가공업의 효율성 분석 (An Analysis of Efficiency of Sea Food Manufacturing)

  • 윤상호;박철형
    • 수산경영론집
    • /
    • 제46권2호
    • /
    • pp.111-125
    • /
    • 2015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Korean sea food manufacturing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irstly, based on an output oriented traditional CCR, BCC model, the study estimated the efficiency scores. The average estimates of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turned out 0.6517, 0.7184, 0.9074 respectively, which are separated for 50 marine corporations. The 10 DMUs were efficient under CCR model while the 17 DMUs under BCC model.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operating profit of the two output factors should be more increased relatively and averagely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improvement. Secondly, super efficiency scores are estimated under super efficiency and SBM model. As a result, it came to be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ank the efficiency of the efficient DMUs. The highest score was 4.2975 under Super-CCR, was 2.4947 under Super-BCC, was 2.7160 under SBM-Super-CCR, and was 1.5319 under SBM-Super-BCC model. The average estimates of super efficiency were 0.76 and 0.82 under Super-CCR and Super-BCC model respectively, and were 0.61 and 0.67 under SBM-Super-CCR and SBM-Super-BCC model. Finally, the study conducted a rank-sum test, Wilcoxon-Mann-Whitney test, to fi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heterogeneity existing in efficiencies among the sample corpor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efficiency between Dried, Salted product manufacturing and Frozen product manufacturing under BCC-Super efficiency model at 10% level of significance. Furthermore, TOBIT model was applied to find out the potential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the efficiency, Wilcoxonand the results showed debt and sales cost influenced all of the technical,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while net profit influenced only the technical efficiency.

DEA 모형의 변별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rimination Evaluation of DEA Models)

  • 박만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01-2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DEA 모형의 변별력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변별력 평가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중요도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변별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DEA 모형들 중 변별력 평가를 위해 CCR-DEA, BCC-DEA, entropy, bootstrap, super efficiency, cross efficiency DEA 모형을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들의 순위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CCR 모형과 BCC 모형의 효율성 값과 entropy, bootstrap, super efficiency, cross efficiency 모형의 효율성 값들 간에 순위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와 변동계수를 이용한 모형들의 변별력 순위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어 변동계수를 DEA 모형의 변별력 평가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개 모형 중 super efficiency 모형이 변별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CCR 모형과 순위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모형은 super efficiency 모형으로 나타났고, BCC 모형과 순위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모형도 super efficiency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VB5.2 인터페이스를 위한 연결 제어 프로토콜과 병렬형 연동 모델 (Connection Control Protocol and Parallel Interworking Model for the VB5.2 Interface)

  • 차영욱;김춘희;한기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2-31
    • /
    • 2000
  • B-ISDN 환경의 VB5.2 인터페이스는 B-BC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액세스 망과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ATM 자원의 동적인 할당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액세스 망의 도입으로 인한 연결 선정 지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VB5.2 인터페이스의 B-BCC 프로토콜을 개선시킨 B-ANCC 프로토콜과 서비스 노드에서 VS5.2 인터페이스의 연결 제어 프로토콜이 신호 프로토콜과 병렬형으로 연동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B-ANCC 프로토콜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 도구인 SPIN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큐잉 모델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B-BCC 프로토콜 기반의 순차형 연동 모델과 B-ANCC 프로토콜 기반 병렬형 연동 모델의 연결 설정 지연 및 완료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VB5.2 인터페이스의 연결 제어 프로토콜로 B-BCC 대신 B-ANCC를 사용하고 병렬형 연동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연결 설정 지연과 완료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Management Efficiency of Korean Ship Component Part Manufacturers

  • Kim, Myung-Ja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577-585
    • /
    • 2010
  • This paper analyzes the efficiency of Korean Ship Component Part Manufacturer firms using DEA model. We evaluated the CCR, BCC efficiency and RTS of 30 Korea Ship Component Part Manufacturer firms. We also suggested the Korean Ship Component Part Manufacturer firms that can be benchmarked based on analyzed information. The result showed five enterprises whose values of CCR efficiency are 1, and eleven enterprises whose values of BCC efficiency are 1. RTS indicated IRS of 1 firms, DRS of 24 firms and CRS of 5 firms.

체선을 고려한 항만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Efficiency Analysis of Port Considering Congestion)

  • 이태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35-148
    • /
    • 2017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한다. 체선이 항만의 운영 효율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문제에 대한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BM-DEA 모형을 이용하여 체선을 고려한 항만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DEA-CCR BCC 모형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먼저 DEA-CCR BCC 분석 결과, 부산(2011), 울산(2011)이 효율적인 DMU로 나타났으며 DEA-BCC 모형 분석 결과, 부산(2011), 울산(2011), 울산(2012), 부산(2012), 여수 광양(2012)이 효율적인 DMU로 나타났다. 체선을 고려한 SBM-DEA 모형 분석 결과, 울산(2012), 부산(2011), 부산(2012), 인천(2011), 울산(2011)이 효율적인 DMU로 나타났다. DEA-CCR BCC 결과와 SBM-DEA 결과 간 불일치를 보여 체선이 항만의 운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선선박척수의 잔여물을 제거한다면 인천항은 3년간 총 11.9억 원, 여수 광양항은 3년 간 총 65.52억 원의 비용 보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지선버스노선의 형평성 분석 (Equity Analysis of Feeder Bus Routes in Seoul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 한진석;김혜란;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2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버스서비스 평가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유익투입물을 고려한 수정 BCC 모형을 이용하여 2009년 서울시 179개 지선버스노선의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정류장 수와 운행횟수를 사용하여 형평성 지표와 접근성 지표를 산출하는 형태로 상정하였다. 투입지향 수정 BCC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분석대상 중 약 9%의 노선만이 형평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형평성 추정치는 0.702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 지선버스노선은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정류장 수와 운행횟수를 평균적으로 약 6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분석대상의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류장 수와 운행횟수는 모두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보하였으며, 정류장 수가 영향력이 가장 큰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초경량 실시간 운영체제 TMO-eCos를 위한 TMO 지원 라이브러리 및 BCC 스케줄러 (A TMO Supporting Library and a BCC Scheduler for the Microscale Real-time OS, TMO-eCos))

  • 주현태;김정국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7호
    • /
    • pp.505-509
    • /
    • 2009
  • 실시간 처리의 가장 큰 목적은 시스템에서 동작 하는 실시간 태스크들이 주어진 데드라인을 잘 지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운영체제인 TMO-eCos의 실시간 태스크 스케줄링 성능 개선을 위하여,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모델에 필수 요소로 규정된 BCC(Basic Concurrency Control) 스케줄러의 구현과, 실시간 객체 TMO의 객체 기반 프로그래밍을 제공하는 TMO 지원 라이브러리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BCC 스케줄러는 보장성 컴퓨팅 설계를 위한 것으로, 비동기적 사건 구동 태스크의 스케줄을 사전에 스케줄이 정의된 시간 구동 태스크의 구동 시간을 제외한 여유 시간이 충분할 때에만 허용하는 실시간 스케줄러이다.

매스미디어 운영에 따른 성과제고에 관한 연구 -국내 신문산업을 중심으로- (Improving Outcome of Mass Media)

  • 황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66-375
    • /
    • 2013
  • 최근 매스미디어 중 신문사의 경영은 인터넷뉴스, 방송 등의 확산으로 인해 신문사간의 경쟁뿐만 아니라 타 매체와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괄분석기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국내 매스미디어인 신문발행업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여 운영성과 제고를 위한 벤치마킹 대상 신문사와 신문사가 개선해야할 투사값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신문사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30개 신문발행사을 선정하였으며 평가항목으로는 CCR-O, BCC-O 효율성과 규모효율성(SE), 규모수익성(RTS)을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30개 신문발행사 중 CCR-O효율성이 1로 나타난 신문사가 10개, BCC-O효율성이 1로 나타난 신문사가 14개, 규모수익성분석을 위해 3가지 측면에서 분석 해 본 결과로는 규모의 보수증가가 1개 업체, 규모의 보수감소가 16업체, 규모의 보수불변이 13업체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신문발행업체들이 효율적으로 프론티어에 도달하기 위한 투사값을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가지고 분석함으로써 신문발행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기업경영 개선과 관련한 효율성 및 성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은행산업 진단방법론 개발 (Developing a Method for Diagnosing the Banking Industry)

  • 박경보;홍종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55-265
    • /
    • 2015
  • 은행 산업의 글로벌화에 따라 은행의 내실이 중요해지고 있다. 내실을 위해 은행의 효율 생산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은행은 이를 향상시켜야 한다. 효율 생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은행의 현 상황을 분석할 방법론이 필요하나 부족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측정방법론인 DEA중 BCC모델과 생산성 측정방법론인 Malmquist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은행의 효율 생산적 위치를 분석할 수 있는 진단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모델의 타당성을 검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은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BCC - Malmquist모델과 당시의 은행위치가 유사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2012년의 데이터에 나온 결과 값을 바탕으로 2013-2014년에 각 은행이 취한 효율 생산성 향상 방법이 흡사함을 분석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방법론은 은행의 효율 생산적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타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경영전략적 시사점을 제공가능하다 사료된다.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코스닥 기업의 연구개발집약도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Focusing on R&D Intensity in a KOSDAQ-listed Firm)

  • 황경연;구종순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2호
    • /
    • pp.63-83
    • /
    • 2016
  •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DEA를 활용한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변수로 종업원수와 자본을 활용하고 산출변수로 매출액을 활용하였다.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존 실증연구를 기초로 연구개발집약도,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일반관리비비율, 총자산, 유동성 및 자기자본비율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는 369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의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결과 중에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가 CCR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가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관리비비율이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