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entication system

검색결과 1,661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Challenge-Response 인증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with a Smartphone)

  • 논 싸이라난;요브네 탄 잉 후이;김태용;이훈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87-190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n one-time authentication system for web applications by making use of the quick-response code, which is widely used nowadays. The process is not time-consuming. It does not require any browser extensions or specific hardware to complete a task. The system uses QR code which is basically a two-dimensional black and white image encoding a piece of digital information. When a user logs into a site, the web server will generate a challenge encoded to form a QR code. The user captures a picture of QR code with a mobile camera which results in decoding the QR code. The challenge shall be sent back to the server; the web server then logs the PC browser in. The authentication using Challenge-Response is easy to understand and the process is fast. The system proposes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and security of online authentication.

  • PDF

Biometric verified authentication of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 Jayasri Kotti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13-122
    • /
    • 2023
  • Biometric authentication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modern-day security systems, especially in financial institutions like banks. A face recognition-based ATM is a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that uses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to verify the identity of bank account holders during ATM transactions. This technology offers a secure and conven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ATM transactions that rely on PIN numbers for verification. The proposed system captures users' pictures and compares it with the stored image in the bank's database to authenticate the transaction. The technology also offers additional benefits such as reducing the risk of fraud and theft, as well as speeding up the transaction process. However, privacy and data security concerns remain, and it is important for the banking sector to instrument solid security actions to protect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captures the user's facial image using a camera and performs pre-processing, including face detection and alignment. In the second stag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ompare the pre-processed image with the stored image in the database. Th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using face recognition for ATM authentication, which can enhance the security of ATMs and reduce the risk of fraud.

포트레벨 보안을 위한 인증 프록시 시스템의 성능분석 (Performance of an Authentication Proxy for Port Based Security Systems)

  • 이동현;이현우;정해원;윤종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8B호
    • /
    • pp.730-7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EEE802.1x 모듈이 탑재된 액세스 포인트에 사용자 인증 캐시테이블을 추가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가 인증서버를 대신하여 사용자 인증처리를 하는 기능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IEEE802.1x 시스템 환경에서는 반드시 인증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인증서버의 사용자 인증처리 완료 후, 액세스 포인트의 물리적 포트 사용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을 때까지 대기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식은 인증서버의 사용자 인증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의 사용자인증 캐시테이블 목록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가 인증서버를 대신하여 사용자 인증처리 및 액세스 포인트의 물리적 포트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인증관련 데이터 트래픽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인증서버의 사용자 인증처리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용 캐시테이블을 운영자가 관리모드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직접 구성할 경우에는 인증서버 구축에 대한 비용의 추가부담이 없어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에 대한 모의 실험을 통해 인증서버가 인증처리를 하는 것보다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자 인증처리 기능을 대행하는 것이 인증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AP 인증 및 동적 키 분배를 이용한 안전한 무선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Secure Wireless LAU System using AP Authentication and Dynamic Key Exchange)

  • 이종후;이명선;류재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4호
    • /
    • pp.497-508
    • /
    • 2004
  • 현재의 무선랜 표준인 IEEE802.11b가 많은 보안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IEEEE802.11b에서의 인증은 사용자 인증이 아닌 디바이스 인증에 머물고 있으며, 제공되는 인증 메커니즘들 역시 여러 가지 면에서 취약하다. 한편, IEEE802.1x는 IEEEB02.11b 인증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강력한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AP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등, 취약한 부분이 있다. 또한 WEP을 통해 제공되는 기밀성 및 무결성 역시 키 스트림 재사용 공격, W 재사용 공격 등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환경에 적합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및 기밀성을 제공하는 무선랜 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EEE802.1x를 기반으로 하고 TLS를 통해 무선랜의 구성요소인 클라이언트, AP, 인증서버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모두 수행한다. 그리고 동적인 키 분배를 통해 암호통신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FIDO 환경에서 다중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Authent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Biometric Information in FIDO Environment)

  • 채철주;조한진;정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9-164
    • /
    • 2018
  • 생체정보는 저장, 암기, 손실 우려가 없고 도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패스워드, PKI 등 기존 인증 방법의 대체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FIDO에서는 생체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보존하여 인증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서버에서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FIDO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생체정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다중생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지문과 뇌전도 신호를 뇌지문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FIDO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현재 기존 2-Factor 인증 체계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을 다중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으로 해결할 수 있다.

OAuth2.0을 변형한 금융권 통합인증 프로토콜 (Integrated Authentication Protocol of Financial Sector that Modified OAuth2.0)

  • 정규원;신혜성;박종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373-381
    • /
    • 2017
  • 현재 국내 금융거래에서는 공인인증서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증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인인증서 방식은 사용자가 개별 금융사의 웹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서로 다른 보안모듈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금융사 중심의 이러한 인증방식은 앞으로 생체인증 등의 차세대 인증방식이 새롭게 도입될 때마다 금융사마다 새로운 보안모듈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금융거래 시 각 금융사를 대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전담하는 통합 인증기관을 상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사용자 및 금융사 웹서버 삼자 간에 안전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통합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새로운 인증 프로토콜은 OAuth2.0을 변형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가한 프레임워크로써, 인증서버 및 금융사 웹서버 간 사전에 공유된 비밀키로 도전-응답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고 안전한 통합인증(SSO: Single-Sign-On) 효과를 누리게 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ECG 인증 시스템 구현 및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CG Authentication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 허재욱;진선우;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
    • /
    • 2019
  • IoT 기반의 스마트홈, 핀테크 등의 모바일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비밀번호와 같은 지식 기반의 인증 방법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존재 기반의 생체인증이 새로운 주류가 되었고, 맥파, 지문, 얼굴, 홍채 등 다양한 생체인증 중에 신체적 특성상 위변조 가능성이 낮고 고유한 특징으로 개인 식별성이 높은 ECG(Electrocardiogram, 이하 ECG)를 이용한 생체인증이 헬스케어 및 핀테크와 맞물려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가이면서 부피가 커 휴대가 불가능한 ECG 측정디바이스가 아닌 소형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의 ECG 파형을 측정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ECG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ECG 인증 시스템은 PQRST 고유 값 식별을 통해 ECG 특징점을 판별하고 이를 이용한 제안된 인증 프로토콜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인 남성 다수를 통한 측정 평가를 통해 안정적인 정지 상태에서는 1.73%의 비교적 낮은 타인수락률과 4.14%의 본인거부율을 보였고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서는 13.72%의 타인수락률과 21.68%의 높은 본인거부율을 보였다. 활동으로 인해 심박수가 상승한 정지 상태에서는 10.48%의 타인수락률과 11.21%의 본인거부율을 보였다.

RFID 시스템의 개선된 인증 프로토콜 (Enhanced Authentication Protocol of RFID System)

  • 이상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93-200
    • /
    • 2007
  • 기존의 바코드(Bar code) 시스템에 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저장능력이 뛰어나고 사물에 비접촉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전송되는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수신할 수 있어 시스템 보안과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청, 재전송, 스푸핑(Spoofing) 그리고 위치추적과 같은 공격에 안전하며 리더(Reader)와 태그(Tag) 간에 상호 인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앞으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무선 환경에서 XML 전자서명을 이용한 Java Card 기반 시스템 (System based on Java Card Using XML Digital Signature on Wireless Internet)

  • 장창복;최의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37-44
    • /
    • 2005
  • 무선 인터넷의 발전과 무선 단말기의 성능이 발달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전자상거래(M-Commerce)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에서는 사용자 인중 기술과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에서의 WPKI나 Hermes 시스템,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XML 전자서명 같은 인중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WPKI는 인증 시스템들이 서로 이질적이라 구현하기 어렵고 유선 인터넷의 인중 시스템과 상호 연동가능하지 않으며, XML 전자서명을 지원하지 않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Hermes 시스템 역시 XML 전자서명 시스템과 상호 연동 가능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도 기존의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XML 전자서명 기법을 이용하여 유, 무선 환경에서 전자서명할 수 있는 Mediator를 설계한 뒤, Java Card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홍채인식기반의 원격의료시스템 (A Secure Telemedicine System for Smart Healthcare Service)

  • 조영복;우성희;이상호;김민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05-214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홍채인증기반 안전한 원격의료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격의료 시스템에서는 의료정보 및 헬스케어 정보는 프라이버시 정보로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이 논문에서 제안 시스템은 노인성 만성질환 환자들을 위한 원격의료 시스템으로 기존 ID/PW방식보다 편리하면서 안전한 인증방식을 제공한다. 노인성만성질환자의 사용 편의성과 의료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경우 제안방식은 적합한 인증수단으로 타인에게 도용되거나 분실시 쉽게 변경하기 어려워 기존 ID/PW방식에 비해 안전하다. 또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를 위한 원격의료 시스템은 의료정보 및 헬스케어 정보의 민감한 프라이버시 유형중 하나로 원격의료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보안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우리는 제안 논문에서 민감한 의료정보 및 개인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2단계 인증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제안 방식은 기존 ID/PW방식보다 높은 기밀성과 무결성을 제공하며 보다 강력한 안전성을 제공함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