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nyard mille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264.7에 있어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의 저해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Flavonoids Kaempferol and Biochanin A-enriched Extract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Grain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이지영;전도연;윤영호;고지연;우관식;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57-1167
    • /
    • 2014
  • 잡곡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우수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산 잡곡들(기장, 황금찰수수, 노랑차조, 율무 및 식용피)을 대상으로 항염증 활성을 비교조사하고자, 이들 잡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을 지질다당류(LPS)로 자극할 때 생성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NO)의 생성에 미치는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관련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80%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과 물 분획들로 단계별 분획하고,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 MC 분획($100{\mu}g/ml$)을 전처리하였을 때,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 그리고 친염증성 사이토카인들(IL-$1{\beta}$, IL-6, 및 TNF-${\alph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p38MAPK, JNK 및 ERK의 활성화의 경우도 MC 분획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분석을 통해, 식용피 유래 MC 분획의 항염증 활성은 식용피의 MC 분획 속의 주요성분인 kaempferol과 biochanin A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식용피 및 식용피의 MC 분획이 염증성 질환과 이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예후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Nut류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 이혜원;최무영;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4
    • /
    • 1998
  • It has been known that diseases related with aging or cancer result, at least in part, from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may reduce or prevent the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ree radical formation via its scavenging action.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ut speci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kinds of nuts such as chestnut, groundnut, walnut and acorn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The extracts from chestnut hull and acorn barnyard mille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among 10 samples tested. Because of their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0 sample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from chestnut hull and acorn barnyard millet, were further examined by DPPH method. EtOAc and BuOH extracts exhibited antioxidative activities similar to those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xidants, BHA. These findings demonstrates that major fraction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hull or acorn barnyard millet was th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was relatively weak.

  • PDF

잡곡 유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유기용매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lected Miscellaneous Cereal Grains)

  • 박동화;이승태;전도연;이지영;우미희;김기영;서명철;고지연;우관식;정태욱;곽도연;남민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8
    • /
    • 2014
  • 잡곡류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산 11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얻어 DPPH- 및 ABTS-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황금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cv. Hwanggeumchalsusu), 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cv. Chalsusu) 및 식용피(Echinochloa esculenta)의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잡곡류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및 n-butanol로 분획하였을 때, 대부분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이 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황금찰수수의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 유래의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은 지질 과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ferric thiocyanate (FTC)와 thiobarbituric acid (TBA) 방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 유래의 ethyl acetate 분획의 경우, tertiary-butyl hydroperoxide (TBHP) 처리에 의해 HL-60 세포에서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 즉, sub-G1 세포 등장, ${\Delta}{\Psi}m$ 소실,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화, 그리고 PARP와 lamin B의 분해 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가 효율적인 항산화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산화적 손상에 의해 매개되는 에폽토시스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황금찰수수, 찰수수 및 식용피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식이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용피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 이윤상;윤향식;이상영;이정관;박철수;서우덕;김소영;우선희;송인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44-649
    • /
    • 2012
  • The edible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which have essentially vanished in the farmhouses environment and in agricultural germplasm were evaluated with the aim of restoration as a crop.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mineral elements of milled millet were nutritionally similar or better than brown rice, and the vitamin contents of $B_1$ and $B_2$ exceeded those of rice by 1.3 times and 2.3 times, respectively. ${\beta}$-Carotene which is absent from brown rice was detected at levels ranging from 15~31 ${\mu}g$ in millet samples. Nine essential amino acids, including histidine and arginine and eight non-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were detected. The sum of all amino acids was determined to be IEC518>525>510 in the range of 69~106 mg/g.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via their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vealed values ranging from 3.4~8.2%, with the total polyphenol component being 51.1~69.4 mg/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bility determined as 8.3~10.9%. In terms of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barnyard millet, three millet varieties(IEC510, 518, and 525) were suitable as edible crops. IEC525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nutritional ingredient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yield.

재배 피 품종의 내염성과 청예 및 종실 수량성 (Salt Tolerance and Green Fodder and Grain yields of Barnyard Millet(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9-253
    • /
    • 1991
  • ICRISAT에서 도입된 피 45품종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피 3품종들의 내염성정도, 종실 및 청예수량성 등을 일반 밭 토양과 간척지 토양에 파종하여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주결과를 얻었다. 1. 공시된 48품종을 5월 10일 파종하였을 때에 출수기의 범위는 7월 17일~9월 22일로 60여일, 성숙기는 8월 7일~9월 28일로 54일이나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ICRISAT 도입품종들은 대부분조ㆍ중숙성이 많았다. 생초수량의 범위는 1.0~9.7t/10a으로 8.7t/10a이나 되었고 종실수량의 범위도 최고 369kg/10a 최저 7kg/10a으로 362kg/10a이었다 2. IEC514, IECS15, IEC518, IECS28 등이 수원과 남양 간척지에서 각각 청예수량 8t/10a, 6t/10a 이상으로 유망하였고 종실용으로는 IEC51S, IECS23, IEC512, IEC514 등 이200~300kg/10a을 생산하였다. 양축농가에서도 2회예취시 평균 청예수량은 9t/10a이었다. 3. 실험실내 시험에서 염분농도가 0.0~l.0%까지 높아짐에 따라 발아율, 초장, 근장이 크게 감소되지 않은 품종은 IECS14, IEC515, IEC516, IEC518 품종등으로 내염성이 강하였고 청예수량도 많았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ergy values of oat hay, tall fescue, annual ryegrass, and barnyard millet using in vivo digestibility results and predicted values

  • Seul, Lee;Seoyoung, Jeon;Seongwon, Seo;Jungeun, Kim;Pilnam, Seong;Youl Chang, Baek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831-842
    • /
    • 2021
  • Accurate measurements of feed energy valu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rol of feed intake for animals, the formation of prices, and on economic profits. However,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measure the energy values of domestic roughages and to validate an energy value predic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base through measurements of the nutrient digestibility and digestible energy results of roughages used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domestic applicability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estimation model. Oat hay, annual ryegrass, tall fescue, barnyard millet, and concentrates for beef cattle were used in the test. As a result of an in vivo digestibility trial,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oat hay, annual ryegrass, tall fescue, and barnyard millet were found to be 68.73, 55.02, 55.71, and 52.89%,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stimated values using the NRC equation with the in vivo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of 3.55 to 6.84%P in the TDN. Inferred from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DN calculations using the NRC equation can be reasonable for the test feeds us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when revising the Korean Standard Tables of Feed Composition,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Korean feed.

답리작 적응 조사료용 피의 생육특성 및 제초제 반응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Herbicidal Response of Barnyard Millet Strains Under Paddy Rice)

  • 박태선;박홍규;홍승우;김정곤;정남진;조현숙;성기영;양운호;서명철;강항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2
    • /
    • 2012
  • 본 시험은 몇몇 사료용 피들의 생육특성과 논에서 잡초화 방지를 위하여 국내 논에서 사용량이 많은 제초제들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겨울철 유리 온실 내의 대형 콘크리트 폿트에서 사료 가능성이 높은 피 8계통들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IT170609, IT196421 그리고 EV2012 계통들이 건물중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출수기에 따른 품종적 특성은 IT170609 계통은 중만생종, IT196421 및 EV2012 계통들은 만생종으로 나타났다. 선발된 사료용 피 3계통에 대한 발아율은 재래종인 강피 보다 높았고, 20 및 $25^{\circ}C$에서 뚜렷하였다. 논에서 사료용 피들의 잡초화 방지를 위한 제초제 시험에서 토양처리제인 imazosulfuron+benzobicyclone+penoxsulam 액상수화제는 사료용 피 3계통에 대하여 90%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경엽처리 제초제들인 cyhalofop-butyl 유제, penoxsulam 액상수화제, metamifop 유제는 사료용 피 6~7엽기까지 매우 높은 효과를 보였다.

Fusarium oxysporum이 생산하는 dehydrofusaric acid의 몇 가지 식물 생육에 대한 활성 (Phytotoxicity of dehydrofusaric acid isolated from Fusarium oxysporum against several plants)

  • 홍경식;최경자;김흥태;황인택;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2-208
    • /
    • 2002
  •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oxysporum균주로부터 여러 번의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좀개구리밥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이 물질은 dehydrofusaric acid로 동정되었다. Dehydrofusaric acid는 좀개구리밥의 생장에 대한 $EC_{50}$ 값이 $1.5{\mu}g/ml$로 매우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물질은 식용피, cress, 강피 및 동진벼의 뿌리의 생장도 억제하였으나, 식용피와 cress의 발아 및 네 가지 식물의 지상부의 생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곡류 및 잡곡류를 이용한 팽화과자의 생리 활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ffed Snack using Miscellaneous Cereals and Grain Crops)

  • 윤향식;유리;노재관;김이기;김상희;최송이;한남수;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62-970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puffed snack on diabetic and geriatric diseases using miscellaneous cereals and grain crops. The puffed snack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miscellaneous cereals and grain crops (in ratios of 10%, 20%, and 30% of brown rice). Changes in the water soluble index, water absorption index, color,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cidity,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lso determined. As the cereal and crop contents increased, the value of the water soluble index increased while the water absorption index decreased, with the exception of glutinous foxtail and barnyard millets. With respect to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in concert with increases in the cereal and crop contents, whereas redness increased. Furthermor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s well as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increased remarkab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rghu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millet, barley and barnyard millets. In sensory evaluation, the puffed snacks containing sorghum, millet, and glutinous foxtail millet received higher values than other samples. Al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puffed snacks containing 10~20% sorghum could be suitable as ingredients for improving sensor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diabetic and geriatr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