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ial load level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9초

고강도 띠철근으로 구속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Duct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with High-Strength Lateral Ties)

  • 문호권;이영호;양근혁;정헌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61-267
    • /
    • 2001
  • 본 연구는 고축력을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띠철근 양 산정시 띠철근 강도가 연성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축력비 및 연성과 주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띠철근 항복강도, 축력비, 주근 양 및 배치형태 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총 12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의 크기는 20$\times$20$\times$80 cm이며 실험구간은 중앙부 40 cm 이다. 실험결과 띠철근의 항복강도가 연성에 영향을 현저히 미치기 시작하는 축력비는 0.4 $f_{ck}$ $A_{g}$이었으며 현 ACI318-99 내진기준에 따라 띠철근 양을 산정할 때 저축력하에서 고강도 띠철근을 사용할 경우 띠철근 간격이 크고 띠철근 강도의 영향이 미비하여 부재는 취성적인 거동을 보일 위험이 있다. 고축력하에서 고강도 띠철근은 주근의 좌굴억제에도 상당히 효율적이었다. 특히 0.4 $f_{ck}$ $A_{g}$이상의 고축력하에서 고강도 띠철근이 응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띠철근 체적비 및 배근형태, 주근의 배치형태, 축력비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다.

A simplified model proposal for non-linear analysis of buildings

  • Abdul Rahim Halimi;Kanat Burak Bozdog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4권5호
    • /
    • pp.353-364
    • /
    • 2023
  • In this study, a method has been proposed for the static and dynamic nonlinear analysis of multi-storey building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ontribution of axial deformations in vertical load-bearing elements, which are especially important in tall and narrow structures. Shear deformations on the shear walls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in the study. The presented method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s that are not considered in the fishbone and flexural-shear beam models developed in the literature. In the Fishbone model, only frame systems are modeled. In the flexural shear beam model developed for shear wall systems, shear deformations and axial deformations in the walls are neglected. Unlike the literature, with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both shear deformations in the walls and axial deformations in the columns and wall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posed model, multi-storey building is represented as a sandwich beam consisting of Timoshenko beams pieced together with a double-hinged beam. At each storey, the total moment capacities of the frame beams and the coupled beams in the coupled shear walls are represented as the equivalent shear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 sums of individual columns and walls moment at the relevant floor level are represented as equivalent moment capacity at that floor level. At the end of the study, examples were solved to show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The SAP2000 program is employed in analyses. In a conclusion, it is observed that among the solved examples, the proposed sandwich beam model gives good results. As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it is seen that the presented method, especially in terms of base shear force, gives very close results to the detailed finite element method.

The Changes in Range of Motion after a Lumbar Spinal Arthroplasty with Charite$^{TM}$ in the Human Cadaveric Spine under Physiologic Compressive Follower Preloa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Load Control Protocol and Hybrid Protocol

  • Kim, Se-Hoon;Chang, Ung-Kyu;Chang, Jae-Chil;Chun, Kwon-Soo;Lim, T. Jesse;Kim, Daniel 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2호
    • /
    • pp.144-151
    • /
    • 2009
  • Objective: To compare two testing protocols for evaluating range of motion (ROM) changes in the preloaded cadaveric spines implanted with a mobile core type Charite$^{TM}$ lumbar artificial disc. Methods: Using five human cadaveric lumbosacral spines (L2-S2), baseline ROMs were measured with a bending moment of 8 Nm for all motion modes (flexion/extension, lateral bending, and axial rotation) in intact spine. The ROM was tracked using a video-based motion-capturing system. After the Charite$^{TM}$ disc was implanted at the L4-L5 level,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1) loading up to 8 Nm with the compressive follower preload as in testing the intact spine (Load control protocol), 2) loading in displacement control until the total ROM of L2-S2 matches that when the intact spine was loaded under load control (Hybrid protocol).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of each protocol was performed. Results: The ROMs of the L4-L5 arthroplasty level were increased in all test modalities (p < 0.05 in bending and rotation) under both load and hybrid protocols. At the adjacent segments, the ROMs were increased in all modes except flexion under load control protocol. Under hybrid protocol, the adjacent segments demonstrated decreased ROMs in all modalities except extension at the inferior segmen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oad and hybrid protocols was observed during bending and rotation at the operative and adjacent levels (p< 0.05). Conclusion: In hybrid protocol, the Charite$^{TM}$ disc provided a relatively better restoration of ROM, than in the load control protocol, reproducing clinical observations in terms of motion following surgery.

100 MPa 초고강도 콘크리트 띠철근 기둥의 이력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Hysteretic Behavior of 100 MPa Ultra High-Strength Concrete Tied Columns)

  • 김종근;신성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61-16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둥의 축력비 및 횡보강근의 형상을 주요 변수로 현행 규준(ACI Code)의 횡보강근량 산정식이 고축력과 반복횡력을 받는 압축강도 100MPa의 초고강도 RC 기둥의 설계에도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제 구조물의 보를 이상화한 스터브를 가진 1/2개 층의 기둥을 휨 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형상비(L/d)를 4로 하여 실제 구조물의 1/3 Scale로 하였고, 실험구간은 접합면으로부터 기둥 깊이의 2.5배(750mm)로 하였으며, 총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체의 파괴양상은 축력비가 증가함에 따라 스터브 접합면에서 좀 더 떨어진 위치에서 파괴구간이 넓게 확산되지 못하고 파괴가 집중되었으며, 횡보강근의 체적비가 증가할수록 휨 균열이 다수 발생하였고 파괴구간도 접합면에 더 가까이 발생하였다. 또한, 축하중의 증가는 기둥의 변형능력을 30%, 누적소산 에너지량을 40% 감소시키고 강도와 강성의 감소를 가속화시켰으며, 연성비를 비교하면 D Type에서는 43%, E Type은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횡보강근의 형상이 원형에 가까운 D Type이 심부 콘크리트 구속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일한 조건일 때 변형능력 및 연성비가 가장 높고 횡보강근의 체적비 증가에 따른 연성비의 증진효과도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축력 및 횡보강근 형상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현재의 횡보강근량 산정 규준식은 100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기둥 설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횡보강근의 상세(형상, 체적비) 및 축력효과등이 적절히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저층형 내력벽의 강도 (Strength of Low Rise Structural Walls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 윤현도;최창식;이리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7-410
    • /
    • 1999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to study the behavior of low rise structural walls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is presented. The test parameter included in the study were the level of constant axial load. The shear strength of walls is predicted by the design provision given in the current th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Building Code ACI 318-95 and Architectural Institute Japan Code AIJ. The predictions are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reported herein as well as those available in the literature.

  • PDF

종방향 압축력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횡압력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teral Pressure Effect under Axial Compressive Load of Ship Platings)

  • 박주신;고재용;이준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15-522
    • /
    • 2005
  • 선체를 구성하는 판부재는 일반적으로 면내하중과 횡하중의 조합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면내하중으로서는 주로 전체적인 선체거더의 휨과 비틀림에 의한 압축하중 및 전단하중이 있다. 횡하중은 수압과 화물압력에 의해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요소들은 항상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 개 이상의 하중이 존재하고 상호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좀더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선박구조의 설계를 위해서는 이러한 조합하중이 선체판에 작응할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좌굴 및 최종강도거동의 상호관계를 좀더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선체판은 슬래밍과 팬팅과 같은 충격하중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조합하중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거동에 있어서 최종한계상태설계법에 기반을 둔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하중과 횡하중이 판부재에 작용하였을 경우 횡하중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ANSYS)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종방향 압축력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횡압력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teral Pressure Effect under Axial Compressive Load of Ship Platings)

  • 박주신;고재용;이준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7
    • /
    • 2005
  • 선체를 구성하는 판부재는 일반적으로 면내하중과 횡하중의 조합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면내하중으로서는 주로 전체적인 선체거더의 휨과 비틀림에 의한 압축하중 및 전단하중이 있다. 횡하중은 수압과 화물압력에 의해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요소들은 항상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 개 이상의 하중이 존재하고 상호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좀더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선박구조의 설계를 위해서는 이러한 조합하중이 선체판에 작용할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좌굴 및 최종강도거동의 상호관계를 좀더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선체판은 슬래밍과 팬팅과 같은 충격하중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조합하중을 받는 선체판부재의 거동에 있어서 최종한계상태설계법에 기반을 둔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하중과 횡하중이 판부재에 작용하였을 경우 횡하중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탄소성대변형 유한요소해석(ANSYS)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 PDF

Soil Nail로 보강된 현장타설말뚝의 적용성 및 보강효과 분석 (Application and its reinforcing effect of soil nailed-drilled shafts)

  • 정상섬;김병철;이대수;김대홍;김대학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0-57
    • /
    • 2004
  • In this study reinforcing effect of soil nailed-drilled shafts subjected to axial and lateral loads were evaluated.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reinforcing effects of soil nails placed from the drilled shafts to surrounding weathered- and soft-rocks based on model tests, numerical analyses and load tests. Th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es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inforcing effect of various conditions of number, inclination, position and length. The results of 1/40 scal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es show that as the number of reinforcing level increases, the incremental effect of reinforcement tends to increase, whereas the reinforcing effect on relative position is negligible. In addition there is a reinforcing effect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es up to 30 deg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ensile load tests, soil nailed-drilled shafts has a considerably smaller settlement to reach the ultimate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un-reinforced drilled shafts. For compression tests, there is a reinforcing effect of about 200% measured.

  • PDF

중공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 기둥의 거동에 관한 연구 (I. 중심 압축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urs of Hollow CFT Column Subjected to Axial Load)

  • 김철환;김종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9-76
    • /
    • 2006
  •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 CFT) 기둥은 내력 및 변형능력 등 구조적 성능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강관내부에 충전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저항성 및 유동성이 확보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가 요구되며, 또한, 다이어프램 하부의 충전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CFT기둥의 장점인 내력 및 시공성을 살리고, 현장 충전 공법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CFT부재의 PC화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CFT부재의 PC화는 고중량물이기 때문에 운반과 양중능력의 확보 등 다른 문제를 낳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CFT기둥의 단점과 공장생산 CFT기둥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인 중공 CFT 구조를 제안하고 중심축하중 하의 이력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주된 실험변수는 CFT기둥의 충전율과 충전재의 강도이며, 특히 충전율은 0%, 30%, 50%, 80%, 100%를 설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기본적으로 항복강도레벨에 이르기까지 선형적인 거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 충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 강성 및 변형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 PDF

Fundamental behavior of CFT beam-columns under fire loading

  • Varma, Amit H.;Hong, Sangdo;Choe, Lis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5권6호
    • /
    • pp.679-703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the fundamental behavior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beam-columns under fire loading. A total of thirteen specimen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axial force-moment-curvature-temperature behavior of CFT beam-columns. The experimental approach involved the use of: (a) innovative heating and control equipment to apply thermal loading and (b) digital image correlation with close-range photogrammetry to measure the deformations (e.g., curvature) of the heated region. Each specimen was sequentially subjected to: (i) constant axial loading; (ii) thermal loading in the expected plastic hinge region following the ASTM E119 temperature-time T-t curve; and (iii) monotonically increasing flexural loading.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CFT beam-columns were evaluated. The parameters considered were the steel tube width, width-tothickness ratio, concrete strength, maximum surface temperature of the steel tube, and the axial load level on the composite CFT se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ide knowledge of the fundamental behavior of composite CFT beam-columns, and can be used to calibrate analytical models or macro finite element models developed for predicting behavior of CFT members and frames under fir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