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n area

검색결과 1,650건 처리시간 0.032초

농촌유역 수문관측망 구축.운영(이동유역)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Hyd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in Yi-dong Rural Basin)

  • 박재홍;김진택;이용직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61-264
    • /
    • 2002
  • Yi-dong experimental basin is operated for research on the rural basin characteristics and accumulation of a long term data by hydrological observation equipments. It is basin area 9,440ha, length 14.4km and slope 0.67%. Hyd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is constructed of rainfall meter 4points, reservoir storage level 3points and river water level 2points.

  • PDF

구속 다중선형회귀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홍수 피해 면적 분석 (Analysis of the Crop Damage Area Related to Flood by Climate Change Using a Constrain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 김묘정;김광섭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2호
    • /
    • pp.1-15
    • /
    • 2020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rop damage area by flooding for 113 middle range watersheds during 2000-2016 were analyzed and future crop damage area by flooding were analyzed using 13 GCM outputs such as hourly maximum rainfall, 10-min maximum rainfall, number of days of 80 mm/day, daily rainfall maximum, annual rainfall amount associated with RCP 4.5 and RCP 8.5 scenarios and watershed characteristic data such as DEM, urbanization ratio, population density, asset density, road improvement ratio, river improvement ratio, drainage system improvement ratio, pumping capacity, detention basin capacity, and crop damage area by flooding. A constrain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construc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rop damage area by flooding and other variables. Future flood index related to crop damage may mainly increase in the Mankyung watershed, Southwest part of Youngsan and Sumjin river basin and Southern part of Nackdong river basin. Results are useful to identify watersheds which ne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future flood damage.

농촌유역의 오염부하량산정을 위한 범용적 GIS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Development of Odinary GIS and Database for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 in Rural Areas)

  • 양영민;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60-465
    • /
    • 2001
  • Pollutant load using unit load method is calculated by simply equation, especially, very useful in the area that didn't exist about water quality data. However, it takes long time to calculate pollutant load with area in which there is various pollutants and if the boundary of a basin altered, the work of calculation about pollutant load must be begun from the first again. Therefore, a Total Daily Load Program(TDLP) was developed to calculate pollutant load automatically in rural area. The TDLP include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relational database system(RDBS), User Interface. This Program can provide user with creating a boundary of the basin that user is concerned with to satisfy the water quality regulations and calculating daily load for various pollutants. The effort was conducted to apply the developed TDLP to calculating pollutant load in rural basin called Bok-ha river.

  • PDF

배수밀도와 수원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배수구조에 대한 해석 (Analysis of Drainage Structure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Drainage Density and Source-Basin)

  • 김주철;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373-382
    • /
    • 2007
  • 수로가 시작되는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은 구릉지 사면상의 물의 동적거동으로 인하여 매우 어렵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김주철과 김재한(2007)은 DEM을 이용한 경사와 면적 사이의 규모에 따른 거동특성에 따라 실제 유역내 수로망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의 연구 성과의 연장으로서, 배수밀도와 수원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DEM으로부터 동정된 가설수로망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그 결과 경사-면적한계기준에 의한 가설수로망이 자연유역의 배수구조를 매우 잘 묘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형학적 동질성을 가진 지역내 수원유역의 형상들 사이에는 훌륭한 기하학적 상사성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면적한계기준은 수원유역의 형상을 구속하여 왜곡된 배수구조를 야기할 수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EM으로부터 동정된 가설수로망들이 공간 채움 구조를 잘 표현하고 있는 점이 특히 주목된다.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몽골 Tuul-Basin 지역의 토지피복변화 및 지표온도 시계열적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and Surface Temperature in Tuul-Basin, Mongoli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 에르뎅솜베 술드;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47
    • /
    • 2016
  • 본 연구는 몽골 Tuul-basin 지역의 토지피복변화 상태와 토지황폐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 1990, 2001, 2011년의 녹색식물의 활력도가 가장 높은 여름의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몽골 Tuul-Basin 지역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토양조절 식생지수(SAVI,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지표면온도(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계산하여 토지피복변화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전체 지역의 산림 및 녹지는 감소되고, 건조지역, 휴경지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진적으로 토지가 황폐화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ST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상지역의 토지피복변화나 식생의 활력도가 지표면의 온도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유역에 대한 토사유출량 모의기법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Methods for an Urbanized Basin)

  • 손광익;노진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37-745
    • /
    • 2009
  • 국내 도시화 시험유역에 대한 기존 토사유출공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도시 시험유역의 실측자료와 모의기법 적용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용된 토사유출량 산정 모의공식으로는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 -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활용하였다. 시험유역은 유역면적 약 3.81 $km^2$로 면적대비 56 % 정도가 도로 및 포장 등으로 도시화가 진행된 도시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자동 강우 및 수위계측기를 이용하여 지난 3년간 연속적으로 수문자료를 축적하였다. 또한 계측지점에서의 유출량별 소류사 및 부유사 실측을 통하여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개발한 후 호우사상별 유역으로 부터의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실측된 강우 및 유량 자료를 활용하여 모의한 토사유출량과 실측한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RUSLE를 적용한 모의결과가 실측 토사유출량과 근접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상관계수가 낮아 적용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제 유출수문곡선을 MUSLE기법에 적용하여 모의한 토사유출량과 실측 토사유출량의 상관관계는 우수한 예측결과를 보였으나 보정계수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통한 강우관측망 평가 및 추정오차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using Area Average Rainfall Estimation and the Estimation Error)

  • 이지호;전환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3-112
    • /
    • 2014
  •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한강 및 금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유역별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3년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유역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반대로 공간분포가 왜곡된 유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추정오차가 큼을 확인하였다.

낙동강수계 권역별 비점오염원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ttributed to Nonpoint Sources in Nakdonggang Basin, Korea)

  • 이재운;권헌각;최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5호
    • /
    • pp.393-4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 수질평가 및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여, 낙동강수계 권역별 비점 오염원 오염도를 평가하고, 우선관리유역 선정 및 향후 관리방향을 설정하였다. 낙동강수계 수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중권역별 BOD농도를 기준으로 Ia등급에 해당하는 중권역이 10개, Ib등급이 6개, II등급이 5개, III등급이 1개 중권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 농도의 경우, Ib등급에 해당하는 중권역이 9개, II등급이 6개, III등급이 6개, IV등급이 1개 중권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권역 내 수질 오염도를 검토하여 오염도 순위를 적용하는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금호강 중권역, 낙동고령 중권역, 낙동밀양 중권역 및 남강 중권역이 선정되었다. 중권역별 토지계 원단위를 활용하여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가장 많은 비점오염부하량을 배출하는 중권역은 금호강 중권역 으로 17,706.7 kg/day로 나타났다. 낙동강수계 비점오염원에 대한 수질평가 및 부하량 산정 결과 금호강중권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고속도로 현장별 비점오염 저감시설 선정방안 연구 (A Study for selecting the Highway Sites'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 이용복;최상일;박계수;성일종;정선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857-866
    • /
    • 2011
  • This research categorized EIA target highways into following three types in order to minimize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highway runoff. 1. Big drainage basin. 2. Small drainage basin. 3. Bridge section. The Natural, Filter and Swirl-Type devi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removal efficiency of TSS, BOD, COD, T-N, T-P, compatibility of site selection, economic feasibilit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through which the final BMP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moval efficiency result, the area of Big and Small Drainage basin and bridge section had higher removal efficiency with natural facility than that of the Filter or Swirl-Type device. To make appropriate selection of highways'BMP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this study will aim to contribute to building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ways by proposing the selection process that is made of 5 stages. 1. Selecting the target drainage basin. 2. Selecting the land for the mitigation facility. 3. Analysing the ease of maintenance. 4. Technically evaluating each installation. 5. Evaluat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s.

부분적 레이더 정보에 따른 면적평균강우의 관측오차 (Sampling Error of Areal Average Rainfall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 유철상;김병수;김경준;윤정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97-100
    • /
    • 2008
  • This study estimated the error involved in the areal average rainfall derived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of a basin or sub-basin. This study considers the Han River Basin as an application example for the rainfall observation using the Ganghwa rain radar. Among the total of 24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 River Basin evaluated in this study, only five sub-basins are fully covered by the radar and three are totally uncovered. Remaining 16 sub-basins are partially covered by the radar leading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available. When only partial radar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sampling error decrease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radar coverage, which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usters. It is general that smaller sampling error can be expected when the number of clusters increases if the total area coverage remains the same. This study estimated the sampling error of the areal average rainfall of partially-covered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sampling error could be at least several % to maximum tens % depending on the relative coverag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