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load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47초

국산 구조용 집성재의 환경부하 정량화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Assessment of Carbon Emission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Load on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in Korea)

  • 장윤성;김세종;손휘림;이상준;심국보;여환명;김광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449-4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산 구조용 집성재를 대상으로, 제조과정의 탄소배출을 정량화하고 탄소배출 저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총 2개소의 구조용 집성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원료, 수송, 제조 공정, 제조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등을 현장 실사하였다.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 및 구축된 전과정목록과 같은 관련문헌을 토대로 단위부피당 탄소배출을 정량화하였다. 국산 구조용 집성재의 제재 및 건조, 집성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결과는 각각 31.0, 109.0, 94.2 kg $CO_2eq./m^3$으로 나타났다. 수입 구조용 집성재와 비교하였을 때 약 13%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건조 에너지원을 바이오매스로 전환시에는 기존 대비 37%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친환경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결과는 향후 목조주택의 환경성을 규명하기 위한 전과정평가 수행 시, 투입된 목재제품의 전과정목록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탈진(burn-out) 요인에 관한 연구 (The Burn-out Syndrome of the Doctors and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김남수;유승흠;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m out syndrome and its degree in terms of personal, organizational and clients characteristics, and then to find the ways to reduce or eliminate those factors. The 228 doctors and the nurses who worked at the emergency departments in 6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700 bed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April 15, 2002 for 15 days. A structured self-recording questionnaire was used; the t-test and ANOVA was used to analyse the median difference between the occup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m-out syndrome.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 First, of several variables,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burn-out was the emotional burn-out followed by lack in personal touch toward the patients, decrease in sense of personal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octors and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experience higher degree of burn-out than the social workers and the nurses who work at other departments in heath care environment as other studies reveal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total burn-out factors showed the lower self respect, younger age, heavier work load, higher dissatisfaction rate toward remuneration and not-so-smooth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the higher burn out rate. These variables explained 54% of the total variables. Third, the nurses experienced more burn-out syndrome than the doctors. The degree of self-respect, work pattern,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age and remuneration were the causes of the burn-out. The doctors recorded lack in personal touch toward the patients more, while the nurses more to emotional exhaustion.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the subjective answers of the respondents to certain questions and differences in sample numbers of each hospital in which some reservation can be exercised in explai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and generalizing the conclusion. Despite of its limitation, this research has its own merit as an unpreceded research in this field, and provision of the basic materials to prevent and find causes of the burn-out syndrome among the doctors and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s.

  • PDF

응집영역모델을 이용한 섬유금속적층판 접착층의 모드 I, II 파괴 거동 물성평가 (Evaluation of Fracture Behavior of Adhesive Layer in Fiber Metal Laminates using Cohesive Zone Models)

  • 이병언;박으뜸;고대철;강범수;송우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45-52
    • /
    • 2016
  • 섬유금속적층판과 같은 하이브리드 소재는 여러 방향의 하중에 의한 접착층의 파괴로 인해 층간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든 하중은 수직 방향의 응력과 면내 두 방향의 전단 응력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중은 접착층의 모드 I, II, III 파괴를 일으킨다. 따라서 하중에 의한 층간분리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접착층의 모드별 임계 에너지 해방률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접착층의 모드 I 임계 에너지 해방률을 측정하기 위해 double cantilever beam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드 II 임계 에너지 해방률을 측정하기 위해 end-notched flexure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도출한 임계 에너지 해방률을 ABAQUS의 응집영역모델에 적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층간분리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 기법 적용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otivation of achievement Scale)

  • 박성옥;기현주;신귀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7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의 경제발전은 물론 대인관계와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취동기 중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2곳에 재학중인 5,6학년 아동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하여 구성된 81개 문항의 척도를 문항 변별도 측면에서 양호한 수준 $x^2$의 유의도 p<.01과 .25이상 V계수의 68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68개 문항을 요인 분석하여 고유치 1이상, 요인부하량 .30이상인 49개 문항을 추출한 후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설명력의 증가분이 3%미만인 13개 문항을 척도 구성에서 제외시켜 총 36개 문항으로 아동의 성취동기 최종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문항 내적일치도 지수인 Cronbach의 $\alpha$계수로 산출하였는데, .85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우리나라 아동의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최대 수명을 갖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 실험 설계 (Experimental Design of AODV Routing Protocol with Maximum Life Time)

  • 김용길;문경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45
    • /
    • 2017
  • 애드 혹 센서 네트워크는 분산형 구조와 구축으로 특징지어지며 센서 네트워크는 낮은 이동성과 엄격한 에너지 요구 조건 등을 제외하고는 애드 혹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다. 기존 프로토콜은 내결함성, 분산 컴퓨팅, 견고성, 확장성 및 신뢰성과 같은 특성 간에 서로 다른 보완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제안된 무선 프로토콜은 매우 제한되어있어 일반적으로 단일 기지국 또는 센서 데이터 수집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한 제약을 가지는 주된 이유는 네트워크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최대 수명을 유지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수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설계 기준이며 모든 노드가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여 에너지 부족인한 일부 노드가 동작하지 않으면 다른 노드로 통신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통신을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적인 애드 혹 주문형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 한다 부하 분산은 경로 선택 단계에서 소진된 노드의 선택을 피하고 노드 간 에너지 사용의 균형을 유지하고 네트워크 수명을 극대화한다. 전송 제어 단계에서는 신호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는 높은 전송 전력의 선택과 홉 수를 줄이고 네트워크 연결 비용의 부담을 줄이는 낮은 전력 수준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미들서버방식 한국형 IBT를 이용한 국가언어능력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Language Ability Test System using Korean Style Internet-Based Test added Middle-Server)

  • 장영현;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85-192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미들서버에 대한 효율성과 안정성에 기반 한 한국형 IBT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의 동일한 처리시스템은 전송절차, 비용, 시스템 부하 및 안정성에서 일부 불안정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적으로 고비용 제어, 운영 인적자원 및 특수한 운영 문제들로부터 관리 측면에서 다양성과 탁월성의 결과를 산출하는 한국형 IBT 시스템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액티비티들을 처리한다. 미들서버를 사용하도록 제안된 시스템의 기술적 요소들은 최소단위의 모의시험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실제 개발 절차는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존의 IBT 시스템의 단점들을 개선하는 요구사항의 분석을 기반으로 시작하였다. 기존 시스템과 신규 개발 시스템의 효율성 비교는 다량의 운영자 영역, 비정상적 처리 조치, 시스템 유지보수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다양한 부분에 대한 처리의 효과성에 대하여 미들서버를 사용하는 한국형 IBT 시스템은 최대 2배 정도의 성능을 달성하였다. 미들서버를 사용하는 한국형 IBT 시스템은 관리시스템과 사용 편리성에서 운영자와 관리자의 탁월한 평가를 도출하였다.

고속철도교 기초 내진 및 수평저항성능 보강형 신개념 친환경말뚝 신공법의 실용화 기초연구 (Basic study of new concept environment-friendly pile foundations with earthquake resistant foundation and lateral reinforcement on rapid-transit railway bridge)

  • 사공명;백규호;임해식;조국환;나경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0-894
    • /
    • 2010
  • 고속철도교의 기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매입말뚝에서 천공으로 이완된 지반과 말뚝 사이의 충전재로서 기존 포틀랜드 시멘트계는 쏘일시멘트 강도가 낮고 시멘트 용출로 인한 지하수 오염, 희석 및 일수현상으로 인한 지표부 지반의 이완, 수평 저항성의 감소 및 내구성의 저하, 하중분담효과의 저하 등 안정성 확보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고속철도교의 경우 열차진동, 급정거시 충격수평력 작용, 지진 등 일반 구조물 기초와는 달리 다양한 측면에서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며, 기초 시공 분야도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친환경 기조의 시대적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더불어 경제성 및 공기 단축 등 시공성 확보까지 가능한 새로운 미래형 친환경 기초공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기존 공법의 내구성 및 내진성, 내수평성을 개선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충전재료의 개발과, 시공방법의 개선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과 환경적 저해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험 및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중불분리성과 고유동성, 고점성, 고침투성, 조강성 등을 동시에 가지는 신개념의 고성능 다기능의 충전재를 활용하여 기존의 시멘트계 충전재와의 적용성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매입말뚝 공법 및 마이크로 파일 기초에 적용하였을 경우 연직지지력, 수평저항력 등 많은 측면에서 뛰어난 적용성을 보이고 있어 향후 다양한 추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친환경 기초로의 개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실험 및 강도해석 (Experiment and Strength Analysis of High-Strength RC Columns)

  • 손혁수;김준범;이재훈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9-160
    • /
    • 1999
  • 본 논문은 고강도 콘크리트기둥에 대한 설계방법을 검증하는 연구의 일부로서, 보통강도 및 고강도 콘크리트기둥시편에 대하여 편심하중의 재하실험을 수행하여 파괴거동을 관찰하고 기둥강도를 측정하였다. 기둥시편은 모두 32개로 콘크리트 압축강도, 종방향 철근비, 세장비, 재하편심을 실험의 주요변수로 선정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356~951 kg/$cm^$ 이며, 종방향철근비는 1.13~5.51 %, 세장비는 19, 40, 61의 3 종류로 하였다. ACI의 직사각형 응력블럭, Ibrahim과 MacGregor의 수정된 직사각형 응력블럭, 사다리꼴 응력 블럭을 이용한 기둥강도해석과 축력-모멘트-곡률해석을 통한 기둥강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현시방서에서 적용하고 있는 직사각형 응력블럭은 철근비가 낮은 고강도 콘크리트기둥에 대하여 비안전측의 축력-모멘트강도를 제공한다. 축력-모멘트-곡률해석을 통한 기둥강도해석시에는 콘크리트 응력-변형률곡선의 최대응력을 결정하는 $k_3$ 값에 따라 정확성 및 안전성이 좌우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재하실험을 통한 기둥의 파괴거동, 압축연단 극한변형률, 응력블럭변수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타입 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up Effect of Driven Piles)

  • 조천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35-246
    • /
    • 2003
  • 국내의 경우 이 등(1994)의 연구를 시작으로 국지 현장별로 타입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에 대한 사례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충분한 시험자료를 바탕으로 한 지지력 증가효과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고, 또한 지지력 증가효과에 지반조건 및 말뚝의 형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 된 바 없다. 타입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를 실무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실구조물에 적용된 말뚝에 대한 시험자료의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뚝기초의 설계 및 향후 사질토에서의 지지력 증가효과 등의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구조물에 적용되는 다양한 시험말뚝의 시공과 동재하시험 자료 분석을 통해 지지력 증가효과에 대한 현상을 알아보았다. 말뚝의 동재하시험의 분석 결과, 말뚝지지력의 증가는 토질별로도 영향을 받지만 조성이력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사질토에도 상당한 지지력 증가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말뚝의 지지력의 증가는 주로 주면부에서 발생하였으며, 선단형상에 따른 지지력 증가효과는 점성토에서는 폐단말뚝이 크고, 사질토에서는 개단말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시 구조강도에 대한 신뢰성 평가방법의 정립 (Establishment of Fire Reliability Assessment Method for Structural Strength)

  • 박창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4-6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상 구조물들의 화재시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기본적인 구조강도 부재들의 화재시 거동 및 파괴확률을 구해 보았다. 화재에서의 안전성 평가는 부재의 Fire resistance와 화염에 의한 열하중인 Fire severity를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Fire severity는 육상 건축물에 대한 화재안전 규정인 Eurocode 1의 표준화염 온도변화 곡선과 부재로의 열전달 방정식을 사용하여 부재의 최대온도를 구하게 되며, Fire resistance는 단순 부재의 경우, 간략식과 코드의 활용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FPSO 와 해상 구조물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하여 탄소성해석 및 대변형등을 고려한 보다 실용적인 부재의 구조강도를 해석하여 주어진 파괴모드에 대한 한계 온도를 구하여 최대온도와 비교하였다. 더불어, Fire resistance 측면에서의 두 접근방식의 비교를 통해서 두 방식의 등가적 성향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Strength, Serviceability, Stability의 세 가지 측면에서 First Hinge, Large Deflection, Buckling의 세 가지 파괴모드를 상정하고 각각에 대한 파괴여부를 확인하였고, 이렇게 구해지는 Fire severity와 Fire resistance의 식에 AFOSM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부재의 파괴확률을 구하는 방식을 통해, 단순 부재인 Beam 및 Plate 예제에 적용하여 구조물의 화재시 거동 및 각 파괴모드에 대한 파괴여부를 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