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inscrip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된 보조적 시각 자료의 분류 및 분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Accompanying Inscriptions Us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정정인;한재영;김용진;백성혜;송영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25-534
    • /
    • 2007
  • Elementary students are tend to depend heavily on visual informations in the cognitive process. Th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provide science contents mostly by inscriptions, the visual materials, with little verbal information in the limited page area. Especially, since the textbooks include many accompanying inscriptions rather than a basic inscription,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many inscriptions in teaching and leaning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ccompanying inscriptions us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s results, we found six types of the accompanying inscriptions such as inner part, detail, result, process, emphasis, and explanation. Accompanying inscription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grade (3rd and 4th grades) than the higher grade (5th and 6th grades). We discussed the examples of each type in detail, and thus revealed some possibl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nscriptions caused by the inconsistency of the directions of the basic inscription and accompanying inscription, and by the absence of the sign linking the basic and accompanying inscriptions.

  • PDF

비파괴 분석을 통한 최치원 진영(崔致遠 眞影)의 도상 및 채색재료 연구 (Nondestructive Analysis of Portrait of Master Gowun at Wunamyeongdang Shrine for Investigation of the Original Images and Pigments)

  • 최현욱;곽홍인;신용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81-98
    • /
    • 2020
  • 본 연구는 비파괴 분석을 통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이하 최치원 진영)의 제작당시 도상(圖像)과 채색재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조사 결과이다. 비파괴 분석결과 경남 하동 쌍계사에서 1793년에 제작된 사실을 확인했고, 현존하는 최치원 진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X선 촬영결과 진영 중심으로 덧칠된 좌·우에 반신상과 전신상의 동자승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F 성분분석 결과 진영에 사용된 채색재료는 백색의 연백, 적색의 진사와 연단, 녹색의 석록, 청색의 석청, 금의 무기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덧칠된 동자승 역시 최치원 진영 제작에 쓰인 안료와 동일한 성분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덧칠되어 확인이 어려웠던 동자승의 채색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모사본 제작과 지역 불교회화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에 활용 될 것을 기대하며, 화기에 기록된 내용들도 관련 학문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청오경(靑烏經)의 문헌적 연구 (A philological Study on Qingwujing(靑烏經))

  • 장성규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45
    • /
    • 2009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ilological character of Qingwujing(靑烏經). Qingwujing is the oldest and representative documents of FengShui, especially famous for FengShui XingQi(形氣) theories. In spite of is fame, a systematic research for Qingwujing was not yet fulfilled up to now in Korea. In is the main reason why have to research the philological character of Qingwujing.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s following. Qingwujing(靑烏經) as knows of Qingwujing's writer is very famous already in Han 한(漢) dynasty for his accurate FengShui methods. His FengShui thories getting more powerfyl from WeiChen(魏晉) to Tang(唐) dynasty. In Tang(唐) dynasty Qingwujing was abolished by government rulers, but it recovered and retouched by some scholars from Tang(唐) and Song(宋) dynasty. In the process, the block book of Qingwujing were changed for four or five kinds. Qingwujing's block books of Ming(明) dynasty are Yimenguangdu(夷門廣牘), Xiaoshisanjing(小十三經), Jujiabibei(居家必備), and Shuofu(說郛). It's block books of Qing(淸) dynasty are Gujintushujicheng(古今圖書集成), Sikuquanshu(四庫全書), Xuejintaoyuan(學津討原), and Ershierziquanji(二十二子全集). It's block book of Choson(朝鮮) dynasty is KyujangKak(奎章閣). Among them distinctive characters been founded, but the basic contents and theories are almost same. In Korea, Qingwuzi's FengShui theories were confirmed in Silla(新羅) dynasty, and it recoreded in Soongboksa inscription written by Choi-CheeWon. Qingwu(靑烏) or Qingwuzi were known for a great FengShui master of a FengShui standing theories in Koryeo(高麗) and Choson dynasty among royal families and the aristocratic classes. And Qingwujing was a representative FengShui theory book in wh0.1ole period of Choson dynasty. Now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FengShui theories, we have to understand the main FengShui theories on Choson dynasty at first. For understanding Choson FengShui, the study on philological character of Qingwujing is the basic works. If those works fulfilled successfully, we can understand FengShui theories and FengShu itself more correctly.

  • PDF

수타사 삼신불괘불도(三身佛掛佛圖) 초본(草本) 연구 (A Study on the Sketch of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Suta-sa Temple)

  • 김창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12-131
    • /
    • 2009
  •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삼신불괘불도는 베 바탕이 아닌 종이 바탕인데다, 채색방법 또한 조선시대 불화의 가장 일반적인 진채화법(眞彩畵法)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밑그림본인 초본(草本) 형식에 담채기법(淡彩技法)을 사용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자체의 화기(畵記)라든가 "수타사사적(壽墮寺史蹟)" 또는 "수타사고기록(壽墮寺古記錄)"등 어느 곳에도 이 삼신불괘불도 조성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조성시기가 불명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채화법의 그림이 아니라서 다른 괘불도들과의 본격적인 양식 비교 역시 원활하지 못하여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개 정도에 그쳤었다. 그러나 최근 보존처리 시 그림 뒷면의 배접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크기가 세로 118cm 가로 87.5cm인 별도의 한지에 써서 붙인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었다. 내용은 부처님 법을 올바르게 따르기 위하여 지켜야 할 몇 가지 금지 행위를 알리는 일종의 '방(榜)'으로서 1690년 4월 15일에 썼음이 밝혀졌다. 이 묵서명은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조성년대를 추정케 해주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그림의 정확한 내용 분석 및 성격 파악 등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서도 필요한 중요한 단서이다.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현상과 형식 및 양식적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 묵서명을 바탕으로 괘불도의 조성시기를 추정해 본 결과 첫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화기 대신 뒷면에 첩부되었던 '방'으로 미루어 보아 1690년경을 즈음하여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시대 삼신불괘불도 중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도(1650년) 이후 가장 기본적인 도상을 보여 주는 최초의 입불형식(立佛形式) 삼신불괘불도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3불(佛)의 형태라든가 화면 구성력과 배경처리, 근엄한 듯 자애로운 얼굴표정 묘사, 조화롭고 적당한 신체 비례 등에 있어 유사한 형식의 18세기 삼신불괘불도는 물론, 19세기 삼신불괘불도에 이르기까지 진채화법 괘불도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비록 완성본이 아닌 밑그림(초본(草本)) 형태이기는 하지만 필선(筆線)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전형적인 담채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필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자료적 가치 및 불교회화사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비록 형식 및 표현기법 상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와 동일한 유형의 괘불도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충분한 비교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조선시대 18-9세기 입불형식 삼신불괘불도 연구에 밑받침을 이루고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17세기 조선의 복식 사치와 문직물의 수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seon's Luxurious Trends of Costumes and Import of Patterned Textiles in the 17th century)

  • 이수현;홍나영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93-106
    • /
    • 201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xurious trends of costumes and the importation of Ming's patterned textiles in the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similarity between certain Joseon and Ming fabric patterns. After Imjinwaeran[임진왜란] and Byungjahoran[병자호란], more diverse Joseon textile patterns appeared. Generally, wars lead to a shortage of luxury goods and basic commodities. However, $17^{th}$ century Joseon had an abundance of luxury goods, which allowed even some commoners to have clothing made of Chinese silk. That was the result of free trade between the Koreans and the Chinese merchants in Joseon. Ming's merchants followed the Ming's troops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argeted Koreans to sell their goods, such as fur coats and fur hats. Free trade between Ming and Joseon took place at Junggang [중강] and Donggangjin [동강진]. Joseon imported Chinese textiles there and resold them to Japanese merchants. Some of the Changgi Chung's excavated fabrics might be an evidence of the import from the Ming. These fabrics had the inscription and were similar to Ming fabrics. It can be assumed that trade occurred between Joseon, China, and Japan, as fabrics found in the countries had similar patterns such as flower, bee, and four seasons, which represented longevity. Furthermore, Chinese fabrics might have triggered Joseon's weaving skills to develop, which led to the ability to weave refined and beautiful brocade satin at Sangbang [상방]. According to Uigwe[의궤], Sangbang could weave silk fabrics in the 1620s and 1630s. The improvement of weaving techniques might make it possible to weave some popular patterns at Sangbang.

남북한 치주과학 용어의 비교 (Comparison of Periodontology Termi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권태연;김범수;김재영;심상수;허진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711-719
    • /
    • 2002
  • Background : Terminology is a good index of reflections in conceptional imaginations, trends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field of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erms in periodontology to evaluate the communicab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se result may be particularly helpful for making glossary, academic communication and social unity at the time of reunion.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earching northern periodontology terminologies used in literatures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comparing those terms with the southern terms. The standard northen terms we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so the terms used frequently were chosen as the standard northern terms. Results : The South and North both use terms that stem from Chinese characters, but this tendency is stronger in the South.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are due to the North Korea's effort in converting terms into the native language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i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 spelling and spacing, and so on. Conclusion : The terminology using i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periodontology is somewhat different but both side can be capable of communication. Now the basic efforts in both parts must be taken, such as establishing new terms, in order to relieve these differences.

$\ll$침구대성(鍼灸大成)$\gg$의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ll$Chimgudaesung(鍼灸大成)$\gg$)

  • 김기욱;박현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125-133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ll$Chimgudaesung$\gg$ on documentary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or falsehood of authors, editions, the relationship of $\ll$Hyeongibiyo(玄機秘要)$\gg$. Materials and Methods : Based on Hwangyongsang(黃龍祥)'s study, the author of $\ll$Chimgudaesung$\gg$, the number of volumes and edition, basic contents and constitution, characteristic of reference, and the documentary research results will be arrang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ll$Chimgudaesung$\gg$ was made by Geunhyeon based on Yanggyeju(楊繼洲)'s $\ll$Hyeongibiyo$\gg$, and in the 29th year of the Manryeok(萬曆) era Jomunbyeong(趙文炳) saw to the inscription. Therefore, the author must be recorded as 'Originally by Yanggyeju of the Myeong(明) dynasty, revised by Geunhyeon'. 2. The existing Myeong dynasty editions are mostly Leewolgyu(李月桂)'s 'Jungsu edition(重修本)' from the 14th year of the Sunchi(順治) era of the Qing(淸) dynasty and Wangbo(王輔)'s 'Chesu edition (遞修本)' Leewolgyu and Wangbo's preface was deleted and the original text was supplemented from the 37th year of the Ganghui(康熙) era. There are many traces of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copying by people of later generations in these editions. 3. The 'Chukin edition(縮印本)' of $\ll$Chimgudaesung$\gg$ is mostly a merge of the Myeong dynasty editions and used much of the new revised 'Chesu edition'. This editions should not ever be used again as an original in putting the $\ll$Chimgudaesung$\gg$ in order. 4. After $\ll$Chimgudaesung$\gg$ was published Jomunbyeong had a craftsman publish 4 drawings of $\ll$Donginmyeongdangdo(銅人明堂圖)$\gg$, of which the originally published ones were w drawings of the front and rear, and when Jomunbyeong republished he added 2 Cheukindo(側人圖) of the frontal side(正側) and rear side(背側). 5. When Geunhyeon edited $\ll$Chimgudaesung$\gg$ only 14 medical books were used and quotes copied from other texts were always reedited. Most of the origins of the collected text are shown under the index, but many do not match with the original text. Also many documents were copied from medical books from later times and not the primal text. 6. The annotated sections of $\ll$Chimgudaesung$\gg$ such as 'Yangsi(楊氏)', 'Yangsijip(楊氏集)', 'Yangsijuhae(楊氏注解)', 'Hyeongibiyo' are all from Yanggyeju's $\ll$Hyeongibiyo$\gg$. Of these the origins for the sections marked 'Yangsijip' can be found, but some of the origins for sections annotated 'Yangsi' cannot be found.

  • PDF

6·25전쟁 전사자 유품의 과학적 보존: 지상작전사령부 소장 지역유품 중심으로 (Scientific Preservation of the Relics left by the Fallen Heroes of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Local Relics Kept by the Ground Operations Command)

  • 박민선;오승준;이호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3
    • /
    • 2022
  • 국방부 유해발굴단을 통해 발굴된 지역 유품 중 지상작전 사령부 전시관에 소장된 7건(정화제병, 독수리문양 단추, 계급장, 반합, M1 Grand-총기손질도구, 카빈완탄, 탄통)의 6·25 전사자 유품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FT-IR 분석 결과 정화제병 내부 잔존물이 Trisodium phosphate와 유사 스펙트럼으로 확인되어 전쟁 시 식수 및 식품 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3차원 디지털 촬영기법을 통해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운 탄통의 각인된 명문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미경 및 육안 관찰 등을 기초로 한 상태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을 수립하고 안정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전쟁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보호 및 관리체계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Southwestern Coast Tidal Flat for Inscrip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 문경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80-9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남해안 갯벌의 보호 및 관리 체계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세계유산 신청을 위한 효율적인 보호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서남해안 갯벌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서 강조하고 있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서남해안의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된다면 자연자원의 현명한 사용(wise use)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 의해 전 세계 모든 인류가 지향해야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하는 대표적인 모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서남해안 갯벌 대상지역의 보호 및 관리체계를 조사하고, 해외 유사 유산의 관리 사례 조사를 통해 서남해안 갯벌의 관리방향과 체계를 위한 현재의 관리정책을 수정하고 보완사항을 도출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은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서남해안 갯벌에 해당되는 전체 잠정목록 대상지에 대한 조사 결과, 세계유산의 보호를 위한 합리적인 관리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호지역의 추가 지정 및 확대가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현재의 관리체계는 등재 추진부서(예 : 문화관광과)와 실제 갯벌 관리부서(예 : 해양수산과)로 이원화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관리부서의 이원화는 세계유산을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단위사업을 수행하고, 또한 향후 세계유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상당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남해안 갯벌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보호지역의 확대와 지자체별 이원화된 관리체계의 통합, 그리고 중장기적 통합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서남해안 갯벌의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한 관 학 민 NGOs 등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통합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와덴해의 사례와 같이 민관산학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유산의 보호 및 관리의 핵심주체인 지역주민의 토착지식과 의견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모아, 이를 지역 또는 국가의 정책으로 입안하여 채택하는 상향식 구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중장기적 관점의 통합계획에 있어서는 서남해안 갯벌의 자연 문화유산 보전 및 관리 통합계획 '서남해안 갯벌의 자연과 문화유산 보전 및 관리 통합계획(Integrated Plan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s in Southwestern Coast Tidal Flat)'의 수립을 제안한다.

완주 갈동유적 출토 청동기 용범의 재질특성 및 산지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Artifacts from Galdong Prehistoric Site, Korea)

  • 이찬희;김지영;한수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87-419
    • /
    • 2005
  • 전북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의 갈등유적에서 출토된 세형동검 용범 1조를 대상으로 재질특성 분석과 원료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이 용범은 주로 조립질 각섬석으로 구성된 등립의 완정질 조직을 갖는 화성기원의 각섬석암으로서 녹회색 내지 암녹색에 부드러운 지방광택을 띤다. 이 용범의 전암대자율 값은 19.2~71.0(평균; $39.2{\times}10^{-3}$ SI unit)의 범위를 보인다. 높은 대자율 값은 강자성 광물인 자철석의 높은 함량을 반영하며, 측정값의 넓은 분포는 자철석 함량의 불균질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일반적인 염기성 화성암류의 특징과 유사하다. 이 용범 구성암석의 조암광물은 각섬석, 사장석, 흑운모가 주성분을 이루며 휘석, 녹니석 및 불투명 광물이 소량 존재한다. 용범 표면의 흑색 피각 물질에서는 다량의 탄소가 검출되었다. 이 용범과 동일한 재료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유적 주변의 광역적인 암석분포를 조 사한 결과, 유적지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50km 떨어진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식천리 및 번암면 교동리, 남원시 아영면 일대리에서 용범과 동일한 각섬석암 또는 반려암질암의 산출지를 확인하였다. 이 암석들의 전암대자율 값도 용범의 범위와 비슷한 16.1~72.4 (평균; $39.9{\times}10^{-3}$ SI unit)를 나타내었다. 이는 두 암석 간에 재질적 유사성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장수 교동의 각섬석암이 용범의 암석학적 특성과 가장 유사하다. 용범을 구성하는 암석과 장수지역 각섬석암의 주성분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을 표준화하여 비교한 결과, 이들의 지구화학적 진화경향과 거동특성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두 암석이 성인적으로 동일 종류의 마그마에서 생성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 암석은 재질이 부드러워 표면에 활자나 미세한 문양을 조각하고 매끈한 표면을 만들기에 용이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전도율 또한 우수하다. 장수군 식천리 일대의 각섬석암은 현재까지도 채석되어 석제 식기제품으로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완주 갈등 유적에서 출토된 세형동검 용범의 원료는 전북 장수 지역의 대성리, 식천리 및 교동리 부근에서 공급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남원시 아영면 일대리와 같이 소규모로 노출된 동일 종류의 암석에서 공급되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원료의 도입과정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