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sho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너울성고파랑에 기인한 후빈 배후 침식 (Backshore Erosion due to High Swell Waves)

  • 김규한;심규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66-371
    • /
    • 2012
  • 너울성고파랑은 최근 동해안에서 발생하는 해안침식의 주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너울성 고파랑의 내습에 의해 발생되는 백사장 주변의 해빈변형을 재현하고 후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상 수리모형실험과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실험에서는 CSHORE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내습파랑에 따른 해빈단면변화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평상파랑과 너울성고파랑의 내습에 의해 발생되는 전빈 및 후빈의 침식현상과 그 메커니즘을 비교 고찰 하였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Cape Cod 해안의 퇴적물 이동 (A Sediment Transport of Cape Cod Coast, Massachusetts, USA)

  • 김동주;은고요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589-594
    • /
    • 1997
  • A total of 24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 and fronting of sea cliff on Cape Cod In southeastern Massachuset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ainsize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g.k size decreases from the north(Wood End Beach) to the south(Nauset Light Beachy. The coarser materials tend to be deposited at the foreshore than at the backshore. Especially gavel content(%) Is very high in northern beaches. The lavel fraction tended to concentrate at the toe of the beach. In addition to gravel. the beach and nearshore bar also tended to be deposite of very coarse sand and the Inner fraction accumulate in the offshore bar, Grainsize analyses of sediment Indicates that the coarsest sands Including gravel accumulate In the beach and nearshore bar, the finer fraction winnowed out by wave action to be deposited In the offshore bar. The beach and nearshore bar sands and gavel are subsequently transported laterally by the wave-driven longshore drift, and finally they come to rest in the distal end of Provincetown Hook. The faller offshore sands are trnasported laterally to the south by net southward-directed longshore current.

  • PDF

태풍에 의한 해빈 퇴적물 조성 및 지형 변화(동해, 나아해빈) (The Change of Beach Sediment Composition and Geography by Typhoon (Naa Beach, East Sea))

  • 이연규;신현옥;이종섭;박일흠;최정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2-133
    • /
    • 2005
  • 동해 남부 연안에 위치한 나아해빈을 대상으로 태풍(매미)에 의한 해빈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태풍 전 후의 표층 퇴적물조성, 해빈의 해안선 및 단면변화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해빈의 후빈(backshore)에서는 자갈량이 감소하고 사질함량이 증가하였고, 해빈 전 지역이 침식, 평탄화 되었다. 해저지형변화는 태풍 후 퇴적층 두께 약 4 m까지 침식을 일으키고, 이런 영향은 수심 약 10 m까지 달하며, 해안선은 약 12 m까지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해빈에 태풍이 영향을 미칠 때, 높은 파고를 가진 파랑은 해빈의 저부 또는 외해의 저층에 까지 침식작용을 일으키고, 해빈의 상부는 광범위하게 침식된 후 사질로 구성된 퇴적물들이 재퇴적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해안 해빈(노봉 해빈) 환경의 Overwash Mark 퇴적물의 조직 특성 (Textural Characters of the Overwash Mark Sediments on the Berm of the Nobong Beach Environment, East Sea of Korea)

  • 박용안;최경식;김수정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00
  • 우리나라 동해안 노봉 해빈 (Nobong Beach)의 남측에 해당하는 해빈 퇴적층 (체)에 대한 3년 동안의 동력적 계절 변화 (dynamic beach cycle)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관찰된 해빈 Overwash Mark와 이러한 Overwash 퇴적물의 조직 성질 (textural character)을 규명하였다. Overwash Mark 퇴적물 (OMS)의 조직 성질 또는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OMS가 발달되는 해빈 환경 구분으로서의 Backshore (berm)와 Swash zone에서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 분석과 광물 성분 분석 및 구형 -원마도를 측정하였다. 서로 다른 동력 환(파랑의 영향)에 지배되는 해빈 퇴적물의 퇴적 조직 특성은 해빈 동력 환경을 좀더 자세히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중요한 요인(factor)인 바, OMS 조직 특성 분석 결과의 하나로서 Swash -backwash)$\longrightarrow$Berm$\longrightarrow$Overwash mark의 순으로 퇴적물의 입자가 조립화(increasing of coarse-grained particle)되는 경향을 제시한다.

  • PDF

Trace Fossils from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s of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s for th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 Kim, Jeong Yul;Kang, Ji Hy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5
    • /
    • 2018
  • Moderately diverse, but very abundant trace fossils are found from the Late Pleistocene deposits of Jeju Island, Korea. Vertical I-, Y- and U-shaped domichnia of annelids or decapods are, over 2500, extremely abundant, 3D network domichnia of callianassids are, over 200, very abundant, and small sinuous trails of nematode repichnia are, over 50, abundant in number. Horizontal trails attributable to polychaete or worm-like animals are, less than 50, common, but horizontal spreiten burrows, fish traces and crab trackways are, less than 10, rare in occurrence. Of these trace fossils, Taenidium barretti, Undichna britannica and Undichna unisulca represent the first record from the Pleistocene in Asia. Psilonichnus upsilon is the second record in Asia. Crab trackways probably produced by underwater punting gait of sideway walking crabs may represent the first record in the world. In addition, diverse and very abundant footprints of more than 500 hominids, more than 200 birds and more than 1000 mamm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se invertebrate trace fossils. Trace fossil assemblage integrated with sedimentary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marginal marine foreshore to backshore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Psilonichnus and Skolithos ichnofacies.

항공사진 및 지상라이다를 활용한 독도 자갈해빈의 시계열적 변화분석 (Temporal Changes in Gravel Beach Morphology of Dokdo Island Using Aerial Photos and Ground-based LiDAR Data)

  • 강지현;김혜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57
    • /
    • 2021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morphology of Dokdo's gravel beach and its responses due to a storm event were analyzed using the aerial photos and 3D LiDAR data obtained during an ecosystem survey of the Dokdo in 2020. Dongdo Island's gravel beach, shown by aerial photo analysis, increased in area due to sedimen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a dock, but there was no more significant changes in area after having grown to Sutdolbawi inside the dock. The changes in volume of the gravel beach were indicated based on 3D data acquired in May and November 2020. A strong typhoon that passed in September, 2002, caused erosion on the backshore and sedimentation on the foreshore and formed the berm by about 1.5 to 2 m high.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edimentation was 94.76 m3 in volume and 329 m2 in area and the erosion was 250.75 m3 in volume and 603m2 in area, which suggested that the overall change of the gravel beach was erosion. The changes in the morphology of the gravel beach on Seodo Island occurred with the seasons along with the changes in area. In addition, berms of different altitudes appeared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sides of the spit, which was also estimated to have formed by the seasonal current direction and wave energy.

태풍 내습 시 자갈 해빈의 지형반응 - 부산 태종대 감지 해빈의 사례 (Morphologic Response of Gravel Beach to Typhoon Invasion - A Case Study of Gamji Beach Taejongdae in Busan)

  • 이영윤;장태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30
    • /
    • 2020
  • 자갈해빈에 대한 태풍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태종대 감지 자갈해빈에서 2018년 10월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와 2019년 7월의 태풍 '다나스'에 대하여 VRS-GPS, 드론 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전반적인 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자갈해빈의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감지해빈의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자갈퇴적물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평균 -6.2Φ에서 -5.4Φ로 세립해지며, 해안선의 수직방향으로는 포말대(swash zone)에서 상대적으로 세립한 구형의 퇴적물(-4.5Φ)이, 범(berm)에서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편평한 퇴적물(-5Φ - -6Φ)이 나타난다. 감지 자갈해빈은 특징적으로 2열의 범을 갖는데, 해빈의 전방에 정상조건에서 형성되는 하부 범(lower berm)과 약 10 m 후방에 상부 범(upper berm)이 존재한다. 태풍 콩레이 내습 후 감지해빈은 육지쪽에 위치한 상부 범에서 약 1.4 m의 침식이 발생하여 상부 범이 사라졌고, 상부 범의 배후지에서는 평균 약 50 cm 침식되어 그 고도가 낮아졌으나, 하부 범에서의 침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상대적으로 위력이 약한 태풍 다나스의 경우, 내습 직후 감지해빈은 하부 범과 상부 범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평균 80 cm 높이의 퇴적물이 침식되었으나, 반면 배후지에서는 50 cm 높이의 퇴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습 후 하부 범에서 빠른 속도로 퇴적이 발생하여 내습 약 3일내에 소실되었던 하부 범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지 자갈해빈이 태풍에 의한 지형변화가 일시적으로 발생하지만, 이후 정상조건에서 태풍 이전의 지형으로 매우 빠르게 회복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갈해빈의 경우 태풍침식에 대한 복원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2016년 태풍 차바에 의한 해빈변화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yphoon Chaba in 2016 Along the Manseongri Coast Related Coastal Improvement Project)

  • 박일흠;박완규;정승명;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0-718
    • /
    • 2017
  •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량된 해빈자료와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 내습시 관측된 강력한 해빈변형외력으로부터 해빈변화가 현장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기술되었다.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빈은 양빈 이후 3개월에 걸쳐 자연외력에 반응된 안정화가 서서히 진행되었으나 태풍 차바에 의해 그 안정화가 깨어졌으며, 태풍내습 2개월 후부터 다시 안정적인 해빈을 나타내어 양빈 1년 후까지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태풍 차바 내습직후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은 도류제가 설치된 부근해빈과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서 주로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잠제배후역에서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또한 태풍내습직후 해빈체적이 $3,395m^3$ 감소하였는데, 감소한 영역은 주로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 집중되었으며 잠제배후의 후빈역은 오히려 퇴적되었다. 따라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수행된 연안정비사업은 파랑에 기인한 표사이동이 지배적인 이곳에서 해빈보존에 상당히 기여하였다

제주 우도 홍조단괴해빈의 태풍 시기 지형변화 (Topographic Variability during Typhoon Events in Udo Rhodoliths Beach, Jeju Island, South Korea)

  • 윤우석;윤석훈;문재홍;홍지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307-320
    • /
    • 2021
  • Udo Rhodolith Beach is a small-scale, mixed sand-and-gravel beach embayed on the N-S trending rocky coast of Udo, Jeju Island,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short-term topographic changes of the beach during the extreme storm conditions of four typhoons from 2016 to 2020: Chaba (2016), Soulik (2018), Lingling (2019), and Maysak (2020). The analysis uses the topographic data of terrestrial LiDAR scanning and drone photogrammetry, aided by weather and oceanographic datasets of wind, wave, current and tide. The analysis suggests two contrasting features of alongshore topographic change depending on the typhoon pathway, although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the storm conditions differed in each case. During the Soulik and Lingling events, which moved northward following the western sea of the Jeju Island, the northern part of the beach accreted while the southern part eroded. In contrast, the Chaba and Maysak events passed over the eastern sea of Jeju Island. The central part of the beach was then significantly eroded while sediments accumulated mainly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ends of the beach. Based on the wave and current measurements in the nearshore zone and computer simulations of the wave field, it was inferred that the observed topographic change of the beach after the storm events is related to the directions of the wind-driven current and wave propagation in the nearshore zone. The dominant direction of water movement was southeastward and northeastward when the typhoon pathway lay to the east or west of Jeju Island, respectively. As these enhanced waves and currents approached obliquely to the N-S trending coastline, the beach sediments were reworked and transported southward or northward mainly by longshore currents, which likely acts as a major control mechanism regarding alongshore topographic change with respect to Udo Rhodolith Beach. In contrast to the topographic change, the subaerial volume of the beach overall increased after all storms except for Maysak. The volume increase was attributed to the enhanced transport of onshore sediment under the combined effect of storm-induced long periodic waves and a strong residual component of the near-bottom current. In the Maysak event, the raised sea level during the spring tide probably enhanced the backshore erosion by storm waves, eventually causing sediment loss to the inland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