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ward

검색결과 2,439건 처리시간 0.022초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Daegu)

  • 신진교;조정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2호
    • /
    • pp.211-23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 박사연구인력은 생물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 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선택과 경쟁은 실현되는가?- (A Policy Implementation Analysis on the Care Voucher for the Aged -Focusing on Choice and Competition-)

  • 양난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77-101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사례연구로 일선 집행현장에서 바우처 논리인 소비자 선택과 제공자 경쟁이 실현되는지,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 분석하였다. 서울시 ${\bigcirc}{\bigcirc}$ 구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여 4개 제공기관과 돌보미, 일선공무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선집행과정을, 그리고 보건복지가족부, 사회서비스관리센터 등의 정책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정책설계와 운영을 조사하였다. 총 39명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돌보미바우처 집행 일선에서는 정책설계에서 가정한 바우처 이용자의 제공기관 선택과 제공기관의 경쟁은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 일선공무원은 공급자지원방식에서와 마찬가지의 관행으로 이용자명단을 기관에 전달하고 제공기관은 '제공기관회의'를 구성하여 이용자를 나누고 있었다. 하지만, 이용자의 선택은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제공기관과 돌보미는 서비스 제공에서 이용자 중심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 PDF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 (Effects of conventional and modified facemask therapies on dentofacial structures)

  • Yagci, Ahmet;Uysal, Tanc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32-443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와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의 치아 및 골격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III급 부정교합환에서 치료군과 비치료군을 비교하였다. 24명의 환자(여자: 13명, 남자: 11)로 구성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그룹(Group 1, mean age, $9.2{\pm}1.4$ years)과 24명의 환자(여자: 12명, 남자: 12명)로 구성된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Group 2, mean age, $9.3{\pm}1.6$ years); 그리고 21 명(여자: 11 명, 남자: 10명)으로 구성된 대조군 그룹(Group 3, mean age, $9.8{\pm}1.9$ years)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내 그룹 간에 치료군과 대조군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비모수적인 방법의 Wilcoxon's test으로 그룹 간의 변화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test와 Bonferroni's correction 을 시행하였다 (p < 0.016). Group 1에서 SNB 변화가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Group 2에서는 SNB, U1-NA (mm) U1-NA ($^{\circ}$) and Pog to N perp (mm) 변화는 대조군보다 적었다. SNA, ANB, SN-MP, A to N perp과 Upper lip to E plane이 증가하였다. 변형된 페이스 마스크는 상악 열성장이 있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악궁 확장을 동반한 페이스 마스크를 통하여 상악은 회전을 야기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모든 치료군에서 하악은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술방법에 따른 치료 후 상악 연조직 변화 - ASO/BSSRO와 Le Fort I/BSSRO 비교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ASO/BSSRO and Le Fort I/BSSRO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upper lip protrusion)

  • 강주만;김윤지;박재억;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3-397
    • /
    • 2010
  • 본 연구는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전방분절골절단술(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과 Le Fort I 골절 단술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 후 상악의 경 연조직 변화 및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율을 비교하였다. A군은 ASO/BSSRO를 시행한 군 14명, B군은 Le Fort I/BSSRO를 시행한 환자 중 상악의 후방부가 상방으로 이동(posterior impaction)된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술 전 2개월 이내와 수술 후 6개월 이후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군 모두 수술 후 상악 전방부 경조직과 연조직이 후방이동되었고, A군에서 더 큰 변화량을 보였다. A point의 후방이동에 따른 superior labial sulcus의 변화율은 A군에서 79%, B군에서 15%를 보였고, supradentale에 대해 labrale superious는 A군에서 80%, B군에서 68%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교합평면각은 B군에서 증가한 반면, 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양악수술 시 상악 수술은 상악 전방부와 상순의 돌출이 심한 경우에는 ASO를 시행하고 교합평면각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posterior impaction을 동반한 Le Fort I 골절단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9-529
    • /
    • 1992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ype to treat and stabilize. For a child with develop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treatment objective would be to stimulate maxillary growth, particulary one who has markedly deficient maxilla, and to restrain excessive mandibular growth. In order to stimulate the maxillary grow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is the one of the effe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skeletal Class II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evaluation of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xillary deficiency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between the group with RPE and labiolingual intraoral appliances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related to the ages of the patients :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about 1 year after reten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4 who were diagnosed as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were treated with Face Mask (Delaire Type) from the Dept. of Orthodontics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48 children wore the RPE and 12 children wore Labiolingual Applianc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each patient at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anterior cross-bite in 60 children, and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10 to 14 months in 19 children. X and Y coordinate of 10 landmarks were analyzed using a horizontal line through sella and rotated $6^{\circ}$ down anteriorly as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and a perpendicular verticual line through sella as the vertical reference axis. Each of the 31 measurents (10 verticals, 10 horizontals, 2 angles and 9 oth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while the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 rotated downward and backward. 2. Maxillary protraction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labiolingual appliance. 3. More downward movement of the posterior palatal plane obserb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doing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than with protraction after finishing the palatal expansion 4. The clinical effects of protraction and changes of the retention peri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age groups. 5. During the retention period, maxilla and maxillary teeth, and mandible and mandibular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however the mandibular changes were larger than the maxillary changes.

  • PDF

미니스크류 식립 부위로서 정중 구개봉합부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thickness of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nsertion)

  • 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04
  • 상악에 미니스크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되고 각화치은으로 덮여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에서 보이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그 두께가 얇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니스크류 식립시 골 천공의 위험과 안정성 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본 연구는 미니스크류 식 립을 위 한 정중 구개봉합부의 수직골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명 (남 : 13, 여 : 12)의 20대 환자 전산화 단층촬영 상을 이용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횡단면으로부터 정중구개봉합부의 수직골 두께를 계측하였고 각 부위의 유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중 구개 봉합부 골의 두께는 남녀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 구개 봉합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절치공에서 후비극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수평적으로 정중 구개 봉합부 좌우 3mm 이내, 전후방적으로 절치공 후방 25mm 까지는 골의 두께가 3-4mm이상으로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수직적골 골의 두께가 충분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과 하악 편악 수술 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with mandibular one jaw surgery and double jaw surgery in Class III malocclusion)

  • 장인희;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3-73
    • /
    • 2006
  • 악교정 수술 시행 시 연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II급 부정교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과 하악골 후퇴술을 동시에 시행한 양악 수술과 하악골 편악 수술 시행 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전후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며, 경조직 변화에 수반하는 연조직 변화의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Le Fort I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이동술과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한 양악 수술군 26명과 하악골 후퇴술만을 시행한 편악 수술군 26명으로 구분하여, 수술 전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악 수술군은 골격 변화량의 72.4% 비율로 상순 부위 연조직의 전방 이동을 보였으며, 편악 수술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순각은 양악 수술군에서 편악 수술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순각은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은 양악 수술군에서 98%, 편악 수술군에서 109%로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군에서는 편악 수술군에 비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수반하는 상순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났다. 편악 수술군에서는 상순의 변화는 미약하였으며, 하순 및 이부의 변화가 양악 수술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 이윤정;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3-655
    • /
    • 2000
  •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위치설정은 수술 후 새로운 위치에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악교정 수술환자의 진단과 치료 계획시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 계획시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한 경우 교합평면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서 고찰해봄으로써 향후 악교정 수술의 진단 및 치료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하여 양악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5명 (남자 8명, 여자 17명, 평균 연령 $23.2{\pm}3.17$세)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수술직전($T_1$)과 수술직후($T_2$, 평균 15.4일), 수술 후 최소 1년 이상 경과후($T_3$, 평균 32.6개월)을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각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며, 수술방법(SSRO, IVRO)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는 수술에 의한 악골의 이동량이나 posterior impaction의 양, 수술후 경과시간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수술 후, SSRO 시행군에서는 유의하게 하악골의 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IVRO 시행군에서는 하악골이 후하방 이동하면서 gonial angle과 하악평면각이 증가함으로써 하악 치아의 정출이 발생하였다.

  • PDF

Preliminary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and arch dimension chang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treated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conventional anchorage vs. mini-implant anchorage

  • Park, Heon-Mook;Kim, Byoung-Ho;Yang, Il-Hyun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280-290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nchorage on tooth movement and arch-dimension changes in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CII div.1) patients. Methods: CII div.1 patients treated with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sliding mechanics were allotted to conventional anchorage group (CA, n = 12) or OMI anchorage group (OA, n = 12). Pre- and post-treatment three-dimensional virtual maxillary models were superimposed using the best-fit method. Linear, angular, and arch-dimension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oftware program.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CA group, the OMI group showed more back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canine (MXCI, MXLI, MXC, respectively; 1.6 mm, p < 0.001; 0.9 mm, p < 0.05; 1.2 mm, p < 0.001); more intrusion of the MXCI and MXC (1.3 mm, 0.5 mm, all p < 0.01); less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first, and second molars (MXP2, MXM1, MXM2, respectively; all 1.0 mm, all p < 0.05); less contraction of the MXP2 and MXM1 (0.7 mm, p < 0.05; 0.9 mm, p < 0.001); less mesial-in rotation of the MXM1 and MXM2 ($2.6^{\circ}$, $2.5^{\circ}$, all p < 0.05); and less decrease of the inter-MXP2, MXM1, and MXM2 widths (1.8 mm, 1.5 mm, 2.0 mm, all p < 0.05). Conclusions: In treatment of CII div.1 malocclusion, OA provided better anchorage and less arch-dimension change in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han CA during en-masse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