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yesian network

Search Result 50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cent Research & Development Trends in Automated Machine Learning (자동 기계학습(AutoML) 기술 동향)

  • Moon, Y.H.;Shin, I.H.;Lee, Y.J.;Min, O.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4 no.4
    • /
    • pp.32-42
    • /
    • 2019
  •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ignificantly depends on how a configuration of hyperparameters is identified and how a neural network architecture is designed. However, this requires expert knowledge of relevant task domains and a prohibitive computation time. To optimize these two processes using minimal effort,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automated machine learning in recent years. This paper reviews the conventional random, grid, and Bayesian methods fo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HPO) and addresses its recent approaches, which speeds up the identification of the best set of hyperparameters. We further investigate existing neural architecture search (NAS) techniques based on evolutionary algorithms, reinforcement learning, and gradient derivatives and analyze their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results. Moreove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challenges in HPO and NAS are described.

Research on improving correctness of cardiac disorder data based on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기반한 심전도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연구)

  • Lee, Hyun-Ju;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212-214
    • /
    • 2013
  • 심전도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분류기를 사용한 실험이 많으며, QRS-Complex와 R-R interval 간격을 추출하여 실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R-R interval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R-R interval 데이터와 HRV 데이터를 구성하였고,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류기를 사용하여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심장관련 데이터는 심전도 뿐 아니라 심장병 데이터도 있는데 심전도 데이터와 같이 분류실험을 시행하여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분류기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타 논문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타 논문과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해보니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타 결과에 비해서 정확도 도출이 우수하였다.

Creation Personalized Situation Information by Inference Using Bayesian Network Based on Context Data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컨텍스트 기반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추론을 통한 개인화된 정황 정보 생성)

  • Gahng, Shinwook;Oh, Jehwan;Lee,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21-5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집 가능한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추론을 통해 송신자의 정황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학습되는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정황 판단 기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추론 결과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주기적인 학습에 사용하고 각 단계에서 정확도를 측정함으로써 개인화된 정황 정보 추론과 사용자의 정황 판단 기호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함을 확인한다.

A Method for Spam SMS Filtering Using Bayesian Network and Multi Layer Perceptron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멀티 레이어 퍼셉트론을 이용한 모바일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 Hong, Seung-Beom;Kim, Moo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3-286
    • /
    • 2011
  • 스팸 메시지는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지는 광고성 메시지로서 최근 들어 그 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스팸 메시지 필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며 기존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키워드 기반 필터링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되었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해 스팸 메시지들의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을 멀티 레이어 퍼셉트론을 이용해 학습하여 메시지들을 분류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약 93.5%의 필터링 정확도률을 얻었으며 키워드 선택 대신 스팸 메시지를 선택해 학습시킴으로서 사용하기 쉽고 사용자에 맞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Quantum Price Estimation Model using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양자 가격 예측 모델)

  • Kim, Juon;Yun, Seok-Min;Shin, Soyoung;Kim, 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69-2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변수간의 다양한 관계 분석 또는 예측 모델에 많이 적용되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에 대한 양자 회로를 설계하고, 설계한 양자 회로를 '모여봐요! 동물의 숲' 게임에서 진행되는 무 거래에 대한 무값을 예측하는 시나리오에 적용했다. 제안한 양자 가격 예측 모델은 양자 회로로 표현했으며 IBM 의 Qiskit 을 이용해 구현하였다. 구현한 회로는 시뮬레이션 백엔드 뿐만아니라 IBM 에서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실제 양자 컴퓨터 2 종의 백엔드에 실행하였고, 실행 결과와 설계한 회로를 바탕으로 제안한 모델의 성능을 분석하여 제안 모델의 효용성을 보였다.

An exercis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ayesian network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algorithm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특이값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한 운동 추천 시스템)

  • Shin, A-Young;Lim,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470-47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홈 트레이닝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효율적인 운동을 위해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조건, 선호도 등을 바탕으로 적합한 운동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을 활용해 비만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고, 운동 데이터를 소모 칼로리에 따라 클러스터링 한다. 다음으로 비만의 정도와 운동 레벨에 따라 정해진 추천 점수를 통해 사전 선호도 확률을 계산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해 사후 확률을 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특이값 분해 알고리즘(SVD)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추천한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비교 실험을 진행하여 회귀 문제 평가 척도인 RMSE 값 측면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Prediction of User Activity based on Mobile Life-log using Dynamic Bayesian Network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라이프로그 기반 사용자 행동 예측)

  • Han-Saem Park;Sung-Bae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60-63
    • /
    • 2008
  • 개인화 장비 기술의 발달과 함께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습득하기에 유용하며 따라서 이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근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로그를 바탕으로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앞으로 취할 행동을 예측하고자 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행동 패턴 중 정확한 행동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였다. 장소, 시간, 요일 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해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 행동 패턴을 학습하였으며, 개인 사용자 모델과 전체 사용자 모델을 따로 학습함으로써 더 정확한 행동 패턴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위해 대학생들로부터 수집된 모바일 로그를 통해 제안하는 행동 예측 모델의 성능을 확인한 결과 77~94%의 예측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A Fundamental Study on Analysis of Electromotive Force and Updating of Vibration Power Generating Model on Subway Through The Bayesian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베이지안 회귀 및 상관분석을 통한 지하철 진동발전 모델의 수정과 기전력 분석)

  • Jo, Byung-Wan;Kim, Young-Seok;Kim, Yun-Sung;Kim, Yun-Gi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6 no.2
    • /
    • pp.139-146
    • /
    • 2013
  • This study is to update of vibration power generating model and to analyze electromotive force on subway. Analysis of electromotive force using power generation depending on classification of locations which are ballast bed and concrete bed. As the section between Seocho and Bangbae in the line 2 subway was changed from ballast bed to concrete bed, it could be analyzed at same condition, train, sectio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equation by Faraday's law was updated using Bayesian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calculate value and experiment value. Using the updated model, it could get 40mV per one power generation in ballast bed, and it also could get 4mV per one power generation in concrete bed. If the updated model apply to subway or any train,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get electric power. In addition to that, it will be good to reduce greenhouse gas and to build a green traffic network.

A RSS-Based Localization for Multiple Modes using Bayesian Compressive Sensing with Path-Loss Estimation (전력 손실 지수 추정 기법과 베이지안 압축 센싱을 이용하는 수신신호 세기 기반의 위치 추정 기법)

  • Ahn, Tae-Joon;Koo, In-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1
    • /
    • pp.29-36
    • /
    • 2012
  • In Wireless Sensor Network(WSN)s, the detection of precise location of each node is essential for utilizing sensing data acquired from sensor nodes effectively. Among various location method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RSS) based localization scheme is mostly preferable in many applications because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any additional hardware cost. Since a RSS-based localization scheme is mainly affected by radio channel or obstacles such as building and mountain between two nodes, the localization error can be inevitable. To enhance the accuracy of localization in RSS-based localization scheme, a number of RSS measurements are needed, which results in the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a RSS based localization using Bayesian Compressive Sensing(BSS) with path-loss exponent estima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localization in the energy-efficient way. In the propose scheme, we can increase the adaptativ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localization by estimating the path-loss exponents between nodes, and further we can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by the compressive sensing. Through the simulati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enhance the location accuracy of multiple unknown nodes with fewer RSS measurements and is robust against the channel variation.

Sensitivity Analysis of Drought Impact Facto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ayesian Networks (구조방정식모형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뭄 영향인자의 민감도 분석)

  • Kim, Ji Eun;Kim, Minji;Yoo, Jiyoung;Jung, Sungw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1
    • /
    • pp.11-21
    • /
    • 2022
  • Drought occurs extensively over a long period and causes great socio-economic damage. Since drought risk consists of social, environmental, physical, and economic factors along wit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factors, it is important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ir impacts on drought ris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drought hazard, vulnerability, response capacity, and risk in Chungcheongbuk-do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valuated their impacts on drought risk using Bayesian networks. We also performed sensitivity analysi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change drought risk. Overall results showed that Chungju-si had the highest risk of drought. The risk was calculated as the largest even when the hazard and response capacity were changed. However, when the vulnerability was changed, Eumseong-gun had the greatest risk.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Jeungpyeong-gun had the highest sensitivity, and Jecheon-si, Eumseong-gun, and Okcheon-gun had highest individual sensitivities with hazard, vulnerability, and response capacity,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impact factors on drought risk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epare appropriate drought countermeasures considering regional drought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