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salt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2초

살균조건에 따른 굴 보일드통조림 및 죽염 굴 보일드통조림의 식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nned Boiled Oyster and Canned Boiled Oyster in Bamboo Salt in Various Sterilization Conditions)

  • 공청식;제해수;정재헌;권순재;이재동;윤문주;최종덕;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231-1244
    • /
    • 2014
  • Oysters, especially are excellent source of several mineral including iron, zinc and selenium, which are often low in the mordern diet. They are also an excellent source of glycogen, vitamin B12 and considered the healthiest when eaten raw on the half shell in good tasted season from November to March.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processing of two kinds of canned boiled oyster (canned boiled oyster, canned boiled oyster in bamboo salt). Shucked oyster meat was cooked in steam (15min) after washing with water, filled 90g into can (301-3), added with salt solution and then precooked for 10 min. at $100^{\circ}C$. Canned boiled oyster was added 1.5% salt solution 60mL. Canned boiled oyster in bamboo salt was added 0.5% salt solution 30mL and 0.7% bamboo salt solution 30mL. The cans were seamed using a vacuum seamer, and then sterilized for various Fo values (Fo 8~12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16^{\circ}C$, $118^{\circ}C$. Viable bacterial count, proximate composition, pH, salinity, yield, VBN, amino-N, TBA, mineral, color value, free amino acid, hardness and sensory evaluation of two kinds of canned boiled oyster produced at various sterilization condition (Fo 8~12 min.) were measured after divide to meat and juice. The results showed that canned boiled oyster in bamboo salt sterilized at Fo 8 min. was the most desirable because this condition is the most economical and tasty.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3-747
    • /
    • 2003
  • 소금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육저해 효과를 보면, 김치초기 생육균인 W. confusa가 3.0%의 저염소금, 제재염에서 5시간의 유도기 후 급격히 증식했으나 3.0%의 천일염, 죽염첨가시 유도기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나 이 소금들에 의해 생육이 약간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중기 생육균인 Lactobacillus delbruekii ss lactis나 Lactobacillus pentosus와 말기 생육균인 L. hamsteri는 3.0%의 사용된 소금 모두에서 12시간의 유도기 후 증식이 확인되었다. 소금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첨가했을 때 저염소금인 농도를 3.0%, 5.0%로 증가시킨 경우 W. confusa를 제외한 다른 균들의 유도기는 12시간으로 늘어났고 이 효과는 5.0%에서 더 컸다. 천일염, 죽염, 재제염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커질수록 생육저해 효과가 뚜렷했으며 김치 초기 생육균 W. confusa보다는 후기생육균인 L. hamsteri가 소금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커서 5.0% 천일염, 죽염, 재제염에서는 24시간까지 증식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Effect of various additives on reduction of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 정수현;박송이;정은선;김용석;문성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69-573
    • /
    • 2016
  •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 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죽염 된장의 발효 특성 및 기능성 증진 효과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creased Functionality of Doenjang Prepared with Bamboo Salt)

  • 정민우;정지강;김신정;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15-1923
    • /
    • 2013
  • 된장 발효 시에 정제염, 천일염 및 죽염을 사용하여 된장을 8주간 $3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발효의 특성 및 관능평가, 항산화, HT-29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와 apoptosis 및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소금의 종류에 관계없이 pH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rotease와 ${\alpha}$-amylase 활성은 발효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였다. 정제염으로 사용한 된장에서는 천일염과 죽염으로 제조한 된장보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과 효소 활성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정제염 된장이 맛, 기호도에서 그 선호도가 가장 낮았으며, 죽염 된장 중에서 9회 죽염 된장의 관능평가가 맛, 기호성 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효과와 hydroxy radical 소거효과는 1.0 mg/mL에서 정제염 된장에서는 40%, 49%, 천일염 된장에서는 42%, 57%, 1회 죽염 된장은 42%, 64%, 3회 죽염 된장은 45%, 65%, 9회 죽염 된장이 47%, 69%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HT-29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는 모든 된장 처리군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apoptosis 및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분석 결과에서도 모든 된장군에서 iNOS, COX-2, Bcl-2 유전자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고, Bax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하여서 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활성 및 염증 억제를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염으로 제조한 된장,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 죽염으로 제조한 된장의 순으로 apoptosis 유도 활성 및 염증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된장 제조 시에 정제염보다는 천일염이나 죽염을 이용하고, 특히 굽는 횟수가 증가한 죽염을 사용하여 된장을 발효시킨다면, 된장의 발효 우수성 및 기능성 증가를 갖는 된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송죽염과 키토산 함유 치분 및 크림형 세치제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및 치은염 완화효과에 관한 임상실험연구 (Gingival Effect of the Dentifrice with Pine & Bamboo and Chitosan)

  • 신승철;서현석;홍지숙;김은주;서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7-87
    • /
    • 2001
  • The authors have studied the 8 weeks clinical experiment on 34 dental patients of age 20s for control group and 32 for experimental 1 group(Paste Type Dentifrice with Bamboo Salt, Chitosan and Powder of Pine Needles and Leaves of Bamboo.) and 32 for experimental 2 group(Powder Type Dentifrice with Bamboo Salt, Chitosan and Powder of Pine Needles and Leaves of Bamboo),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laque removal, prevention of calculus and stain formation. and Gingival effect.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ing. 1. Plaque removal effect was the similar level on group 1 and on group 2 as control group. 2. For prevention of calculus formation, there was a little bit better on group 1 at 8 weeks, and for prevention of stain formation, it revealed more or less difference between on group 1, group 2 and control group at 8 weeks. 3. on PMA index, it revealed th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group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at 8 weeks(p<0.05), so it is estimated that there might be signified for gingival subside effect by use of dentifrice with Bamboo Salt, Chitosan and Powder of Pine Needles and Leaves Bamboo.

  • PDF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 성리;김신정;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30-536
    • /
    • 2014
  •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 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 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천연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Soy Sauce) Fermentation with Bamboo Sap, Xylem Sap and Gorosoe)

  • 조숙현;최용조;오주열;김낙구;노치웅;최철웅;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4-30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수액으로 채취하는 수종인 대나무, 참다래 나무, 고로쇠나무의 수액을 이용하여 메주에 천일염과 죽염을 섞어 재래식 제조방법으로 3개월 발효 숙성시킨 후 간장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천일염으로 제조한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았으며, 색도는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보다 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색도(명도)가 높았고, 식염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게 나타났다. 수액종류에 따른 간장의 유기산 조성은 mal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무기물은 대나무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이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칼슘함량이 4배정도 높았다. 수액간장의 총 아미노산함량은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참다래수액간장이 2배, 고로쇠수액간장이 1.4배로 높았고, alanine과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항산화능을 살펴보면 천일염으로 제조한 대나무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이 우수하였고,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Microbial Commun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yeolchi Jeotgal (Anchovy Jeotgal)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Salts

  • Shim, Jae Min;Lee, Kang Wook;Yao, Zhuang;Kim, Jeong A;Kim, Hyun-Jin;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44-1752
    • /
    • 2017
  • Myeolchi jeotgals (MJs) were prepared with purified salt (PS), solar salt aged for 1 year (SS), and bamboo salt (BS) melted 3 times at 10% and 20% (w/w) concentrations, and fermented for 28 weeks at $15^{\circ}C$. BS MJ showe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ies than the other samples because of the alkalinity of bamboo salt.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until 4-6 week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nd were not detected after 20 weeks from MJs with 10% salt. Yeast counts of PS MJs were higher than those of BS and SS MJs. Bacilli were detected in relatively higher numbers throughout the 28 weeks, like marine bacteria, but archae were detected in lower numbers during the first 10 weeks. When 16S rRNA genes were amplified from total DNA from PS MJ (10% salt) at 12 weeks, Tetragenococcus halophilus was the major species. However,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the dominant species for BS MJ at the same time point. In SS MJ, T. halophilus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S. epidermidis was the next dominant species. BS and SS MJs showed higher amino-type nitrogen, ammonia-type nitroge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than PS MJs. SS and BS were better than P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MJs.

Surprisingly, traditional purple bamboo salt, unlike other salts does not induce hypertension in rats

  • Kim, Young-Sick;Lee, Eun-Hee;Kim, Hyung-Min
    • 셀메드
    • /
    • 제3권2호
    • /
    • pp.16.1-16.5
    • /
    • 2013
  • Hypertension induces many of the social costs related by cardiovascular diseases. Sodium is known as a crucial factor in inducing type I hypertensio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mboo salt (BS) has been used in the attenuation of salts toxic coldness and nowadays it has shown various therapeutic effects. It contains mostly sodium chloride (about 91.7% of BS); however, the effect of BS on hypertension is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S on blood pressure for the first time. Two group of BS, sun-dried salt (SDS), NaCl, or distilled water (DW, vehicle control) was administrated orally for 8 weeks. Although BS had no effect on body weight and food intake, it increased water intake (p < 0.05). The BS groups, in terms of blood pressure, was similar to the DW group; whereas the SDS and NaC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lood pressure levels (p < 0.05). BS also decreased sodium-chloride cotransporter (NCC) mRNA expression, unlike SDS or NaCl.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BS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salt-related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