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blight.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2초

벼흰빛잎마름병에 대한 포장 저항성의 새로운 검정법 (An Improved Method for Screening Rice Cultivars with Fiel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 최재을;이두구;서재환;배성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5-121
    • /
    • 1985
  • 벼 흰빛잎마름병에 대한 새로운 포장 저항성 검정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검정 식물체 접종법과 인접 식물체 접종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새로운 검정법인 검정 식물체 접종법에서는 포장 저항성 검정 식물체를 전엽접종한 발병엽으로부터 새로 출엽된 잎에 이차전염된 발병 엽면적율을 측정하였다. 검정 식물체 접종으로 검정된 포장 저항성 정도는 인접 식물체 접종 결과와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포장 저항성 정도는 검정 식물체 접종법에서 명확히 구분되었다. 공시한 33품종 중에서는 밀양 42호, 삼강벼, 태백벼, 한강찰벼, 섬진벼, 70 X-46, 중국 45호 등이 강한 포장 저항성을 보였다. 새로운 포장 저항성 검정법은 품종의 질적 저항성 및 포장 저항성을 동시에 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검정법에 비하여 노력과 포장 면적이 적게 들기 때문에 유용한 검정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가 수도 백엽고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Occurrence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 최용철;윤명수;엄기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9-202
    • /
    • 1980
  • 실소시비량 및 재식거리간 벼 흰빛잎마름병 발병과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질소시비량과 발병과는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발병율이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7.5kg/10a<15kg/10a<30kg/10a의 순으로 발병이 높았다. 2. 질소시비량이 배비(30kg/10a)일 경우에는 재식거리와는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3. 표준시비구(15kg/10a)에서는 $10\times20cm,\;15\times30cm$(표준재식거리)에서 발병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재식거리가 넓은 구$(20\times40cm)$에서 발병이 높았다.

  • PDF

Development of Near-Isogenic Lines (NILs) Conferring Xa4, xa5 and Xa21 Gene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japonica rice Genetic Background

  • Kim, Ki-Young;Shin, Mun-Sik;Kim, Woo-Jae;Park, Hyun-Su;Ko, Jong-Cheol;Nam, Jeong-Kwon;Shin, Woon-Chul;Mo, Young-Jun;Jeung, Ji-Ung;Kim, Bo-Kyeong;Ko, Jae-Kwo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83-390
    • /
    • 2011
  • Near-isogenic lines (NILs) carrying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Xa4, xa5 and Xa21) were developed in japonica rice using Suweon345 as genetic background. NILs were selected by gene specific DNA markers and inoculation of K1 or K3a race. NILs conferring Xa4 were resistant to K1, K2, K3, and moderately resistant to K3a. NILs conferring xa5 were resistant to K1, K2, K3, and K3a. NILs having Xa21 were susceptible to K1, while resistant to K2, K3 and K3a. Target genes of NILs with the genetic background of Suweon345 were also confirmed by using eleven Philippines races and International Rice Bacterial Blight (IRBB) NILs carrying Xa4, xa5 and Xa21. All NIL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ir recurrent parents in the major agronomic traits except for panicle length and brown rice 1,000 grain weight. Heading date of NILs ranged from Aug. 10 to Aug. 11,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recurrent parent, Suweon345. Culm length,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and ratio of ripened grain of NILs were similar to those of Suweon345. Milled rice of NILs was ranged from 4.82 to 4.93MT/ha. These NILs will be useful for improving resistance to K3a race of bacterial blight pathogens in Korean japonica cultivars.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in Tongil Type Rice Cultivar 'Changseongbyeo'

  • Shin, Mun-Sik;Noh, Tae-Hwan;Lee, Jae-Kil;Shin, Hyun-Tak;Cho, So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4-65
    • /
    • 1998
  •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in a Tongil-type rice cultivar 'Changseongbyeo' was studied using a Korean isolate HB9101. which belongs to race $K_1$. The resistance of Changseongbyeo to the HB9101 wa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This gene was allelic with Xa-1 gene and linked to Ig gene on chromosome 4 with the recombination value of 7.5%.

  • PDF

미생물제에 의한 잔디의 토양전염병 방제 효과 (Effect of a Microbial Product on the Control of Soilborne Diseases of Turfgrasses)

  • 박규진;김영호;박은경;김동성
    • 식물병과 농업
    • /
    • 제1권1호
    • /
    • pp.19-29
    • /
    • 1995
  • A microbial product composed of three antagonistic fungal isolates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and Trichoderma sp.) and three bacterial isolates (Arthrobacter sp.,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was tested for the control of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sp., brown patch by Rhizoctonia solani (anastomosis group(AG) 1-1) and large patch by R. solani (AG 2-2) of turfgrasses. Cultures of the antagonistic fungi and bacteria varied in the effectiveness in reducing disease severity of Pytium blight and brown patch on bentgrass. The antagonistic fungal and bacterial isolates were mixed and cultured at 20-$25^{\circ}C$ for 3 days in a growth medium, and the diluted solution of the microbial culture was applied under the field conditions after inoculation of the above turfgrass pathogens. The treated turfgrass was incubated at 28$^{\circ}C$ in a growth chamber. In this experiment, Pythium blight was almost completely controlled and brown patch was slightly decreased by the microbial product, while no control was observed in large patch of zoysiagrass. In zoysiagrass treated with the microbial culture, thatch accumulation was notably reduced.

  • PDF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Oryza sativa L.)

  • Cha, K.H.;Oh, H.J.;Park, R.D.;Jung, W.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23-126
    • /
    • 2011
  • To investigate the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five complexs and five farms were selected in Youngam and Naju area, Jonnam, Korea. Preventation objects of plant disease and insect were leaf blast, neck blast, sheath blight, bacterial leaf blight, and hopper. Factors of sheath blight occurrence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ere a fast transplanting time and a narrow planting density. Bacterial leaf blight in rice occurred severely in the area under water. Rice growth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as decreased heavy drying by hopper appearance.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에 의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Blight of Sesam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

  • 이승돈;이정희;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6-151
    • /
    • 2005
  • 2000년 수원, 홍천, 연천 지역의 참깨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 수침상의 작은 점무늬를 형성하다가 점점 커져 괴사가 일어나고 주위로 황화되었다. 심하게 감염된 경우는 병든 잎은 떨어졌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 하였을 때 Xanthomonas 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cfu/ml$로 현탁한 후 3주 동안 자란 참깨 잎에 분무 접종하였을 때 처음과 같은 증상이 재현되었다. 분리된 세균은 대조균주 X. campestris pv. sesami LMG865와 지방산 조성 및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100\%$의 가능성으로 X. campestris pv. sesami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병원균은 $18\~36^{\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27^{\circ}C$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 보고는 국내에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최초 보고이며, P. syringae pv. sesami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과 외부적인 병징으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클러스터 조사에 의한 마늘 세균점무늬병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Bacterial Leaf Blight of Garlic by Cluster Sampling)

  • 송정흡;양철준;양영택;심홍식;좌창숙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68-272
    • /
    • 2015
  • 마늘 세균점무늬병은 국내에서 제주지역 난지형 마늘에서 Pseudomonas syringae pv. morr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병해로 주요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연로그를 취한 이항분산에 대한 관측분산의 회귀모델인 binary power law를 이용하여 포장 내 병 발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회귀식의 기울기(b) 값이 1.361로 기준치인 1보다 커 세균점무늬병은 공간적으로 집중분포하고 있었다. 축차표본조사법은 평균이병주율($p_m$)의 추정과 요방제수준($p_t$) 이상 또는 이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조사지점수 고정 조사 방법에 비해 조사비용 면에서 더 효율적인 동시에 조사결과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with a Single Primer Set

  • Ham, Hyeonheui;Kim, Kyongnim;Yang, Suin;Kong, Hyun Gi;Lee, Mi-Hyun;Jin, Yong Ju;Park, Dong S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194-202
    • /
    • 2022
  •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cause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respectively, in apples and pears. E. pyrifoliae is less pathogenic and has a narrower host range than that of E. amylovora.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exhibit similar symptom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one bacterial disease from the other. Molecular tools that differentiate fire blight from black-shoot blight could guide in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both diseases. In this study, a primer set was developed to detect and distinguish E. amylovora from E. pyrifoliae by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rimers produced amplicons of different sizes that were specific to each bacterial species. PCR products from E. amylovora and E. pyrifoliae cells at concentrations of 104 cfu/ml and 107 cfu/ml, respectively, were amplified, which demonstrated sufficient primer detection sensitivity. This primer set provides a simple molecular tool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bacterial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콩 주요 세균병의 충북지역 발생현황 (Occurrence of the Bacterial Diseases of Soybean in Chungbuk Province in 2017)

  • 윤건식;문혜림;김태일;김익제;김영호;김홍식;차재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39-349
    • /
    • 2021
  • 최근 봄 기온의 지속적인 상승과 콩 생육 중·후반기 집중된 비로 인한 다습한 날씨로 콩 세균병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피해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조사되지 않았던 충청북도 내 콩 주요세균병인 불마름병, 세균점무늬병, 들불병의 지역별 발생양상을 파악하여 세균병의 방제접근에 활용하고자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마름병 발병 포장률은 76.6%로, 보은 93.3%, 제천 83.9%, 옥천 83.3%, 괴산 81.7%, 청주 80.0%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29.3%를 나타냈다. 병 발생이 시작되는 7월과 8월 평균기온이 평년에 비해 높고, 그 시기에 집중된 강우는 초기 병의 발생과 확산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들불병 발병 포장율은 23.2%로, 단양 60.5%, 옥천 30.2%, 제천 26.8%, 괴산 26.7%로 순으로 발병 포장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10.1%를 나타냈다. 단양, 괴산, 음성, 제천지역이 도내 북부권이면서, 상대적으로 지대가 높고, 초가을 9월 평균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은 것이 들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3. 세균점무늬병 발병 포장율은 13.9%로, 괴산과 옥천지역이 30.0%, 보은 20.0%, 청주 15.0% 순으로 발병 포장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4.6%를 나타냈다. 세균점무늬병은 불마름병이나 들불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24~26℃의 시원하고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볼 때 7월의 잦은 비로 인한 시원한 날씨가 다발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4. 세균병이 발생한 포장에서 실제 병 발생의 심각성 알아보고자 발병주율을 조사한 결과, 불마름병은 37.9%, 세균점무늬병은 21.0%, 들불병은 25.0%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전체 필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보다 각각 8.6%p, 16.4%p, 14.9%p 높았다. 5. 콩 품종에 따른 불마름병 발병 포장률은 콩나물콩 88.9%, 서리태 84.0%, 대원콩 81.2%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고, 세균점무늬병은 대원콩 19.6%, 서리태 15.2%, 콩나물콩 12.5%, 들불병은 콩나물콩 25%, 대원콩 24.7%, 서리태 5.4% 순으로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우람콩은 불마름병 7.1%, 세균점무늬병과 들불병은 발병되지 않아 콩 세균병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