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end-to-end delay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발바닥 부위 쿨링이 심부 체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oot Cooling on Body Temperature)

  • 박유진;김정훈;박지은;김지인;이종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32-236
    • /
    • 201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oot cooling on the reduction of body temperature after hard exercise at the high temperature of $40^{\circ}C$. We performed a total of 30 subjects, and the subjects performed treadmill exercise for 30 minutes. We produced the cooling device to cool the foot using Peltier module. After the end of the exercise, We performed normal recovery method and cooling recovery method(one foot, both feet) for 1 hour on the sam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nfirmed the change of body temperature of subjects. The results of deep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howed average $38.78{\pm}0.22^{\circ}C$ to $38.54{\pm}0.15^{\circ}C$ when the normal recovery method was performed. Cooling recovery method on one foot showed average $38.69{\pm}0.14^{\circ}C$ to average $38.06{\pm}0.17^{\circ}C$ and Cooling recovery method on both feet showed average $38.69{\pm}0.15^{\circ}C$ to average $37.84{\pm}0.21^{\circ}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recovery method and the one foot cooling recovery method(p <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recovery method and the both feet cooling recovery method(p < .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e foot cooling recovery method and the both feet cooling recovery method(p < .05). Body temperature showed the lowest decrease rate when the normal recovery method was performed, and body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decrease rate when the both feet cooling recovery method was performed. Therefore, recovery of cooling on the foot after hard exercise have decreased body temperature, delay fatigue in the body, and will be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athlete performance.

소규모 대화형 시스템을 위한 자바 가비지 콜렉션 (Java Garbage Collection for a Small Interactive System)

  • 권혜은;김상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2호
    • /
    • pp.957-965
    • /
    • 2002
  • CLDC는 가비지 콜렉션을 위해, 가비지 콜렉션이 필요한 시점에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스탑더 월드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길고 예측할 수 없는 지연시간으로 인하여 대화형 자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부적당하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 지연시간을 줄이고 대화형 환경을 지원하는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가비지 콜렉터는 객체의 크기에 따라 할당 위치를 결정하는 할당기와 점진적 마크-회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콜렉터로 구성된다. 가비지 콜렉터는 스레드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주기적으로 호출되며, 할당기는 콜렉션 주기 동안 마크된 상태의 객체를 할당한다. 또한 콜렉션 주기의 마지막에 비트 패턴의 의미를 교환하는 칼라토글방식을 사용한다. 제안한 가비지 콜렉터와 스탑더월드 마크-회수 가비지 콜렉터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이 비교 실험을 통해 평균 지연시간은 감소하고, 균일하고 낮은 응답시간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파워검출 기반의 분산형 TDM-PON MAC 프로토콜 (Decentralized TDM-PON MAC Protocol Based on Power Detection)

  • 이성근;김일래;이용원;이상록;정대광;황성택;오윤제;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B호
    • /
    • pp.83-8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OLT의 중앙집중 제어에 의한 대역폭 중재 없이 ONU간의 분산적인 동적 대역폭 할당을 이룰 수 있는 파워 검출 기반의 TDM-PON의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E-PON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DBA 방식과 달리, 제안된 방식은 하드웨어 기반의 파워 검출을 활용하여 동적 대역폭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며 비용효과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가입자 망의 성능 평가는 수식적 분석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트래픽 모델 환경에서 제안된 방식의 성능향상 정도를 기존 E-PON들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MANET에서 응용 서비스 데이터 유형에 따른 요구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On-Demand Routing Protocols for Application Services in MANET)

  • 장준영;이길섭;이승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7호
    • /
    • pp.871-878
    • /
    • 2004
  • 최근 MANET은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SR, AODV, TORA 등과 같은 요구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응용 서비스, 대역폭, 데이터 전송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응용 서비스 데이터는 센서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로 분류하였다. 실험은 OPNET을 사용하여 약 20개의 노드로 구성된 Ad-hoc 네트워크를 설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의 평가척도는 패킥 전송 성공률, 평균 종단 지연 미 라우팅 로드의 3가지로 하였으며, 실험 결과로서 응용 서비스 데이터 유형에 따라 최적의 요구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의 선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특성에 대한 재원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구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중 TORA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실험의 연구 결과는 대규모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Ad-hoc 라우팅 프로토콜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물간의 효율적인 연결을 위한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실험 평가 및 성능 향상 방법 (Experimental Evaluation and Flexible Performance Improvement of IoT Middleware for Efficient Connectivity)

  • 전수빈;이충산;한영탁;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9호
    • /
    • pp.385-396
    • /
    • 2017
  • IoT 환경에서 제한적인 디바이스들의 운영을 위한 많은 IoT 미들웨어들이 연구되었다. 우리는 센싱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의 통합적인 운영을 위한 IoT 미들웨어인 MinT를 제안하였다. MinT는 센싱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센서 추상화 계층, 완성도 높은 시스템 및 통신 계층을 지원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물들은 이기종 네트워크간의 유연한 연결 및 효율적인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다. MinT의 시스템 계층은 신속한 정보처리를 위해 스레드 풀을 사용한다. 하지만 고정 스레드 크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지연 및 비효율적인 베터리 소비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적으로 스레드 개수를 조정할 수 있는 향상된 스레드 풀 관리 방법을 제안 한다. 특히 수신되는 패킷 분석 및 처리, 재송신을 담당하는 Interaction Thread Pool그룹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평균 요청 처리율이 평균 25% 증가한 것을 입증하였다. 결국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MinT는 IoT 환경에서 전송 지연 및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과거민감도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공정 스케줄링 모델 (A Fair Scheduling Model Covering the History-Sensitiveness Spectrum)

  • 박경호;황호영;이창건;민상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5_6호
    • /
    • pp.249-256
    • /
    • 2007
  • 기존의 공정 스케줄링 방법들 중 GPS(generalized processor sharing)는 순간적 관점에서의 공정성을 추구하는 반면에, virtual clock은 장기적 관점에서의 공정성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차이가 과거의 서비스 정보를 추후의 스케줄링에 반영하는 정도에 있음에 주목하고, GPS와 virtual clock을 포괄하는 스펙트럼 형태의 스케줄링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각 응용의 자원 획득 권한은 예치권한이라는 값으로 표현되는데, 예치권한은 각 응용별로 미리 정해진 고유한 비율로 계속 증가하며, 서비스를 받으면 소비된다. 소비되지 않고 누적된 예치권한은 과거에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은 정도를 표현하는 값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응용의 스케줄링 가능성을 높이므로 이후의 서비스 지연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낸다. 예치권한을 주기적으로 감쇄시키면 과거 정보의 반영 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 때 그 감쇄 정도는 과거행태를 반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과거의 정보를 전혀 반영하지 않을 경우 GPS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모두 반영할 경우 virtual clock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스펙트럼 상에서는 평균지연시간과 장기적 공정성 사이에 절충 관계가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제시된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음향반향제거기에서 동시통화시의 끝점검출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Endpoint Detection of Double-Talking Period in the Acoustic Echo Canceller)

  • 김시호;권홍석;배건성;변경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A호
    • /
    • pp.58-65
    • /
    • 2002
  • 본 논문은 음향반향제거기에서 상관계수를 이용하영 동시통화(Double-Talk) 구간을 검출할 때 발생하는 끝점검출 지연 문제에 대하여 다룬다. 동시통화가 끝나는 지점과 같이 신호의 전력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구간에서 망각지수(Forgetting Factor0를 사용하여 전력을 추정할 경우, 추정된 현재 전력은 과거 전력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줄어들지 못하여 끝점검출 지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끝점검출 지연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일정 간격마다 새로운 평균 전력을 구해서 현재의 추정 전력으로 사용하는 방버이고, 다른 하나는 순환식에서 일정 구간마다 과거의 큰 전력 성분을 제거하거나 들는 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계산량에서는 큰 증가를 보이지 않으면서 끝점검출 성능에서는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인공강우기 기반 확률강우재현을 통한 식생유니트형 LID시스템의 우수유출지연 효과분석 (Analysis of Rainfall Runoff Delay Effect of Vegetation Unit-type LID System through Rainfall Simulator-based Probable Rainfall Recreation)

  • 김태한;박정현;최부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5-124
    • /
    • 2019
  • In a climate change environment where heat damage and drought occur during a rainy season such as in 2018, a vegetation-based LID system that enables disaster prevention as well as environment improvement is suggested in lieu of an installation-type LID system that is limited to the prevention of floods. However, the quantification of its performance as against construction cost is limit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xperiment environment and evaluation method on quantitative performance, which is required in order to disseminate the vegetation-based LID system. To this end, a 3rd quartile huff time distribution mass curve was generated for 20-year frequency, 60-minute probable rainfall of 68mm/hr in Cheonan, and effluent was analyzed by recreating artificial rainfall. In order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rainfall event simulator, 10 repeat tests were conducted at one-minute intervals for 20 minutes with minimum rainfall intensity of 22.29mm/hr and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140.69mm/hr from the calculated probable rainfall. Effective rainfall as against influent flow was 21.83mm/hr (sd=0.17~1.36, n=20) on average at the minimum rainfall intensity and 142.27mm/hr (sd=1.02~3.25, n=20) on average at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In artificial rainfall recreation experiments repeated for three times, the most frequent quartile was found to be the third quartile, which is around 40 minutes after beginning the experiment. The peak flow was observed 70 minutes after beginning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zone and after 50 minutes in the control zone. While the control zone recorded the maximum runoff intensity of 2.26mm/min(sd=0.25) 50 minutes after beginning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zone recorded the maximum runoff intensity of 0.77mm/min (sd=0.15) 70 minutes after beginning the experiment, which is 20 minutes later than the control zone. Also, the maximum runoff intensity of the experiment zone was 79.6%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zone, which confirmed that vegetation unit-type LID system had rainfall runoff reduction and delay effec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reliability of a lab-level rainfall simulator for monitoring the vegetation-based LID system was reviewed, and maximum runoff intensity reduction and runoff time delay were confirmed.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ed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design of the vegetation-based LID system for rainfall events on a location before construction.

교통량 측정 : CCTV를 이용한 주행 차량 조사법 (Traffic Measurement : Moving Vehicle Method Using CCTV)

  • 허문행;신성윤;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575-258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교통망의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는 주요 척도인 통행 시간과 지체 시간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통행 시간의 측정 방법 중 하나인 CCTV를 활용한 주행 차량 조사법을 이용하여 교통량을 측정한다. 신호등 간격이 넓어서 연속적인 교통류 특성을 갖는 곳에서 측정을 하도록 한다. 또한 반대편의 교통류가 충분히 식별 가능한 구간이어야 하고, 구간의 끝부분에서는 유턴이 가능해야 한다. 이 방법은 CCTV를 이용하므로 측정차량의 운전수만 있으면 된다. 또한 시간, 거리, 교통량을 기록할 수 있는 장비도 필요 없다.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장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교통량 외에 평균 통행 시간, 공간 평균 속도, 교통 밀도 등도 구할 수 있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AODV 기반 치대 비중첩 다중경로 라우팅 프로토콜 (A Maximally Disjoint Multipath Routing Protocol Based on AODV in Mobile Ad Hoc Networks)

  • 김중태;모상만;정일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29-436
    • /
    • 2005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는 어떤 고정 기반구조나 중앙 집중형 관리 구조를 갖지 않는 모바일 노드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AODV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는 MANET용 온디맨드(on-demand)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MANET 워킹 그룹에 제출된 기고문(Internet Draft)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대의 노드 비중첩 및 링크 비중첩을 제공하고, AODV 프로토콜은 물론 기존의 AODV 기반 다중경로 프로토콜보다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최대 비중첩 다중경로 AODV (MDAODV)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핵심 아이디어는 경로 요청(RREQ:Route REQuest) 메시지에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 주소 정보를 추가시켜 확장하는 것과 수신 노드가 일정 시간 동안 도착한 다수의 RREQ를 조사하여 2개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제안한 MDAODV 프로토콜은 기존 다중경로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높은 신뢰성과 우수한 견고성을 갖는 경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신 노드에서 경로를 결정하므로 중간 노드에서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성능평가 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MDAODV 프로토콜은 기존의 AODV 기반 다중경로 프로토콜보다 패킷 전달율과 평균 지연시간의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한 반면 라우팅 오버헤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