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processing

검색결과 2,230건 처리시간 0.026초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Automatic Generation of Network Management Program)

  • 이명진;김은희;신문선;이응재;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933-940
    • /
    • 2005
  • 초고속 통신망의 등장으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및 호스트들에 대한 관리 역시 복잡해지고 중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SNMP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네트워크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확장 및 효율성 측면에서 네트워크 부하의 증가, 네트워크 관리 범위의 한계 등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객체를 관리하는 정보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지금까지는 거의 네트워크 개발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며 그로 인한 네트워즈 개발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자동 생성해 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장비와 함께 제공되는 MIB 데이터와 SNMP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아울러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생성된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NMP 네트워크 구성확장을 용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기간 단축과 유지 보수에서의 에러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복부 CT 영상에서 비장의 웨이브 형태를 이용한 비장 비대의 자동 진단 (Computer-Aided Diagnosis of Splenic Enlargement Using Wave Pattern of Spleen in Abdominal CT Images)

  • 성원;박종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53-560
    • /
    • 2005
  • 일반적으로 간경변에 동반된 비장은 비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간경변을 보유한 환자의 복부 CT 영상을 이용하여 비장의 웨이브 패턴(wave patten)을 관찰하였는데 정상간을 보유한 사람의 복부 CT 영상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간경변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복부 CT 영상에서 비장은 왼쪽 측면에 깊은 웨이브 부분이 존재하였다. 정상간의 경우에도 왼쪽 측면에 웨이브가 존재하기도 하나 깊이가 깊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간경변을 가진 비장의 웨이브 부분들의 면적의 합이 정상간을 가진 비장의 웨이브 면적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간경변을 보유한 영상에서 비장의 웨이브 부분을 추출하여 원형성(circularity)을 살펴보았을 때 정상간에 수반된 비장의 웨이브 부분보다 더 원형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이 관찰된 원리를 바탕으로 복부 CT 영상에서 비장의 웨이브 패턴을 이용하여 비장 비대를 효과적으로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히 비장의 크기만을 이용하지 않고 비장의 형태 변화로써 국소적 비장 비대를 자동 판정해 낼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MDA를 적용한 웹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A Web Service Development Process with MDA Applied)

  • 윤홍란;박재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4호
    • /
    • pp.583-588
    • /
    • 2005
  • 최근 XML표준기술을 활용한 웹서비스는 기업내 및 기업간의 정보시스템을 통합하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차세대 e-비즈니스의 기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보기술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특정 기술에 기반한 시스템을 정보 기술 변화에 맞게 통합, 변화, 유지하는 것은 지속적인 문제로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OMG는 MDA(Model Driven Architecture)라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하였다. MDA는 기존의 개발 절차에서 분석모델인 플랫폼 독립적인 모델(PIM, Platform Independent Model)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모델인 플랫폼 종속적인 모델(PSM, Platform Specific Model)로 자동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가진다. 이러한 자동 변환을 통해 여러 플랫폼을 쉽게 지원하고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코드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개발 프로세스의 측면에서도 품질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 MDA의 개발 프로세스를 웹서비스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면 MDA의 PIM에서 목표플랫폼으로 웹서비스를 선택하고 웹서비스 모델인 WSDL로 PSM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비스 공급자와 요청자가 웹서비스를 개발하거나 통합할때의 절차를 분류하여 웹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유형을 만들고 웹서비스 개발시 MDA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웹서비스공급자와 요청자가 참조가능한 새로운 웹서비스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네트워크 생존성을 고려한 선박 통신망(SAN)의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중복 전송 프로토콜의 설계 (Design of Dual Network Topology and Redundant Transmitting Protocol for High Survivability of Ship Area Network (SAN))

  • 손치원;신정화;정민영;문경덕;박준희;이광일;탁성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1호
    • /
    • pp.119-128
    • /
    • 2010
  • 지능형 선박(Smart Ship)에 탑재되는 정보화 장비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 국내외 조선 산업계 동향에 따라, 이들 장비를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선박 백본 네트워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박 백본 네트워크는 자동화 및 무인화 특징을 가지는 지능형 선박에 구축된다는 점에서 고수준의 생존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축 환경의 특수성과 네트워크 생존성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선박 운용을 제공하는 고생존 선박 통신망(SAN : Ship Area Network)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선박의 정보화 장비를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이 이중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 환경에서 최소의 중복 전송을 통해 최대의 생존성 성능을 나타내는 효율적인 중복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토폴로지 및 프로토콜이 적용된 새로운 선박 통신망의 성능을 그래프 이론, 확률 이론, 구현 명세,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사용자 중심적 GI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시계열적 원격탐사 영상의 변화탐지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 Using Time Seriate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s with User Friendly GIS Interface)

  • 양인태;한성만;윤희천;김흥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1-159
    • /
    • 2004
  • 현대사회는 인간 활동 범위의 다양함과 영역확대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로 자연환경의 파괴와 천연자원의 고갈이라는 문제에 봉착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 계획을 위해서 광범위한 토지이용에 따른 변화를 신속하고 정화하게 탐지할 수 있는 변화탐지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영상의 변화탐지를 실시하기 위해 지형공간정보 시스템이 갖고 있는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변화탐지 알고리즘과 검색, 질의 및 분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하여 파일변환, 그리드연산, 통계계산, 디스플레이, 검색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다중시기의 위성영상에 대한 변화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었으며, 네 시기에 대한 통합된 변화영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토지피복에 대한 년도별 변천 내용을 질의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정지역의 토지피복에 대한 변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변화탐지 수행을 위한 개개 응용프로그램의 각 모듈을 윈도우 기반의 Visual Basic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 제공과 자동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 모자이크를 위한 NDVI 특성을 이용한 접합선 추출 기법 (A Seamline Extraction Techniqu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NDVI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Mosaics)

  • 김지영;채태병;변영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95-408
    • /
    • 2015
  • 고해상도 위성영상 모자이크는 두 장 이상의 위성영상을 공간적으로 합성하여 보다 넓은 단일 영상을 만드는 영상 처리 과정으로 원격탐사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모자이크 작업 시 요구되는 접합선 자동 추출기법과 이를 기반으로 한 모자이크 영상 제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용량인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접합선 추출하기 위해서, NDVI의 특성을 활용하여 빠르게 경계선을 추출하는 NDVI 기반 접합선 추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NDVI는 식생의 분포량 및 활동성을 나타내는 정규화 식생지수로 이를 활용하여 인공지역과 자연지역을 분리하여 초기 접합선을 추출하였다. Canny 에지 연산자를 적용하여 비용범위이미지를 생성하고, 초기 접합선을 기준으로 버퍼링 기법을 사용하여 범위 비용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접합선을 추출하고, 획득시기가 다른 인접영상간의 방사 왜곡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토그램 매칭을 수행하였다. KOMPSAT-2/3 위성영상을 이용한 실험결과, 두 영상의 기하학적 차이로 인한 시각적 불연속 특징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접합선 추출시 소요되는 연산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안 영상의 입체 자유시점 Tour-Into-Picture (Stereoscopic Free-viewpoint Tour-Into-Picture Generation from a Single Image)

  • 김제동;이광훈;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63-172
    • /
    • 2010
  • 자유시점 비디오는 원하는 시점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보는 능동형 비디오이다. 이 기술은 박물관 투어,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시점 비디오의 새로운 분야로 가상 카메라와 깊이맵을 이용하여 한 장의 영상 내부를 항해하는 입체 자유시점 Tour-Into-Picture (TIP)을 제안한다. 오래전부터 TIP가 연구되어 왔는데, 이 분야는 한 장의 단안 사진 내부를 항해하면서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제안 방법은 전경 마스크, 배경영상, 및 깊이맵을 반자동 방법으로 구한다. 다음에는 영상 내부를 항해하면서 입체 원근투영 영상들을 획득한다. 배경영상과 전경객체의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카메라의 3차원 공간이동, 요/피치/롤링 등의 회전, 룩어라운드, 줌 등의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여 입체 자유시점 비디오를 구현한다. 원근투영은 직교투형보다 우수한 입체감을 전달하며,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텍스쳐의 3D 데이터를 직접 원근투영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켰다. 소프트웨어는 MFC Visual C++ 및 OpenGL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실험영상으로 신윤복의 단오풍정을 사용하여 고전화의 입체 자유시점 비디오를 시청이 가능하다.

ESL 생산공정에 따른 시유 유래 미생물의 분포 비교 연구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 Isolated from Market Milk Treated with ESL and Conventional System)

  • 김응률;정병문;유병희;정후길;강국희;전호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32
    • /
    • 2003
  • 본 연구는 ESL 우유와 시중 4개 회사의 일반 시유 제품의 보존 검사에서 분리되어 1차적으로 선별된 364 균주에 대해서 균주 분류를 통하여 우유의 저장온도와 기간 중의 우유내 우세균을 확인하고 ESL 우유와 기타 일반 시유의 미생물 균종별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364 균주의 분리원에 따른 분류에서는 ESL 우유가 가장 낮은 검출 균주수를 나타냈다. 전체 분리된 미생물 균주의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과 Staphylococcus 계통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Lactobacillus 계통을 제외하고는 매우 다양한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가공처리법에 따른 분리균종을 비교해 보면, LTLT 살균유의 경우에는 내열성이 강한 Enterococcus 계통의 균종이 특이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UHT 살균유 중에서 ESL 우유에 비해서 기타 일반 시유에서는 Pseudomonas 계통의 저온성 미생물 균종이 많이 검출되었다. 보존온도별 균종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은 보존온도가 높을수록 검출빈도가 높았으며, Pseudomonas와 같은 저온성 계통은 $10^{\circ}C$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기초동정 결과와 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를 비교한 결과, 기초 동정법에 의한 균종의 분류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ESL우유와 일반우유의 미생물 균종 분포를 비교해 볼 때, 살균후 포장과정에서 2차적으로 오염될 확률이 높은 Pseudomonas 계통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Pseudomonas 계통의 미생물은 냉장 유통에서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SL 우유가 유통 중 제품의 품질 향상과 수명 연장이 되는 것은 미생물 오염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신호평균 P파 분석 (Signal-Averaged P Wave Analysis in Patients with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 김인영;이종연;이병채;이용희;이종민;김선일;김준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2
  • 심방세동은 가장 많이 나타나는 부정맥으로.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심방세동이 발작성으로 발생하는 경우 단시간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진단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심실세동 등의 진단에 이용되는 신호평균 심전도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심방세동의 징후가 있는 환자는 초기에 심방에서 심근의 전기전도가 지연된다는 이론을 근거로 심전도 P파의 길이를 진단의 기준으로 하였다. p파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필터와 차단주파수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p파의 시작과 끝점을 판단하는 여러 방법을 시도하였다. 분석 방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으로 P파 길이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서 발작성 심방세동 이외의 병력이 없는 환자 38명과 정상인 32명을 대상으로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30 Hz 차주파수를 가지는 LMS 필터를 사용하고. 절대치 8.75 $\mu N$를 기준으로 P파의 시작과 끝점을 측정하여 P파 길이를 계산할 때가 가장 높은 발작성 심방세동의 예측도를 가졌다. 또한 발작성 심방세동의 진단을 위한 가장 적합한 판별 값을 구하기 위하여 수신 동작 특성 곡선을 이용한 결과. 의사결정의 판별 값을 112 ms로 하는 경우 진단의 민감도 88 %. 특이도 64.4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합성 PC부재에 의한 그린 프레임의 철근물량 산출 자동화 알고리즘 (Automatic Algorithms of Rebar Quantity Take-Off of Green Frame by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mbers)

  • 이성호;김선형;이군재;김선국;주진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18-128
    • /
    • 2012
  • 1980년대 이후 국내 아파트에서 적용되어온 벽식구조는 리모델링 시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켜 정부에서는 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무량판 및 라멘구조를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골조의 문제점을 개선한 친환경 라멘조인 그린 프레임이 개발되어 구조적 안전성 뿐 아니라 시공성, 친환경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린프레임의 경우 설계단계에서 작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부재 정보를 이용하여 물량 산출 및 철근 가공도(bar bending schedule) 등을 자동으로 작성하면 인력저감 뿐 아니라 철근 손율(loss)을 줄이는 철근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성 PC부재에 의해 설계된 그린 프레임의 철근물량 산출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철근물량 산출자동화 알고리즘은 구조 설계정보, 시방정보, 합성PC의 철골정보 등을 이용하여 작성한 후 사례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증명한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해 저장된 정보는 철근가공조립도, 철근 재단 리스트(bar cutting list)작성 자동화 뿐 아니라 철근 손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합과 주문물량 산출 자동화에도 활용될 것이다. 또한 공사관리인력 저감 뿐 아니라 철근 손율 최소화 관리에 따른 공사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