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s related to the science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2초

창의·인성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Lesson Emphasized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on the Creativity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 남윤선;이형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31-14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을 강조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4학년 1학기 '1. 무게 재기' 단원의 교과 내용을 분석하고 창의성 및 인성과 관련한 요소를 활용하여 11차시 과학수업을 구안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두 반을 선택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 다른 한 반은 비교집단으로 정하였고 실험집단은 창의 인성을 강조하여 개발한 과학수업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수업을 시행하였다. 두 반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인성을 강조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왔다. 특히 창의성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향상에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과 창의 인성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에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왔다. 하위 영역에서는 "과학 탐구의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창의 인성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의 신장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과학 분야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 변화 (The Changes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of Students in the High School Science Club through the Creative-Experience Activity of Science field)

  • 김지현;김지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471-48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모델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에게 운영 후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모델 프로그램을 학교실정에 맞게 수정하였고, 수정된 프로그램을 부산소재의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에게 운영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결과지와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과학관련 태도의 변화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이 대다수의 학생에게서 증가하였다.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은 망원경으로 관찰한다든지 실험기구를 만져보는 것과 같이 사용했던 관련 도구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았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긍정적으로 변하게 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과학 수업 내용과 연계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이며,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체험활동을 실시한다면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참관형 프로그램 보다는 참여형 프로그램이, 또한 과학 지식을 요하는 프로그램이 과학관련 태도 변화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 김현정;홍훈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33-642
    • /
    • 2010
  •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과학교사들은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나 구체적인 정보는 옳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의 나노기술에 대한 태도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나노기술의 긍정적인 면뿐 아니라 부정적인 면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대부분의 나노기술 적용분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는데, 개인정보를 담은 체내 삽입형 칩이나 나노분자 미각 향상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과학교사들은 나노기술에 관련된 정보를 TV,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곳에서 얻고 있었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자료에서는 거의 얻고 있지 못했다. 과학교사들은 대부분의 교과서가 나노관련 개념의 소개가 부족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주로 교과서에 나노관련내용이 있을 경우에 이를 수업시간에 설명하고 있었으며, 수업시간에 나노관련 개념을 전혀 설명하지 않는 교사의 비율도 높았다.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Instruction Using Mind Map)

  • 김상달;김은정;주국영;최성봉;홍동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17-62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11학년 지구과학 수업에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김해시에 소재한 공립 K고등학교 11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에 2시간씩 10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집단은 3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후에 사후검사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t-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과학 동아리 활동이 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udents' Science Club Activities on Science - Related Attitude)

  • 조규성;강철형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9-286
    • /
    • 2005
  • This thesis aims to know about the effect science club activities have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The subjects are 551 high-school students who consist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ience club activities and students who don't participate in science club activities. The questionnaires include the questions about cognition of science, interest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which belong to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The answers are analyzed using by SPSS 11.5 program. This survey shows that whether or not students participate in science club activities affects the cognition of science, the interests toward sci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In other words, science club activities affirmatively enhance the cognition of science, cultivate the thinking power about science, enlarge problem-solving ability by knowing how to survey natural phenomenon, increase the insight into science and help to cope with technological changes. Therefore, since science club activities affect the cognition of science, the interest toward sci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in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much consideration and concern should be given to science club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cherish science club activities and deal with club activities with more attention.

  • PDF

전통문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Traditional Cultur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 김명환;김남일;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239-249
    • /
    • 2013
  • The elementary school age is a critical period in the formation of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ensitiv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y affec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utilize traditional culture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Attitudes questionnaire and activity sheets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change in attitude of the students, we analyzed the activity sheets.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 tradi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Analysis of students' Internet bulletin board posts, the amount of writing was increased. In addition, the sensitivity to the environment of the students were changed. Students, was considered not related to their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after programming experience, they found that environmental problems are directly related to them.

방문간호사의 자살예방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uicide Prevention Nursing Competency Programs for Visiting Nurses)

  • 김정은;김석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4-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icide prevention nursing competency program for visiting nurs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suicide prevention-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Methods: A total of 66 visiting nurses were recruited from 10 public health centers and divided equally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icide prevention nursing competency program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across 3 weeks. Participants were asked question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t pre, post, and 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Friedman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behaviors at the measured time period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be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times in attitudes and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persistent until the 1-month follow-up. Conclusion: The developed suicide prevention nursing competency program is effective in evidence-based education for visiting nurses to increase suicide prevention-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ritical Care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ir Related Factors)

  • 설은미;고진강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94-105
    • /
    • 2015
  • Purpose: The study purpose was to describe critical care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ir related factor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175 critical care nurses who worked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via self-report survey. The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ir attitudes, and a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was used to measure their knowledge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Education level, duration of nursing employment, duration of critical care nursing employment, and knowledge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rses' attitud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level, and duration of nursing employ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es' attitud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nurses' knowledge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developed. These will help critical care nurses ob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정신과 근무 간호원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연구 (A Study of the Attitudes of Psychiatric Registred Nurses towards Mental illness and Mental Patients)

  • 김향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4
    • /
    • 198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the mentally ill of psychiatric nurse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urses' attitudes and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psychiatricnurses and 111non-psychiatric nurses in active service at 12 hospitals in Seoul. The insrtument used for measuring attitudes was a questionaire developed by Cohen and Struening (1962) referred to as the“Opinions about Mental illness(OMI) Scale”made up to 51 Likert-type it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hatnurses showed negative attitudetoward mental illness and the mentally ill: Very high on social restrictiveness (factor D), low on Mental Health Ideology (factor C), and Interpersonal Etiology (factor E). Since the high score on Factor A, B and the low score on Factor B, C, E reflect a negative al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this study population related extremely negative attitudes compared to any other surveys. And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related to their attitudes the education degree and the kind of the hospital in active service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1) Althohg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the mentally ill of psychiatric nurs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non-psychatric nurses, there was a trend that attitudes of psychaitric nurses did show more negative responses rather than those of non-psychiatric nurses. 2) Demographic variables that relate to their attitudes on the OMI scale were the education degree of the respondent and the kind of their hospital in active service. 3) About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the mentally ill baccalaureate nurses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in Factor A (Authoritarianism), Factor C (Mental Health Ideology) and Factor D (Social Restrictiveness) than diploma program murses. 4) Nurses in active Service in the private hospital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s(A,B,C,D) except Factor (E) than those in the national or public hospital. 5) The ages, duration of work, wanted or unwantedG roup of psychiatric ward and satisfactory level of psychiatric nursing service were non-significant.

  • PDF

고등학생들의 화학 관련 환경 개념 및 환경에 대한 태도 조사 (An Investig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hemistry-Related Environmental Conception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 한재영;강석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44-35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화학 관련 환경 개념과 환경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자아존중감, 과학 수업의 즐거움, 여가 활동에서의 과학 흥미 등의 정의적 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환경 개념 이해도가 낮았으며, 남학생의 개념 이해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그러나 환경에 대한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생태중심적 태도에서는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자기중심적 태도를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사전 과학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환경 개념 이해도가 높았다. 정의적 변인 중 여가 활동에서의 과학 흥미가 환경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