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왕벚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물질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왕벚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496.80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6-265.52 mg RE/g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ethyl acetate, n-buthanol, ethanol, dichloromethane, water, n-hexane 순으로 높았다. DPPH, ABTS+,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가장 좋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n-hexane과 water 분획물은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낮고 항산화활성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왕벚나무 껍질 ethyl acetate 분획물은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고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evaluated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crude hot-water extra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herb, Phellodendri Cortex (PC; Bark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 in an experimental model of hepatic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CCl_4$). The serum marker of liver damage, sGOT, sGPT and sAL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iver of the PC treated rats, compared with that of $CCl_4$ treated group.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liver section of rats, showed the same protective effect of PC treatment. And the protective activity of PC was more significant in the post-treated group than pre-treated group. The significant decrease of malodialdehyde and increase of glutathion, catalase activity were observed in the liver homogenate of PC treated ra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C has potent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the mechanism of the protection may be related to antioxidation pathway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물오리나무의 추출성분으로부터 유용한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물오리나무 수피를 70% acetone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분획한 후 ethyl acetate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된 column으로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혼합물을 정제하고 두 개의 diarylheptanoid 화합물을 얻었다. 단리된 화합물은 $^1H$, $^{13}C$-NMR 및 2D-NMR 분석을 통하여 1,7-bis-(3,4-dihydroxyphenyl)-heptane-3-one-5-O-${\beta}$-D-xylopyranoside (1, oregonin)와 1,7-bis-(3,4-dihydroxyphenyl)-heptane-5-O-${\beta}$-D-xylopyranoside (2)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두 개의 diarylheptanoid 화합물과 oregonin 가수분해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DPPH)을 측정한 결과 세 화합물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oregonin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IC_{50}$이 2.6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unique, local "food tourism" products by finding specialized items that combine tourist attractions, such as folklore or hot springs. Traditional ingredients were analyzed with ancient texts for the methods of research. A brand image was made possible utilizing hot spring lore and other regional stories. The tofu products were produced using local specialty beans. Products, such as tofu residue cake and willow bean tea, were made with the tofu residue. After the products were completed, the sensory test began at the local tourist attraction. Asan City's food tourism product willow tofu was made with beans that were given as compensation for building the Onyang temporary palace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willow tree that appears in Sunshin Lee's anecdotes. After the preference test between normal tofu and willow-extract tofu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oduct potential of willow tofu, among the sample extracts, 0.04% of the willow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preference. The hot spring tofu-residue cake was baked using tofu residue and vegetable olive oil to substitute for animal oil, such as butter, or margarine. After the sensory test targeting the adults was conducted, both products displayed significant product potential with average scores above 5.0. Willow tree bark, which has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ithout a bitter taste or strong smell, was proven to bean appropriate ingredient for leached tea. The nutty flavor of leached tea was enhanced by roasted green kernel black beans and willow tree bark.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leached tea and tofu received a high preference rating on both color and flavor.
Denis Okello;Jeremiah Gathirwa;Alice Wanyoko;Richard Komakech;Yuseong Chung;Roggers Gang;Francis Omujal;Youngmin Kang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제50권
/
pp.97-107
/
2023
Malaria remains to be one of the most severe global public health concerns. Traditionally, Aspilia Africana and Warburgia ugandensis have been used to treat malaria in several African countries for millennia. In the current study, A. africana calli (AaC), A. africana in vitro roots (AaIR), A. africana wild leaf (AaWL), and W. ugandensis stem bark (WuSB) were dried and pulverized.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was used to analyze the powdered samples, while 80% ethanolic extracts of each sample were assayed for antiplasmodial activity (against Plasmodium falciparum strains DD2 (chloroquine-resistant) and 3D7 (chloroquine-sensitive)) and cytotoxicity. WuSB showed the highest antiplasmodial activity (IC50 = 1.57 ± 0.210 ㎍/ml and 8.92 ± 0.365 ㎍/ml against P. falciparum 3D7 and DD2, respectively) and selectivity indices (43.90 ± 7.914 and 7.543 ± 0.051 for P. falciparum 3D7 and DD2,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ic content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367.9 ± 3.55 mg GAE/g and 203.9 ± 1.43 mg RUE/g, respectively) were recorded for WuSB and the lowest were recorded for AaC. The antiplasmodial activities of the tested plant tissu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polyphenolic content. The high selectivity indices of WuSB justify its traditional applications in treating malaria and present it as a good candidate for discovering new antimalarial compounds. We recommend elicitation treatment for AaIR, which showed moderate antiplasmodial activity against P. falciparum DD2, to increase its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for optimal antimalarial activity.
옻피의 일반성분은 수분 1.64%, 지방 8.09%, 단백질 7.28%, 회분 6.48%, 당류 5.39%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장수버섯을 증식시킨 옻나무 껍질은 각각 7.64%, 3.86%, 3.59%, 6.30%, 불검출 이었다. 배양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7.41mg%으로 대조구(71.91 mg%)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 phosphoserine(55.06 mg%), ammonia(17.84 mg%), aspartic acid (6.05 mg%)가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배양물의 총 phenolic acid함량은 422.89 ppm/283.86 ppm(알코올/물 추출물)이었으며 syringic acid와 gall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고 vanillic, protocatechuic acid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활성(DPPH, $IC_{50}$)은 $28.54\;{\mu}g/54.70\;{\mu}g$ (알코올/물 추출물)으로 gallic acid가($IC_{50}\;1.84\;{\mu}g$) 주요 영향 요소이었다. 배양물의 NIH3T3세포에 세포독성($IC_{50}$)은 알코올 추출물 $50\;{\mu}g/200\;{\mu}L$, 물 추출물 $90\;{\mu}g/200\;{\mu}L$이었으며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stress에 대하여 $20-25\;{\mu}g/200\;{\mu}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배양물의 물 추출은 전구지방세포(3T3-L1)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10\;{\mu}g/200\;{\mu}L$의 농도에서 가장높았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potential of tyramine derivatives from Lycii Cortex Radicis (LCR), the root bark of lycium (Lycium chenese Miller) in reducing lipid peroxidation. The activities of enzymes, hepatic 3-hydroxy 3-methylglutaryl (HMG) CoA reductase and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and LDL oxidation were measured in vitro and animal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by feeding LCR extracts to rats. The test compounds employed for in vitro study were trans-N-p-coumaroyltyramine (CT) and trans-N-feruloyltyramine (FT), LCR components, N-(p-coumaroyl)serotonin (CS) and N-feruloylserotonin (FS) from safflower seeds, ferulic acid (FA) and 10-gingerol. It was observed that FT and FS at the concentration of 1.2 mg/mL inhibited liver microsomal HMG CoA reductase activity by ~40%, but no inhibition of activity was seen in the cases of CT, CS, FA and 10-gingerol. Whereas, ACAT activity was inhibited ~50% by FT and CT, 34-43% by FS and CS and ~80% by 10-gingerol at the concentration of 1 mg/mL. A significant delay in LDL oxidation was induced by CT, FT, and 10-gingerol. For the animal experiment, five groups of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high fat diets containing no test material (HF-control), 1 and 2% of LCR ethanol extract (LCR1 and LCR2), and 1% of extracts from safflower seed (Sat) and ginger (G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f, LCR2 and Gin groups, and HD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only in Gin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among the five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 of liver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LCR1 and LCR2 groups than HF-control Serum levels of TBARS were significantly lower only in LCR2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From the observed results, we concluded that LCR can be utilized as a hypocholesterolemic ingredient in combination with ginger, especially for functional foods.
옻의 장류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발효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발효옻 알코올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열수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를 포함한 젖산균, 효모, 대장균에 항균활성이 없었다. 발효 옻 열수 추출물은 L. plantarum, L. mesenteroides, S. cerevisiae의 균체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acillus속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B. licheniformis, B. sutilis의 균체를 1.3-4.5배 증가시켰다. 그러나 Z. rouxii는 균체량을 감소시켰으며 유해 미생물인 B. cereus와 E. coli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옻 열수 추출물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가 생산하는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켰으며, amylase는 B. licheniformis 11052P 균주에서 protease는 B. subtilis 10854에서 그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방 및 cellulose 분해활성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의 모든 균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백피를 기능성 음료로 사용하고자 유백피를 다양한 온도(4, RT, $80^{\circ}C$)및 시간(1, 5분)으로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된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otal phenolic 및 tannin 함량을 분석하고, 유백피 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pH는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의 경우 $80^{\circ}C$ 5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유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H_2O_2$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유백피 추출물에 함유된 total phenolic의 함량은 유백피 $80^{\circ}C$ 수용성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tannin content는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온도에서 5분간 추출한 유백피 음료를 관능평가한 결과 $80^{\circ}C$ 열수 추출물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유백피 추출물은 phenolic 및 tannin compound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성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껍질 추출물인 피타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휘하는 항산화 및 항균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또한 인간의 삶에서 폭넓게 이용되었다. 브로일러 사료 내 피타민 프리믹스가 닭가슴살의 품질특성, TBARS 평가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35일간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처리구 4개는 대조구, 항생제 0.1% 첨가구, 피타민 프리믹스 0.1%, 피타민 프리믹스 0.2%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닭 가슴살의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은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사료를 섭취한 닭고기의 pH는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 보다도 낮았으나,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닭 껍질을 포함한 다리살의 TBARS 값은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항생제 첨가구를 제외한 삶은 닭고기의 관능평가 성적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 결과는 브로일러 사료 내 피타민 프리믹스가 닭고기의 품질, 맛, 향 그리고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