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umn cutt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국화 '신마'의 플러그 삽목시 삽수조건이 발근 및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Growth of Cut Flower in Plug Cutt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Shinma')

  • 노용승;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4-250
    • /
    • 2010
  • 본 연구는 국화 '신마'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서 삽수의 조건이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잎을 전부 제거한 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고, 전혀 발근이 안 되었다. 잎을 4~6개를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지상부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었다. 삽수길이는 5~7 cm 처리에서 지상부의 무게가 무거웠으며, 발근에 있어서는 다른 처리에 비하여 5 cm 처리에서 뿌리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뿌리수가 가장 많았다. 삽수 굵기가 굵을수록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4~6개인 처리에서 절화장이 길었으며, 줄기의 굵기도 컸다. 삽수의 굵기가 3.2 mm 처리에서 절화장이 가장 길었다. 따라서 국화 '신마' 플러그 묘 생산시 삽수의 굵기가 3.2 mm 정도의 5 cm 길이의 삽수에 4장의 잎을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묘의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고, 정식 후 절화의 생육에도 적합하였다.

혼파초지의 이용방법 비교시험 II. 방목 및 예취이용이 목초의 품질과 토양경도에 미치는 영향 (Trials of the Utilization Method in Mixtures Swards II. Effects of gras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foragequality and soil hardness)

  • 신재순;이필상;박근제;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6-101
    • /
    • 1990
  • This field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effect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forage quality and soil hardness at different legumes sown swards of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August 1985 to October 1988.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under grazing were higher than these under cutting, but showed the reverse results in crude fiber and nitrogen free extracts contents. Averag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under grazing (72 %)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under cutting (71 %).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the mixtures swards in mineral contents and IVDMD. 2. The contents of Ca, P and Mg were a little high in the cutting, but K and Na contents were in gazing. Ca: P ratio in grazing (2.97)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utting (2.94). 3. Production of energies(TDN, StE and NEL) with cutting were appeard to increase by 19.4 %, 13.5 %and 19.0 % than those of grazing, respectively. Mixtures swards including alfalfa showed more production both grazing and cutting. 4. Soil hardness in the top lOcm of soil by cattle grazing was changed from 15.5mm at startihg year to 22.6 mm after 3 years, but in cutting slightly increase from 15.5mm to 16.2mm. Generally it was low in early spring and high in autumn.

  • PDF

추잠기 중간벌채시기 및 잔조에서의 적엽정도가 뽕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to the Yields with the Intermediate Cutting Periods of Mulberry Branch and at the Picking Levels of Leaf Remains in Autumn)

  • 김문협;김호락;최하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94
    • /
    • 1971
  • 적기의 조상중간벌채시기 및 잔조에서의 적엽정도가 재발아와 선단고사, 수량 및 아고병등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상의 중간벌채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재발아 조수가 감소하는 것이며 또 잔조에 잔엽을 많이 할수록 재발아조수가 적어질뿐만아니라 재발아엽수도 적어지는데 잔엽은 잔조의 상부에 하여야만 재발아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이니 실용적으로는 3∼5 엽정도의 잔엽이 유리할 것 같다. 3∼5엽정도 잔엽을 하고 9월 20일 이후벌채를 하면 재발아조수가 격감한다. 2. 벌채후의 잔조에서 전적엽을 하면 지조의 선단고사비율이 매우 높고 상반부적엽구도 그외의 다른구들보다 약간 많은 것 같으며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전적엽구를 제외한 다른구에서는 별로 차가 없는 것 같지만 전적엽구만은 9월 15일 벌채구가 특히 높으니 이것은 전적엽으로 인한 지조의 불윤실과 이때의 온도조건이 아지병균의 기생에 호적하였다는 것이 그 원인인 것 같다. 3. 수량과의 관계를 보면 추잠기는 벌채시기에 따라서는 별로 차가 없지만 잔조에시의 적엽양이 많아질수록 전수량이 많아진다. 춘잠기수량은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는 벌채시기의 여하에 불구하고 가장 적으며 무적엽구를 제외한 그 외의 각구에서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수량이 발은 반면에 이보다 이르거나 늦은 경우에는 수량이 적어진다. 또 적엽각구는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무적엽구보다 적으니 추기에 있어서의 적엽이 익춘기의 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춘추합계수량에 있어서는 무적엽구와 전적엽구보다 그 외의 각구가 수량이 많으며 그 중에서도 9월 15일과 9월 20일 벌채구가 특히 많고 잔엽정도에 따르는 차는 별로 없는 것 같다. 이것을 종합해 볼때에 연간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9월 15일∼20일경에 중간벌채수확을 한후 그잔조에 3∼5 엽잔엽을 하는 방법이며 9월 5일∼10일 벌채구도 무적엽구나 그 이후의 벌채구와 별로 차가 없다. 4. 잔조에 발생하는 병은 아고병 가장 심하고 맛사리아병과 동고병도 약간 발생하였으며 아고병은 전적엽구에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고 시기적으로는 9월 15일구에서 지수 92.9, 9월 20 일구에서는 지수 100으로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상반부적엽구에서도 상당히 발생하였고 무적엽구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5. 재발아비율 및 평균재발아엽수와 익춘잠기 수량과의 사이에는 각각 상관계수 r=-0.42, r=-0.27로서 부외 상관을 가지고 있으나 깊은 상관관계는 없으며 선단고사비율 및 아고병발생비율과 익춘잠기수량과의 사이에는 거의 상관이 없다. 아고병발생비율과 선단고사비율과의 사이에는 상관계수 r=+0.8로서 깊은 정의 상관이 있다.

  • PDF

호맥.Sorghum-sudangrass 및 연맥 사료작물의 젖소 방목이용에 관한 연구 (Grazing Utilization of Winter Rye , Sorghum-sudangrass and Oat for Dairy Cattle)

  • 김정갑;한민수;김건엽;진현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2-197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azing performance of dairy cattle for winter rye,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oat including of rape in Hwa seong-gun, Kyeonggido, from 1993 to 1994. Each crops were utilized from the stage of 8-leaves to late blooming for sorghum-sudangrass, and from final leaves to soft dough for winter rye and oat plant. Under three different cropping system of winter rye-sorghum x sudangrass, spring oat-sorghum X sudangrass-autumn oat, and silage corn-autumn oat, a succeshl hehage production was available for grazing performance from April 26 to December 15, continuously. Annual dry matter yields for grazing allowance were 26.1 tontha in average of all cropping system. Autumn oat rnixtured with rape showed the highest herbage utilization with 91.6% grazing intensity and the lowest in sorghum-sudangrass with a value of 60.6- 69.1 %. Labor investment for herbage production were 805 hour in the cutting management and 339 hour per hectar in the grazing utilization.

  • PDF

Tall fescue 품종의 환경적응성 V. 가을철 예취시기가 2번초의 개체중과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all Fescue varieties in Mauntainous pastures V. Effect of Final cutting time in autumn on the dry Weight ofplant ( DW ) and yield components of the 2nd growth)

  • 이주삼;신영재;박훈정;한성윤;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6-81
    • /
    • 1994
  • 대관령 지역에서 Tall fescue 9개 품종을 공시하여 가을철 예취시기에 따른 2번초의 수량구성 요소와 개체중의 변화를 검토하여 이 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여고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번초에서 개체당 경수가 많은 품종(Barcel, Forager)이 개체중도 무거워서 이지역의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라고 생각되었다. 2. 가을철 예취시기에 따른 2번초의 개체당 경수는 개체중과 0.1%의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냈으나 1경중은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3. 2번초의 편균 개체중이 최대에 도달하는 가을철 예취시기는 $C_3$(10월28일)으로 추정되었다. 4. 2번초의 평균 개체중은 1번초의 평균 개체중과 반비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추기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rvest Methods for the Branch-rearing in Autumn)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1974
  • 추기에 있어서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초추잠기에는 누애의 사육양에 따라서 왜소지 또는 정상지조를 1∼2본간벌수확을 하거나 지조하부에서 일부적엽수확을 하는 것이 좋다. (1) 4영기에 있어서는 왜소지간벌, 정상지조의 일부간벌 또는 중간벌채, 지조하부에서의 적엽 등 어떤 방법이나 수양에는 별 영향이 없기 때문에, 엽임, 노력관계들을 참작하여 이들 방법으로 수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3) 5영기에는 수량도 적지 않고 노력이 적게드는 수확방법, 즉 뽕밭의 한쪽부터 차례로 각주의 지조전부를 중간벌채수확 해가는 방법으로 수확을 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다. (4) 추잠기 또는 만추잠기에 가지뽕으로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의 잔조에서 적엽을 할 때에는 여름베기를 한 뽕나무나 봄베기를 한 뽕나무나 가리지 않고 노력이 덜 들고 간편한 훑어 따기로 하여도 무방하다.

  • PDF

전주 마전유적 출토 목관재의 수종식별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Ma-Jeon Relic in Jeonju, Korea)

  • 박원규;윤두형;박수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12-20
    • /
    • 2006
  • 전주 마전 유적에서 출토된 회곽묘 1기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 식별과 연륜연대 분석을 하였다. 수종 식별 결과, 관재는 모두 소나무속중 소나무류 (적송류)로 동정되었다. 7개의 관재로부터 총 24점의 관편에 대한 연륜연대 분석결과, 6개에 대한 연대를 부여할 수 있었다. 횡대에 쓰인 관재는 수피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마지막 나이테가 만재까지 완전히 형성되어 있어 1637년 가을에서 1638년 봄 사이에 벌채된 목재로 관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벌채후 건조, 저장 기간으로 인하여 연륜연대와 관의 제작 및 매장 연도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한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분류 (Classification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by the Dry Weight of Plant per pelative Tiller Appearnce pates ( DW/RTAR ))

  • 이주삼;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1
    • /
    • 1991
  • Perennial ryegrass 유식물체의 가을철 생육과 1변초의 개처중 및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월동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질을 션발하고 품종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1. 1 번초의 척체중은 유식물체의 개체당 경수와 유의힌 정상관을, 초세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1번초의 개체중은 출수경중, 개체당경수, 영양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대경수출현솔이 낮은 품종은 가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으며 상대경수출현율이 높은품종은 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은 특성을 나다내었다. 4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1번초의 개체중, 초장, 출수정중, 개체당 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다. 5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2품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즉,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1.0 이 상의 품종에는 7 개 품종이, 1. 0 미만의 품종에는 9 개품종이 포함되었다. 6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분류된 품 종군에서는 수량구성요소의 차이가 인정되었다.7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월동성을 나타내는 유효한 형질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승용식 뽕수확기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the Riding-type Mulberry Harvester)

  • 최영철;임수호;안장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2
    • /
    • 1998
  • The study aimed at development of a riding-type mulberry harvester for mechanical harvest. A riding-type mulberry harvester has been developed to harvest on sloped land with a higher efficiency. It has been implemented over a period of 2 years from 1996 to 1997. The result is as follows. It moves on carterpillar with a level adjusting system. It reduced only from 14.6 hrs to 0.9hrs/10a for cutting in a range of 25 to 80 cm high and possibly used for both spring and autumn. It reduced only the labor requirements of mulberry harvesting by 94 percent, as compared to that of the manual harvest. All related processes, cutting, binding and loading are simultaneously done by this harvester and totally it can reduce 96 percent of the labor requirements, as compared to 20.4 hrs/10a of the manual harvest. The machine compared to improved mulberry harvest efficiency with 11.11a per hour by about 23 times as compared to 0.49a per hour manpower. Co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iding-type mulberry harvester saved overall cost by 66 percent from 980,000 won per ha manpower to 330,000 won per ha.

  • PDF

추기 중간벌채수확 뽕나무의 아고병방제에 관할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 of Bud Bright of Mulberry Tree when Intermediate-Cutting Harvest in Autumn)

  • 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9
    • /
    • 1974
  • 본 시험은 추기 중간벌채 뽕밭에 심하게 발생하는 뽕나무 전염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실시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방제 가. 1972년도 시험결과 1) 17개 약제 중 균사저지효과, 절교접종법에 의한 약효, 약제의 살균력 등이 가장 컸던 약제는 PTA-B, Benlate 등이었다. 2) Topsin-M, 생장조절제 등은 균사저지효과가 없었다. 9) 약제의 효과는 경시적으로 적어졌으며 PTA-B, Benlate는 처리 15일 후에도 50%의 약효가 지적되었다. 4) 포장시험결과 Benlate, PTA-B+Apion, Apion, PTA-B등이 효과가 좋았다. 5) 약제살포시기간에는 차이가 었었으나 큰 의의가 없었다. 나. 1973년도 시험결과 1) 10개 약제 중 균사저지효과는 RH 893, Benlate+TMTD. TMTD, Benlate, Benla+Topsin-M 순으로 좋았다. 2) 절교접종법에 의한 약효는 Benlate, Benlate+Kinondu. Benlate+Topsin-M, Topsin-M 순으로 좋았다. 3) 서울, 춘천, 부산 3개소의 포장시험결과 Benlate. Topsin-M Apion. TMTB, Benlate+Topsin-M, Benlate+TMTD, Benlate+Apion 등이 효과적이었다. 4) 중간벌채당일, 중간벌채 후 3일, 6일, 10일의 약제철포효과는 대체로 차가 없었다. 2. 생태방제 10월 15일 이후 뽕나무 상단부 1∼2아를 재절단했을 때 아교병의 방제효과는 약제방제효과보다 컸다. 3. 약제방제와 생태방제의 경제분석 1ha당 생태방제비를 100으로 했을 때 약제방제비는 분무기의 종류에 따라서 159∼254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