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spot diseas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키위 잎 주요 병 진단 및 방제 (Diagnosis and Control of Major Leaf Diseases on Kiwifruit in Korea)

  • 김경희;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키위나무 잎에는 궤양병과 세균성점무늬병처럼 세균에 의한 병과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과실곰보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형태 점무늬병 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키위나무잎에 발생하는 피해를 주는 주요 병에 대하여 병징과 발생특성을 요약하고 지난 30년간 수행한 연구 업적과 현장 경험 그리고 세계적인 주요 연구 산물들을 기초로 하여 키위나무 잎에 발생하는 주요 병에 의한 피해를 경감할 수 있도록 농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수박 잎점무늬병의 발생 (Occurrence of Leaf Spot Disease on Watermelon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박경수;이지혜;김영탁;김혜성;이준우;이현수;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0-186
    • /
    • 2021
  • 경남과 전남의 육묘중인 수박과 정식한 포장의 유묘에서 황색의 둘레무리와수침상의 갈색 및 검은색의 반점의 병반이 관찰되었다. 병반에서 분리한 분리균은 수박과 쥬키니에서 높은 병원성을 보여주었다, 분리균은 4개의 속생모를 가진 막대형 세균이었다. 분리균은 그람음성으로 LOPAT group 1a에 속하였으며, King'B 배지에서 형광성이 없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분석과 4개의 항존유전자 염기서열(gapA, gltA, gyrB, rpoD)을 이용한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분석 결과 분리균들은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여주었고, 같은 그룹(clade)으로 묶이었다. 또한 이들은 P. syringae genomospecies group 1에 속하였다. 수박의 잎점무늬병징에서 분리한 세균의 형태적, 생리적, 유전적 특징은 이들이 P. syringae pv. syringae임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P. syringae pv. syringae가 수박에서 점무늬병을 일으키는 최초의 보고이다.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에 의한 헤데라 세균성점무의병 (Bacterial Leaf Spot of English Ivy Caused by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

  • 이승돈;이정희;한경숙;서상태;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7
  • 2005년 용인의 헤데라 재배 온실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아래 잎에서 수침상 점무의가 형성되고 점점 커져 주위로 노란색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갈색의 반점을 형성하다가 잎 전체가 검게 말라 죽어 떨어진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헤데라의 잎에 주사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 및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821과 SL4822를 X. hortorum pv. hederae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헤데라의 세균성점무의병으로 명명하였다.

Xanthomonas campestris pv. vitians에 의한 상추 세균성점무늬병 (Bacterial Leaf Spot and Dry Rot of Lettuc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vitians)

  • 이승돈;이정희;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6-70
    • /
    • 2007
  • 1997년과 1998년 광주와 광명의 상추 재배 온실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 병반이 불규칙적이고 작은 연녹색이었다가 점점 커져 지름이 2$\sim$5 mm 정도인 수침상의 검은색 병반이 형성되었다. 잎의 아래쪽에서 엽맥을 따라 검은색의 줄무늬 병반이 형성되기도 하고 심해지면 잎이 시들어 말라 죽었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상추의 엽맥에 주사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과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분리세균 SL0246과 SL1352를 X. campestris pv. vitians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상추의 세균성점무의병으로 명명하였다.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에 의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과 핵과류 과수 품종에 대한 병원성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걸린 식물체로부터 순수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을 NA배지에서 배양한 후 국내재배 핵과류에 분무접종한 결과 자두, 매실, 살구에 있어서는 과실에 뚜렷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복숭아 과실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매실과 살구에서는 극심한 초기 과민성반응이 나타났는데 과실의 50% 정도가 생장 정지되어 낙과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병반의 크기는 자두와는 달리 크게 진행되지 않고 많은 점무늬를 형성하는 병반형태를 나타내었고 복숭아에서는 과실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접종된 여름철 신초가지에서 자두 포모사품종에서는 도관부까지 궤양조직이 형성되었으나 살구 그리고 매실에서는 체관부일부에서만 궤양조직이 형성되어 분리된 병원균은 자두 포모사품종에 특이적인 감염조직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Pathotypes of Bacterial Spot Pathogen Infecting Capsicum Peppers in Korea

  • Wai, Khin Pa Pa;Siddique, Muhammad Irfan;Mo, Hwang-Sung;Yoo, Hee Ju;Byeon, Si-Eun;Jegal, Yoonhyuk;Mekuriaw, Alebel A.;Kim, B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28-432
    • /
    • 2015
  • Sixty-seven isolates of bacterial spot pathogen (Xanthomonas spp.) collected from six provinces of Korea were tes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ir pathotypes and determination of their distribution throughout Korea in an effort to genetically manage the disease. Near isogenic lines of Early Calwonder (Capsicum annuum) pepper plants carrying $Bs_1$, $Bs_2$ and $Bs_3$, and PI235047 (C. pubescens) were used as differential hosts. Race P1 was found to be predominant, followed by race P7, and races P3 and P8 were also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aces P7 and P8 in Korea. The races P7 and P8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races P1 and P3,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ability to elicit hypersensitive reactions to PI235047.

Post-Infectional Biochemical Changes in Mulberry Due to Xanthomonas campestris pv. mori Induced Bacterial Leaf Spot

  • Maji, M.D.;Sengupta, T.;Das, C.;Urs, S.Raj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55-259
    • /
    • 2004
  • Post-infectional biochemical changes due to Xanthomonas campestris pv. mori (Xcm) infection in five elite mulberry varieties viz., $S_1$, $S_{1635}$, $V_1$, RF $S_{175}$ and JRH was studied under inoculated condition. It was revealed that total soluble sugar and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lined in all the varieties due to X. campestris infection. Total phenol content was at par prior to inoculation in all varieties,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_1$, RF $S_{175}$, $S_{1635}$ and JRH 7 days after inocu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otal soluble sugar and total phenol content was found positive (r = 0.82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otal soluble protein and phenol content was found positive (r = 0.897)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X. campestris infected leaves are nutritionally inferior in quality and the duration of phenol production in a mulberry variety play decisive role on disease resistance.nce.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애호박 세균점무늬병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Selection of the Antibacterial Agents for Control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causing Leaf Spot Disease on Green Pumpkin (Cucurbita moschata))

  • 박경수;김영탁;김혜성;차재순;박경훈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4
    • /
    • 2015
  • 공주와 논산 육묘장에서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세균점무늬병이 애호박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지만, 점무늬병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종자처리와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살균제 6종을 선택하여 병원균의 생장억제효과, 유묘에서 병 방제효과, 종자처리에 의한 병원균 및 병 방제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King's B배지에서 병원균 생장억제효과는 oxytetracycline 170 ppm, oxytetracycline 15 ppm + Streptomycin sulfate 188 ppm, oxolinic acid 200 ppm, streptomycin 200 ppm 처리 순으로 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와 oxytetracycline 17% WP의 유묘처리 시 방제가는 각각 71.4%, 49.4%이었다.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를 인위적으로 감염된 종자에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유묘 발아실험에서 96%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Oxytetracycline 17% WP 2,000배 처리구에서 인위 감염 종자로부터 80 cfu/g의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유묘발아실험에서 9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Streptomycin 20% WP의 2,000배액을 종자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이 280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유묘발아실험에서 60%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가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에 의한 세균점무늬병의 방제와 종자처리를 위한 최적의 살균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