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dementia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4초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toward Dementia in University Student)

  • 조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57-26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146명의 대학생을 모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rson's Correlation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79.6%이었고, 태도는 평균 3.74점, 교육요구도는 평균 4.02점으로 나타났다. 지식과 태도 간(r=.23, p=.005), 태도와 교육요구도 간(r=.61, p<.001)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육요구도는 기본적 일상생활동작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태도확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에서 밝혀진 구체적인 교육요구도는 향후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과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Attitude and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of Nursing Students)

  • 최희정;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61-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과 치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G도시 K 대학 간호 학생 1~2학년, 18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 년 5 월 1 일부터 5 월 31 일까지였고, SPSS /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 t-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태도는 치매에 대한 관심과 치매병동 근무의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노인태도와 치매태도 정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노인태도 및 치매 태도에서는 모두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치매정책인식(β = .22, p = .004), 치매에 관심없다(β = -.20, p = .006), 치매병동 근무 의향 없다(β = -.16, p = .021), 치매지식(β = .15, p = .027)이었고, 설명력은 23.4 %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인 치매태도, 간호대학생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치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in Adults)

  • 박선남;임희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7-35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성인 중 연구에 동의한 1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결과 치매 지식 정도는 8.17점(12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7.14.점(10점), 치매예방에 대한 교육요구도 정도는 4.56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변수와 각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치매교육요구도는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치매교육에 대한 관심정도에서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예방교육 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치매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행위에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성인을 위한 치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개별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겠다.

가정에서 노인성 치매환자의 간호 (Home Care Nursing of Senile Dementia Patient in the House)

  • 유광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2호
    • /
    • pp.265-276
    • /
    • 1997
  • The best way to care senile dementia patients i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isease. Care-givers can't understand the patients because the patients can't properly communicate with care-givers. Thus, care-givers are supposed to find out ways to understand them in the nature of disease. From this view, there seems no exception in essential attitude of care-givers toward the patients. Without positiv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isease and respecting patient's rights as a human even though they are badly disorder in their word and behavior. There seems no expectation for thousands quality of care-giving.

  • PDF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교육요구도 (Knowledge, attitudes, and the educational needs on dementia for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정은서;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1-58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develope dental health intervention standard curriculum for dementia patients by identifying the extent of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toward dementia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student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nationwide (from the first year students to the 3rd or 4th year students) for approximately 2 months from March to April, 2018. Among them, 54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91.0% of the subjects were not currently receiving education on dementia. The research on the factors to impact the dementia education needs of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dementia education necessity (p<0.001) and the dementia attitude (p<0.00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ducational needs on dementia.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dementia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his will provide a basis for the dental hygienists to be equipped with the relevant expertise in the intervention in the dental health of dementia patients in the future.

Approachi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Model for Elderly with Dementia Who are Suspected to Have Hearing Impairment in Korea

  • You, Sunghwa;Han, Woojae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1호
    • /
    • pp.40-47
    • /
    • 2020
  • Because the psychophysical symptoms of hearing loss and dementia in the elderly are very similar, untrained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facilities can easily overlook a severity of hearing loss in their patien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on hearing loss using a survey whether they may help hearing problem of the patients with dementia. A total of 29 health-care professionals responded to the KAP survey. Also, 2 family members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nurses and caregiv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ho worked with dementia patients did not have knowledge of their hearing loss. Even the facility managers did not know how to conduct hearing tests for their patients although they did recognize that some of their patients had a hearing loss. Eventually, actual practice was not possible at this moment by the professionals. However, our respondents di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reening for hearing loss and help their patients with dementia wear hearing aids if a clinical guideline was provided. We suggest to develop clear and precise clinical guidelines of the hearing screening test for the dementia patients due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hearing loss. When these guidelines apply to elderly residents in a medical welfare facility,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ir sensory loss will help alleviate their dementia as well.

Approachi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Model for Elderly with Dementia Who are Suspected to Have Hearing Impairment in Korea

  • You, Sunghwa;Han, Woojae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0-47
    • /
    • 2020
  • Because the psychophysical symptoms of hearing loss and dementia in the elderly are very similar, untrained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facilities can easily overlook a severity of hearing loss in their patien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on hearing loss using a survey whether they may help hearing problem of the patients with dementia. A total of 29 health-care professionals responded to the KAP survey. Also, 2 family members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nurses and caregiv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ho worked with dementia patients did not have knowledge of their hearing loss. Even the facility managers did not know how to conduct hearing tests for their patients although they did recognize that some of their patients had a hearing loss. Eventually, actual practice was not possible at this moment by the professionals. However, our respondents di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reening for hearing loss and help their patients with dementia wear hearing aids if a clinical guideline was provided. We suggest to develop clear and precise clinical guidelines of the hearing screening test for the dementia patients due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hearing loss. When these guidelines apply to elderly residents in a medical welfare facility,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ir sensory loss will help alleviate their dementia as well.

한국 성인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Korean Adul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 백성희;원종순;김명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91-197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성남에 위치한 노인체험센터에 방문한 한국성인 95명이었고, 2016년 1월 23일에서 4월 30일까지 자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로는 치매에 대한 한국 성인들의 인식과 태도의 평균점수는 각각 $12.97{\pm}1.55$, $4.13{\pm}0.48$이었고,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r=0.773,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매와 관련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치매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wareness of Aged Support, and Cognitive-Affective Empathy)

  • 제남주;박미라;양현주;김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00-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 C시의 대학생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었으며, 12시간의 치매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이었고, 자료조사는 실험군에게 프로그램 제공 전, 제공 후, 프로그램 종료 4주후에 시행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같은 시기에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Shapiro-Wilks 검증,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와 Independent t-test, Friedman test, Mann-Whitney U,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F=19.80, p<.001), 치매에 대한 태도(z=-4.10, p<.001), 부양의식(F=6.26, p=.017)은 집단과 시점 간에 유의한 교호작용이 있었으나, 인지-정서적 공감은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F=1.32, p<.256). 추후 치매 관련 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해당 내용을 강화하고, 인지-정서 공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를 검증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eriatric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ttitude, Perception toward Dementia and Dementia Policy)

  • 박수진;박경숙;김영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67-4477
    • /
    • 2015
  • 본 본 연구는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K시, J시 소재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7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교육군에게 56시간 노인간호 교육을 실시하였다. SPSS Win 20.0를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t-test, ${\chi}^2$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군에서 평균 27.10점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500, p=.000). 치매에 대한 태도에서도 교육군의 평균이 4.10점으로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423, p=.000). 치매정책 인식에서는 교육군에서 인식이 더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70, p=.090). 이를 통해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노인간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