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xotrophic mutan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영양요구성 대장균 변이주를 이용한 L-트립토판 생산 (Production of L-Tryptophan by Auxotrophs Derived from Analogue- resistant Mutants of Escherichia coli)

  • Lee, In-Young;Kim, Jae-Hi;Kwak, Moo-Young;Lee, Hosull;Lee, Sun-Bo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07-412
    • /
    • 1988
  • 트립토판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장균 변이 주인 SB1007로부터 sulfanilamide 내성 균주를 유도하여 SA 3-39-16출 분리하고 이 균주로부터 tyrosine 영양요구주인 TY-90을 개발하였다. 시험관배양시 TY-90균주는 모균주보다 트립토판 생산량이 우수하였으나 발효조 배양시에는 모균주에 비해 낮은 양의 트립토판이 축적되었다. 발효조에서의 생산성 증대를 인해 또 다른 대장균 변이주인 SB2756으로부터 새로운 변이주의 개발을 모색하였다. 먼저 이중 영양요구성 균주인 SB2756의 revertant를 분리하여 그중 2,000mg/$\ell$ 농도의 $\beta$-thenylalanine에 내성을 갖는 TA-40-10을 분리하였고 이 균주로부터 phenylalanine 영향요구주인 TP-4를 개발하였다. 이 TP-4균주는 발효조에서 71시간 배양시 3.7g/$\ell$의 L-tryptophan을 생산하였다.

  • PDF

Fusarium of oxysporum의 원형질체 융합과 polygalacturonase의 활성 (Protoplast Fusion of Fusarium oxysporum and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 하경란;민병례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5-199
    • /
    • 1993
  • Fusarium oxysporum을 재료로 하여 polygalacturonase 활성능이 좋은 우량 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연변이주와 원형질체융합주를 선별하였다. MNNG를 처리하여 6개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유도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로는 driselase를 이용하고 삼투안정제로 0.6M KCI을 처리하여 돌연변이체로부터 원형질체를 얻었다. polyethyleneglycol 8,000과 $CaCl_2$를 이용하여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의 원형질체 사이에 융합을 시도하여 1개의 융합주를 얻었으며 융합률은 $5.0{\times}10^{-3}$이었다. polygalacturonase 활성도를 수정된 DNS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선별된 융합주와 돌연변이주의 polygalacturonase 활성은 모균주와 비교하여 약 1.5배에서 3.5배가량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mutant Fx-2가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우량균주개발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한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Isolation of Auxotrophic Mutants from Protoplasts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 유영복;죤 페버디;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78
    • /
    • 1985
  • 진균류의 균주개발과 유전연구에 필수적인 영양요구성 균주 선발을 위하여 느타리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월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형 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 생존을이$0.83{\sim}15%$일 때 가장 많은 영양 요구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2. 느타리에서 Arg, Gly Ser 그리고 Ala Orn Tyr 3균주와 사철느타리버섯에서 Ribo-1, Ribo-2, Phen, 그리고, Ade Hyp 4군주를 선발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Phen 균주는 back mutation 현상이 나타났다.

  • PDF

Brevibacterium sp. 로부터 유도된 PFP 내성 변이주에 의한 L-Tyrosine 생성 (Production of L-Tyrosine by PFP Resistant Mutant Induced from Brevibnrcterium sp.)

  • 배준태;박경숙;이별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28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L-tyrosine by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To select the strain which produce more L-tyrosine, mutants were induced by N-methyl-N'-nitro-nitrosoguanidine (NTG) treatment and phenylalanine auxotrophic mutants were induced by NTG and penicillin treatments. PFP resistant mutant was isolated from a phenylalanine auxotroph by retreatment with NTG and screened for increase of L-tyrosine production. PFP-326 mutant resistant to PPP (100ug/ml) was derived from phenylalanine auxotroph by mutagenesis with NTG and PFP-106 mutant resistant to PFP (1201g/ml) was derived from PFP-326 by mutagenesis with NTG. The composition of media for L-tyrosine production in strain PFP-106 was studied. PFP-106 mutant strain produced 50mg 11 of L-tyrosine while the parent strain produced 0.56mg 11 of L-tyrosine.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um for L-tyrosine by strain PFP-106 was 10cA sucrose as carbon source, 3% ammonium sulfate as nitrogen source. The optimum cultural condition for producing L-tyrosine by strain PFP-106 was L-phenylalanine at a concentration of 1000g/mg.

  • PDF

Construction of multiple mutant strains by mating procedures for the cloning of pmn and pmb genes encoding amino acid permeases in neurospora crassa

  • Han, Hyo-Young;Min, Ky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42-145
    • /
    • 1995
  • The pumb gene encoding a basic amino acid transport protein in Neurospora crassa could be cloned by using a mutant strain defective in pmb gene as a host strain, using a negative selection on the media containing amino acid analogue canavanine. To select positive transformants of the genes for cloning, an auxotrophic marker (his-2) was added to a pmb mutant strain by mating ; a triple mutant (pmn : pmb : his-2) was constructued by crossing a strain defective in basic amino acid transport system (# 1683-bat um 535 "A") to a double mutant strain defective in neutral amino acid transport and histidine production (mitrol : his-2 "a"). Crossing was performed on synthetic crossing (SC) media containing histidine. The pmn : pmb and pmn :pmb : his-2 strains were selected among the progeny colonies from crosses on plates containing 5- .mu.g/ml para-fluoro-phenylalanine (PFPA), 200 .mu.g/ml canavanine, and 500 .mu.g/ml histidine. The selected colonies were cultured on minimal media with or without histidine for discarding pmn : pmb strain, because the pmn : pmb : his -2 strain grows only on histidine containing media. The pmn :pmb : his-2 strain selected can be used as a host strain for the cloning of the pmb and the pmn genes from a Neurospora genomic library by means of positive selections.

  • PDF

Functional Analysis of a Histidine Auxotrophic Mutation in Gibberella zeae

  • Seo, Back-Won;Kim, Hee-Kyoung;Lee, Yin-Won;Yun, Su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51-56
    • /
    • 2007
  • A plant pathogenic fungus, Gibberella zeae (anamorph: Fusarium graminearum), not only generates economic losses by causing disease on cereal grains, but also leads to severe toxicosis in human and animals through the production of mycotoxins in infected plants. Here, we characterized a histidine auxotrophic mutant of G. zeae, designated Z43R1092, which was generated using a restriction enzyme-mediated integration (REMI) procedure. The mutant exhibited pleiotropic phenotypic changes, including a reduction in mycelial growth and virulence and loss of sexual reproduction. Outcrossing analysis confirmed that the histidine auxotrophy is linked to the insertional vector in Z43R1092. Molecular analysis showed that the histidine requirement of Z43R1092 is caused by a disruption of an open reading frame, designated GzHIS7. The deduced product of GzHIS7 encodes a putative enzyme with an N-terminal glutamine amidotransferase and a C-terminal cyclase domain, similar to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HIS7 required for histidine biosynthesis. The subsequent gene deletion and complementation analyses confirmed the functions of GzHIS7 in G. zea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istidine auxotrophy in G. zeae, an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orrect histidine biosynthesis is essential for virulence, as well as sexual development, in G. zeae. In addition, our results could provide a G. zeae histidine auxotroph as a recipient strain for genetic transformation using this new selectable marker.

Monascus anka로부터 황색소 생성 변이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ing mutants of Monascus anka.)

  • 이호재;이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5
    • /
    • 2002
  • 천연 황색소 생산을 위하여 Monascus anka Nakazawa et Sato IFO 4478(KCCM l1832 strain) 균주를 모균주로 하여 UV 조사 및 NT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처리 및 이들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모균주와는 색소생성 특성이 다르게 황색소를 단일성분으로 생성하는 변이주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leucine, cyste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와 asparagine 등 5종의 아미노산에 대한 영양요구주를 분리하였고 이중 asparagine 영양요구주 Y7은 colony 형태와 균사의 직경에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전형적인 Monascus 균주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유성생식에 의한 번식 특성이 강하여 색소 생성에 유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Y7은 밝은 색조의 황색소를 단일 성분으로 생성하며 10대 이상의 계대배양에서도 색소 생성 특성이 안정하였고 색소 생성량이 모균주보다 약 2.2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때 생성된 황색소는 373 nm에서 단일 흡수 peak를 나타내고 물, 에탄올 등 극성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며 생성된 색소의 대부분이 균체 밖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Bacillus thuringiensis 의 Temperature-sensitive Mutants 분리와 특성 연구 (Growth Patterns of Temperature-sensitive Mutants of Bacillus Thuringiensis)

  • Lee, Hyung-Hoan;Lee, Hoon-K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239
    • /
    • 1983
  • Bacillus thuringiensis 3ab K- 3 균주를 28$^{\circ}C$에서 UV광으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다음에 42$^{\circ}C$에서 24개의 Temperature-sensitive(ts)돌연변이 균주를 분리하여 42$^{\circ}C$에서의 성장과 항생제 저항성에 대한 성격을 연구하였다. 24개의 ts 돌연변이 균주중에 13개의 ts돌연변이체는 42$^{\circ}C$의 제한온도에서 전혀 성장을 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11개의 돌연변이체는 성장이 28$^{\circ}C$에서 보다 1/2 에서 1/4까지 감축되었다. 이러한 성격에 따라서 ts돌연변이체는 치사군과 비 치사군으로 나눌수 있었다. 또한 B. thuringiensis SI K-2을 nitrosoguanidine으로 28$^{\circ}C$에서 처리하여 7개의 Auxotrophic mutant을 분리하였다. A-N28은 Arg$^{-}$ . Gly$^{-}$ , Leu$^{-}$ , Met$^{-}$ , Ser$^{-}$ , Val$^{-}$ 을 요구했고, A-N 65는 Ala $^{-}$ , Gly$^{-}$ , Leu$^{-}$ , Met$^{-}$ , Ser$^{-}$ , Val$^{-}$ 을 요구했으며 A-N 92는 Gly$^{-}$ , Leu$^{-}$ , Met$^{-}$ 을, A-N115는 7개의 아미노산을 A-N156은 8개를 요구했다. B. thuringiensis 3ab K-3와 SI K-2 는 Penicillin, Ampicillin과 Cephalothin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ts-U171, A-N92와 A-N115는 이 세항생제에 민감성을 나타냈다. Temperature - sensitive돌연변이균주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후에 28$^{\circ}C$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

  • PDF

사철느타리버섯 형질전환주(形質轉換珠)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nts in Pleurotus florida)

  • 변명옥;김경수;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2-228
    • /
    • 1992
  • 사철 느타리버섯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를 팽이버섯 leu 2 유전자를 지닌 pM 301 백터를 이용(利用)하여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을 보완(補完) 시킴으로써 형질전환(形質轉換) 하였다. 형질전환균주(形質轉換菌株)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버섯 완전배지(完全培地)나 버섯 최소(最小) 배지(培地)에서 비교(比較)하였다.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1 핵(核) 균사(菌絲)와 교배(交配)후 자실체(子實體) 형태(形態)를 비교(比較)하고 포자 분석(分析)에 의하여 유전분석(分析)을 하였다. 자실체(子實體) 발생(發生)과 자실체(子實體) 모양이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모균주와 다른 특성(特性)이 나타났다. 모균주(母菌株)는 교배형(交配型)이 $A_1B_1$으로 $A_2B_1$ 교배형(交配型)인 1핵(核) 균주(菌株)와 교배(交配)에 의하여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지 못하나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교배형(交配型)이 $A_1B_1$이고 $A_2B_1$ 1핵(核) 균주(菌株)와 교배(交配) 하였을때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온천수로부터 분리한 항진균세균의 특성 및 감마선$(Co^{60})$ 조사를 이용한 돌연변이체 유기 (Characteristics of Antifungal Bacterium, Bacillus subtilis YS1 and It′s Mutant Induced by Gamma Radiation)

  • 이영근;김재성;송인근;정혜영;장화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5-311
    • /
    • 2001
  •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하기 위하여 온천수로부터 1종의 동물병원성 진균과 12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고온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YS1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의 감마선($Co^{60}$)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 $D_{10}$ value는 2.08 kGy로 20 kGy 의 방사선량에서도 생존 가능한 방사선 저항성 균주였다.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5종의 돌연변이체를 유기하였으며, 이 중 B. subtilis YS1-1009 돌연변이체는 Botryoshaeria dothide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의 증가 및 4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이 감소하는 종특이적 항진균 활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용농약인 tebuconazole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17종의 다른 농약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야생형 균주에 비해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B. subtilis YS1-1006 돌연변이체는 copper hydroxide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YS67 돌연변이체는 항진균 활성이 소실된 tryptophan 및 proline 또는 uracil 및 arginine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극한 환경에서 분리한 본 분리균주는 환경친화적으로 진균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으며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체 유기는 기능성 균주의 개량이나 작용기작 연구를 위한 돌연변이체의 획득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