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chu kimchi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1초

소금의 종류와 침지 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젖산균의 생육과 품질 특성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Various Salts and Concentration)

  • 김다미;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6-29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four types of salt (Solar salt, Flower salt, Hanju salt, and Roasted salt)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10, 15%) during storag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acid producti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properties, salinity,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Baechu kimchi was fermented for 18 days at $10^{\circ}C$. The pH and total acidity did not chang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ype and concentration of salt.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affected by type of salt, whereas it was inhibited at 15% salt concentration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In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of sensory properties,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erm of overall acceptability (p<0.05).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salt. For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of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20% salt. For color characteristics, L value (brightness) and b values (yellowness) of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ereas a value (redness) did not change by type and concentration of sa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various types and concentrations of salt. However, Solar salt resulted in more favorable sensory properties and salinity of kimchi than any other types. Further,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alinity,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 and Recipes)

  • 김희영;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0-526
    • /
    • 2013
  • 한국산 배추와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식 및 일본식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도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가 일본산으로 만든 것보다 발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 3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에 비해 총균은 낮고 유산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총균수가 가장 낮았고 유산균수는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김치 제조 직후부터 4주차까지 한국산 배추의 조직감이 일본산 배추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였으며,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assay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저해율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92%),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91%),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88%)로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실험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저해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는 57%,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38%,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 26%로 나타나 DPPH assay와 같은 경향을 보여 일본산 배추보다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이 더 높았다(p<0.05). 따라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김치의 주재료로서 더 적합하며, 이러한 한국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제조 방법으로 만든 김치가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방법으로 만든 김치보다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갈이배추김치,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및 질산염 함량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Nitrate Contents in Ulgari-Baechu Kimchi, Yulmoo Kimchi and Yulmoo Mul-Kimchi during Storage Period)

  • 박영희;서해정;조인영;한귀정;전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94-79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얼갈이배추김치,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품질특성 및 질산염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얼갈이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실온 숙성을 거쳐 저장 4일까지 pH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열무 물김치는 저장기간 18일 동안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산도의 경우 얼갈이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pH 변화와 반비례하여 저장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열무물김치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열무김치와 얼갈이배추김치의 경우 발효 4일부터 18일까지 최대치를 기록한 후 감소하였다. 반면 열무물김치의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 4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김치의 발효과정 중 미생물 변화의 결과는 일반 배추김치에서의 미생물 변화 양상과 유사하였다. 질산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얼갈이배추김치의 질산염은 담금 직후와 비교하여 실온 발효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후 저장기간에도 감소가 지속되어 담금 직후 대비 11%가량 감소폭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질산염 함량도 비슷한 변화 양상을 보이며 열무물김치는 담금 직후 대비 12%, 열무물김치는 5%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 Nam, Min-Hee;Kong, Chang-Suk;Bak, Soon-Sun;Lee, Yang-Bong;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6-50
    • /
    • 2007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hich are widely available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commercial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ere fermented almost more than 6 months. Average values for saltiness, pH and acidity of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ere $3.0{\pm}0.5%$, $4.0{\pm}0.2$, and $1.88{\pm}0.76%$, respectively.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similar Leuconostoc sp. and Lactobacillus sp. counts as baechu kimchi ripened properly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Leuconostoc sp. and Lactobacillus sp. of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were $10^{7\sim8}$ CFU/mL and $10^{4\sim7}$ CFU/mL, respectively.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0.32{\pm}0.18$ lightness, $1.73{\pm}0.98$ redness, $0.52{\pm}0.31$ yellowness.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highe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than well-fermented standardized baechu kimchi. Breaking strength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well-fermented standard baechu kimchi.

배추조직의 형태학적 특성과 세포벽 다당류의 조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Baechu))

  • 김순동;박홍덕;김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01-309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baechu). First of all, the variety of scientific name and naming of parts of baechu in the literatures of kimchi showed, which will unify marks. So, we propose not so much mid-rib and leaf blade of baechu leaf as white part and green par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orms of vessel elements of white part in baechu consist in ring, sclariform and reticulate thickeni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aechu h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s cultivars. The cell wall pectin from baechu exhibited four peals with molecular weights of 2,000,000, about 100,000 and less than 10,000 by gel filteration chromatography and hemicellulose did two peaks with molecular weights of 2,000,000 and 10,000.

  • PDF

솔비톨 및 당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rbitol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 구경형;조진숙;박완수;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94-801
    • /
    • 1999
  • 김치의 맛을 내기 위하여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설탕, 물엿과 김치 국제 규격에서 첨가제로 사용하고 있는 솔비톨의 김치 미생물의 이용 정도와 이들 당류가 김치 발효시 pH, 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의 수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 미생물의 당 이용도는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10종류중 3균주가 솔비톨을 이용하지 못하였다. 당을 1%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였을 경우 pH는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적정산도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하여 설탕 및 물엿 첨가구의 산생성이 높았으며, 솔비톨 첨가량이 많을수록 산 생성속도와 그 함량이 적어 적정산도 기준으로 솔비톨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가식기간이 약 2배정도 증가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 경우 전반적으로 당첨가의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조직감은 씹힘성에 있어서 솔비톨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는 당을 1% 첨가한 구에서는 발효 전반에 걸쳐 신맛을 제외하고 각 항목에 있어서 시료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솔비톨 5, 10% 첨가구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직감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대조구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Baechu-Kimchi Powder an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 Yu, Hyun-Hee;Yoon, Gun Hee;Choi, Ji Hun;Kang, Ki Moon;Hwang, Han-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4-812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new type of fermented sausage manufactured by incorporating Baechu-kimchi powder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LAB count was at the maximum level by day nine of ripening in inoculated sausages, accompanied by a rapid decrease in the pH. The addition of kimchi powder decreased the lightness ($L^*$) and increased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while also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sausage (p<0.05). Moreover, although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increased in all samples during the study period, this increase was lower in the kimchi-treated samples, indicating a reduction in lipid oxidation.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Baechu-kimchi powder to sausages reduced the off-flavor properties and improved the taste profile of the fermented sausage in sensory evaluations. The GABA content of all fermented sausages increased from 17.42-25.14 mg/kg on the third day of fermentation to 60.95-61.47 mg/kg on the thirtieth d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aechu-kimchi powder and GABA-producing LAB could be functional materials in fermented sausage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한국 성인의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2012~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하애화;주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125-1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12,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김치 소비 실태 조사를 섭취 빈도와 1회 섭취량을 이용하여 김치의 섭취 패턴, 영양소섭취량 및 다소비 식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성인의 아침결식률은 25~27%로 점심이나 저녁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끼니는 하루 3끼니를 섭취하는 대상자가 높았고, 간식은 섭취한 경우가 92% 이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외식 횟수는 하루 1회 이상이 2012년에 27.6%, 2013년도에는 33%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주 5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2012년에 45%였으며, 김치 섭취 빈도 중 배추김치는 하루 2회 섭취 횟수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다소비식품 상위 30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추김치만이 상위권 안에 들었고, 다른 김치류는 30위 내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김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문어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K-1을 이용한 수산물김치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eafood kimchi started with Leuconostoc mesenteriodes SK-1 isolated from octopus baechu kimchi)

  • 장미순;정고운;윤재웅;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50-10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김치의 시원한 맛과 풍미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수산물김치 전용 유산균 스타터를 찾고자 하였다. 문어 배추김치로부터 내산성 및 덱스트란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 SK-1을 선발하고 동정한 결과 L. mesneteriodes와 99% 상동성을 나타내어 L. mesneteriodes SK-1으로 명명하였다. 수산물김치 스타터로서 L. mesneteriodes SK-1 균주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pH, 산도, 젖산 생성량 및 Lesuconostoc sp. 균주의 변화를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L. mesneteriodes KCTC 3505 균주와 비교하였다. L. mesneteriodes SK-1 균주 배양액을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제조한 문어 배추김치의 pH는 숙성 21일 이후부터는 4.56에 도달한 이후 계속 유지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배양액을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1일 이후부터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의 산도는 $4^{\circ}C$에서 숙성 28일째 적정 산도 0.65%에 도달한 반면에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각각 숙성 17일 및 21일 경에 적정 숙성 산도인 0.65%에 도달하였다. 또한,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1일째 젖산 생성량이 0.72 mg/mL를 나타낸 이후 숙성 28일 및 35일째에도 젖산 생성량은 0.76 mg/mL 및 0.79 mg/mL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8일째에 젖산생성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각각 1.12 mg/mL 및 1.15 mg/mL을 나타내었다. 한편,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14일째 이후부터 Leuconostoc sp. 균수가 $10^8CFU/mL$ 이상의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SK-1 균주를 첨가한 김치가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김치보다도 신맛은 적고 시원한 맛, 탄산미 등의 종합적인 맛 평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산물김치는 산도 및 젖산생성량이 낮아 적정 숙성도가 오래 유지됨으로서 관능적으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 및 유통이 가능한 수산물 김치 전용 스타터로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되었다.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김치섭취실태 및 기호분석 (Kimchi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in Taejon)

  • 구난숙;김지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9-148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ake pattern and the experience on the kimchi-making, and to analyze the taste preference of kimchi.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from 473 college students in Taejon. Most students had taken baechu-kimchi, kkakduki, yeolmu-kimchi, dongchimi, and cheonggak-kimchi. They liked baechu-kimchi best, and then cheonggak-kimchi. Twenty-seven percent of students took kimchi every meal time and 53 % once a day. The rest 19.4% replied that they could take meals without kimchi. The male students ate more kimchi than the female(p<0.01). Sixty-five percent of them had tried the foreign foods made with kimchi and female had more experience than male(p<0.01). The taste of kimchi-japchae and kimchi-woodong was indicated as edible or taste very good by over two thirds of the students. Kimchi-pizza, kimchi-hamburger, and kimchi-spaghetti were evaluated as edible or taste good by the over half. The aging of kimchi was belie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taste. Students preferred kimchi which was weak in salty, sweet, and jot-kal taste, strong in hot taste, and proper in sour taste(well-fermented). Compared with the male, the female enjoyed kimchi having stronger sour and weaker jot-kal taste(p<0.01). More female students(43.5%) had experenced kimchi-making than the male(26.5%)(p<0.001). Three-fourth of them had made kimchi with their mother. Baechu-kimchi, cheonggak-kimchi, and dongchimi were recommended as the global f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