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Focusing on R&D Intensity in a KOSDAQ-listed Firm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코스닥 기업의 연구개발집약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5.14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a KOSDAQ-listed manufacturing firm. We us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estimate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manufacturing firm. We employ two inputs (number of employees, equity) and one output (sales) in the DEA. The 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are estimated using the panel Tobit model. An analysis of 369 export manufacturing firms from 2013 to 2015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D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total asset,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However, export intensity had a negative impact on CCR efficiency scores in a KOSDAQ-listed total export manufacturing firm. Second, the R&D intensity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but export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in a KOSDAQ-listed large export manufacturing firm. Third, the R&D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total asset,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respectively, in a KOSDAQ-listed small and medium export manufacturing firm.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DEA를 활용한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변수로 종업원수와 자본을 활용하고 산출변수로 매출액을 활용하였다.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존 실증연구를 기초로 연구개발집약도,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일반관리비비율, 총자산, 유동성 및 자기자본비율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는 369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의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결과 중에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가 CCR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가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관리비비율이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