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An Empirical Encounter of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ivation Theory: Factors of Perception of Materialistic Realities and Dealing with Materia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 Cha, Yuri;Kwon, Yej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226-25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media use. We examined: 1) relative consequence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mounts of time spent on genre-specific media on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2) whether cultural orientation (allocentrism, self-monitoring, and masculinity) influences explanatory factor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3) conditions of countervailing responses to materialistic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survey data of 3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beauty or fashion genre and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explained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erceptions that affected the accommodative response did not affect countervailing response, innovativeness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only countervailing respons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중년의 차별경험이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지위인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Middle-aged Korean's Experience Discriminated 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s of Awareness of Social Status of the Aged)

  • 김수진;김미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87-202
    • /
    • 2018
  • 본 연구는 좌절-공격성 이론을 근거로 중년의 차별경험이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영향력이 노인지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를 사용하여 조사 당시 연령을 기준으로 중년층(40-54세) 509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STATA1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의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 수준은 2.20점(5점)으로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지위에 대해서는 2.45점(4점)으로 중간정도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이 경험하는 차별은 0.74로 평균적으로 1개 이하의 차별경험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지 않은 경우 연구참여자의 차별경험은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지위인식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차별경험은 노인 차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노인지위인식은 차별경험이 노인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부적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차별받은 경험이 또 다른 사람에 대한 차별 행동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고 노인차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노인의 이미지 개선과 평등의식의 확산 등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정신 및 행동장애 환자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 (Awareness and its improvement to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paramedic students)

  • 최수아;최고은;강지혜;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5-11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paramedic students to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suggest its improvement measur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amedic students after consent to this study through onlin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8 to August 1, 2022 and 1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8.0. Results: The level of prejudice of subjects showed 2.73 points and their level of discrimination showed 2.52 poin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experience of field practice, reason for major selection etc.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eve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tact experience to patients, contact place, taking subjects etc.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evels. The high correlation showed between tot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853, p<.001).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n awareness about patients were positive role of mass media, better educational contents etc. Conclusion: Paramedic students need to treat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refore, it needed to develop and apply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amedic students to be able to improve an awareness about patients with positive role of mass media about them.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Multi-cultural Youth's Experience of the Discrimination in School)

  • 이수민;양난미;이아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76-793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8개의 중심의미와 22개의 드러난 주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원치 않는 다문화 알려짐과 부정적 감정의 경험', '다문화가 나라는 존재를 결정하게 됨', '다문화라는 사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음', '다문화에 대한 호의적 반응과 도움의 경험',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것들이 차별의 이유가 됨', '흥밋거리나 함부로 다루어지는 존재가 됨', '다문화 교육과 주변의 관심이 도움이 되지 않음', '자신의 힘으로는 멈출 수 없는 차별과 해결되지 않는 차별의 영향', '다문화 청소년으로서 가지게 되는 자기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도 및 분별력과의 상관성 (Recognition Level of Imported Food and Its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Ability)

  • 한장일;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5-102
    • /
    • 1999
  •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safety awareness for imported foods by 365 male and female adults in Taej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 B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behaviors and awareness of the imported food was grouped into 3 factors such as 'health and quality factor', 'purchasing factor' and 'contamination factor'. 'Health and quality factor' and 'purchasing factor' were not recognized negatively by the subjects, moreover' contamination factor' was recognized very highly. The subjects' concern and worry about the imported food was also very high. Th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nutriton knowledge adn recognition level of contamination by pesticides and heavy metals of foods partially affected the recognitio level of imported foods. The major selection criteria of imported food were distribution period(36.3%), price(28.8%) and purchasing experience(17.3%). The imported food mean discrimination score was 8.4±3.1 out of 13. The worst discriminatio score was red pepper. The subjects' experiences with imported foods selection affected the most instead of education level or nutrition knowledge. The higher discrimination score group more negatively recognized imported food and contamination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whereas the lowerdiscrimination score group more positively recognized the purchasing frequency and with to buy more easily. But both groups desired to reinforce contamination control. The better discrimination score of imported food pooring recognized sanitation concerns(p<0.05), quality(p<0.05), cooking convenience(p<0.01), desire for more variety(p<0.05), and the higher contamination recognition level(p<0.05) and desire to reinforce contamination control(p<0.01).

  • PDF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의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 거주환경과 심리의 융복합적 접근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of Depression by Households Typ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Convergent Approach of Living Environment and Psychology)

  • 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59-466
    • /
    • 2020
  • 본 연구는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을 연구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차 웨이브 3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로 대상자는 608명이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여성, 비수도권, 중증장애,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일상생활도움이 필요한 경우, 차별경험이 높은 경우, 관계만족도가 낮은 경우, 사회생활참여를 하지 못하는 경우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 우울 영향 요인은 차별경험(p<.05), 사회활동참여(p<.05)이고, 다인가구 장애노인은 성별(p<.05), 거주지(p<.01), 건강상태(p<.001), 경제수준(p<.05)으로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일상생활도움(p<.05)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해 차별경험 감소 및 장애인식개선, 보건의료 및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유형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

Pronunciation-based Listening Teaching

  • Lee, Kyung-Mi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0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83-300
    • /
    • 2000
  • This paper is intended to suggest how to improv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pronunciation in order to foster communicative effectiveness. Initially it is focused on the tasks of listening to the suprasegmental aspects. The strategies used in the listening process are (1)discerning intonation units, (2)recognizing rhythm pattern, and (3)identifying contraction and linking in connected speech. The tasks including in each process are listening discrimination, guided practice activity, and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y. The teacher should avoid methods which yield discouraging outcomes and try to help students enjoy experience of success in doing exercises and activities. So I suggested: students put the slash on the pause perceptible to chunk the stream of speech into the intonation units, and mark the content words to internalize English rhythm. And then I suggested that students listen to pop song English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function words and connected speech in the intonation unit.

  • PDF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and Aging Knowledge on the Elderly Discrimination Recognition Using the Empathy Ability)

  • 양정남;최은정;김화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한국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성차별의식 및 군대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Gender-role Identity, Gender Discriminative Consciousness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심미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는 317명의 대학생을 군필과 미필, 여성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군복무 경험과 군사 이데올로기가 한국 대학생들의 군대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정체감, 그리고 성차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군대와 성차별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군복무 경험은 성역할정체감이나 성차별의식을 강화하는데 보편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남성성이 강한 남성에게 군복무 경험은 남성성과 온정적 성차별의식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필보다는 군필과 여성 집단이 군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군복무 경험의 유무와 성차에 관계없이 군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이 여성에 대한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높았다. 넷째, 세 집단 모두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사이에 뚜렷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집단 간 상관에 유의한 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성차별의식은 군복무 경험을 통해 강화되기도 하지만 군대에 대한 이데올로기와도 관련 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다문화 사회의 위협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인과 거주 외국인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Threat Awareness of Multiculture Societ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oreans and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 정하나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2호
    • /
    • pp.83-112
    • /
    • 2016
  •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증가는 서구 이민 국가에서 볼 수 있었던 인종, 문화적 다양성이 한국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시행해왔다. 그러나 점차 이주민이 확대되고 세분화되면서 주류 집단인 한국인들과 함께 이주민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 사회가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화 되는 것을 위협으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있음에도 그동안의 연구는 반이주적정서에 대한 요인이 아닌 다문화 지향에만 초점을 맞춰온 경향이 적지 않아 위협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를 위협으로 인지하는데 있어 이주민과 한국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다문화 사회에 맞는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국민 정체성, 사회적 거리감, 차별인지 및 집단 편견으로 다문화 위협에 대한 한국인과 이주민의 인식지형을 파악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한국인과 이주민 사이의 인식차이는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른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 한국인의 다문화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접촉경험이었다. 접촉경험의 영향력이 높다는 것은 다문화 사회를 당연시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실제 이주민을 접하는 경험이 낮아 접촉이 강화되었을 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정책적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이주민들의 경우 자신들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고 편견이 강화될수록 다문화를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는 이들이 가진 이중정체성, 즉 한국인에 대해서는 외국인이지만 다른 외국인과 자신을 구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 한국 사회에서의 동화만이 대안이 아니며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 강화를 위한 진정한 다문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