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achment to parents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9초

산후 분노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 (Postpartum Anger: A Narrative Review)

  • 백서영;정슬기;김성해;김수;유호지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postpartum anger experienced by women after childbirth, through a narrative review. Methods: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were searched in seven electronic database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anger', 'angry', 'aggress*', and 'postpartum'. Results: Ultimately seven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ix of the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study were included and postpartum anger or anger was found to be measured in all six quantitative studies.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hostility during pregnancy and women's dependence and self-criticism of women after childbirth. Attachment with parents in the past and affection between married couples in the present influenced the expression and management of ange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women, past experiences, current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However, there was no study focusing on postpartum anger and related factors in domestic context. Thus, we suggest future studys which clarify the concept of postpartum anger and its measurement so that awareness of postpartum anger can be improved and mediation could be developed.

  • PDF

아동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 정상아와 지체부자유아를 대상으로 - (A Study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Physically Handicapped and Non-physically Handicapped-)

  • 심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7
    • /
    • 1987
  •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system to better provide social support to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research design was a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and the data were obtained by use of interview an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were as follows: 1. The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perceived that they had a fewer number of social support providers than the non-handicapped children. (t= -4.62, p<.001) 2. The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Perceive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the non-handicapped children. (t= -3.93, p<.001) In the cases of 3 types of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ttachment / intimacy, assistance/guidance), the handicapped children perceive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3. It was found that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nonhandicapped children perceived degree of social support differently (x$^2$=72.08, p<.001). and also the two groups perceived in all types of social support differently. 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s, school mates, school teachers, brothers and sisters were significant providers of social support a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pportive source ranked consistently. (rs=.83, p<.01) 5.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bility and the support level was a positive correlation (r=.28, p<.01),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bility and the size of the support network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47, p<.01) An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riends. the number of support providers increased. (F= 4.46, p<.05).

  • PDF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Analysis of Humor in the Picture Books of Mo Willems)

  • 강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74-384
    • /
    • 2014
  • 유머는 유아의 삶에서 중요한 능력 중 하나이다. 유아의 인지발달과도 관련된 유머는 유아의 양육자와의 애착, 사회적 관계 형성, 긍정적인 자아개념에도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칼데콧 아너상 수상자인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머들이 등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르그송의 희극성 유형을 기초로 모 윌렘스의 수상작 5권에 나타난 유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윌렘스 작품의 글과 그림에서 형태의 희극성, 움직임의 희극성, 상황의 희극성, 언어의 희극성, 성격의 희극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순응적 유머를 담은 모 윌렘스의 그림책이 유아, 부모, 교사의 유머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부모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Self-Esteem)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81-186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 양육 스트레스,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부모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부모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잠재변수들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아버지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가 양육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 할 수 있도록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과 성인 세대의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인식 및 신뢰 (Perception and Trust of Korean Society and Peopl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3호
    • /
    • pp.91-119
    • /
    • 2005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과 성인 세대집단별로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인식 및 신뢰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나아가서 한국인의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인식 및 신뢰에서 부각되는 독특한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107명으로서 남녀 초, 중, 고등학생 369명과, 그들의 부 369명, 모 369명으로 구성되었다. 질문지는 김의철과 박영신 (2004b)의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토착심리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에 의해 양적인 질문지로 제작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한국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성인이 청소년보다 한국 사회가 연고주의가 강하고, 불안하며, 보수적이고, 부정부패가 많고, 불평등하다고 인식하였다. 청소년과 성인 모두, 한국 사회가 합리적이거나 민주적이지는 못하나 발전가능성이 있다고, 공통적으로 인식했다. 둘째, 세대별로 한국 사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매우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성인이 청소년보다 한국 사람들은 체면을 중시하고, 감정적이며, 이기적일 뿐만 아니라, 배타적 우월주의가 강하다고 보았다. 청소년과 성인 모두, 한국 사람은 협동심이 있으며 정이 많고 근면 성실하다는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셋째, 세대별로 한국 사회의 기관에 대한 신뢰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성인이 청소년보다 국회 정당, 노조에 대한 불신이 강하였다. 넷째로, 세대별로 한국 사람에 대한 신뢰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이 성인보다 가족, 학교 친구/교사, 공무원에 대한 신뢰의 정도가 매우 높았다. 이러한 네 가지의 결과를 종합할 때 청소년 세대가 성인보다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해 긍정적인 집단정체의식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은 연고주의가 강하고 부정부패가 많은 사회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한국 사람에 대해서는 체면을 중시하고 감정적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있었지만, 동시 협동심이 있고 정이 많은 사람들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공존하였다. 한국 사회의 기관에 대한 신뢰는 모두 낮았는데, 특히 국회나 정당처럼 정치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가 가장 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 특히 가족에 대한 신뢰는 매우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교 친구/교사에 대한 신뢰가 높았다. 그러나 공무원과 정치가에 대해서는 불신했으며, 특히 정치가에 대한 불신이 강하였다.

기혼간호사의 육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 Study on the Married Nurse's Experience of Child Rearing)

  • 조정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82-20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arried nurse's experience of child rearing through being applied to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By exchanging their experiences, helping and understanding one another, married nurses can work with delight considering their own present job as their lifelong job. In addition this study can help single nurses overcome the female crises such as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they will experience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26 married nurses who work for a university hospital in affiliation in Seoul and have children. The period of materials collection was from Feb. 1st to Mar. 3, 1995. The method of materials collection was primarily to write down a questionary with openhearted contents. In collecting it, the respondents were allowed to say at their pleasure through further interview.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responses of married nurses' experience of child rearing-[pleasure] [family solidarity] [maternal-infant attachment] [understanding] [toilsome]-were induced. That is, at once affirmative experience and hard experience coexisted. 2) The method of married nurses' child rearing-[rearing politely] [raising understanding] [having the sense of family community] [rearing with praying the heart] [careless]-were induced. 3) The support system of married nurses' child rearing-[having help family] [having help from others]-were induced.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the married nursed showed affirmative responses about their experience of child rearing, but at the same time they expressed painful when stayed apart from their children on account of their job or when their children were sick. In the method of child rearing, they tried to grow their children polite because there was much time for them to stay apart from their children. And they tried to give a better explanation in order that their children can have an independence spirit. They tended to compensate through frequent physical touch with their children. As the support system of married nurses' child rearing, they asked their parents or their parents-in-law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hired a nursery governess in their houses, or used a children's home, if they can't afford to. That is, the only one who has a firm sense of her profession, tries to inspire her accomplishment, and is receiving her husband' love and understanding is considered to perform two things simultaneously with harmony, having an recognition of lifelong job. Suggestions 1. The method to solve mental troubles on child rearing should be groped. 2. Their economical burden should be reduced by establishing children's home in their working places, and the increase of maternal-infant interaction should be contrived. 3. The chance of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order that married nurses themselves might inspire self-conceit and professionalism on clinical nursing. 4. The familiar mood should be created through planning the programs to be accompanied with children as an annual event in hospital. 5. The part-time nurse system should be suggested to utilize. 6. The system of circulation working should be converted into the system of fixing work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department. 7. Programs for special activities such as learning foreign languages and computer should be supported positively.

  • PDF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 등을 중심으로 (Study on Resources That Influence Drop - Out Teenage Children's Choices on School Reentry: Central Focus on Family Resources)

  • 윤나나;박정윤;박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1호
    • /
    • pp.27-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해 살펴보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5차년도 2,553명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정규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검증하기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가족자원을 비롯하여 개인의 심리·정서자원 및 사회관계자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t-test와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자원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이사횟수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자원은 우울, 충동성과 함께 학업을 중단한 현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가 낮고 우리 사회가 학력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고 지각하는 점이 학교복귀 선택에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자원으로는 가족형태와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지지 측면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움을 주는 사회관계자원으로서 멘토 여부가 사회자원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가족자원을 밝혀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지지적인 가족자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 및 사회자아의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Multicultural and General children)

  • 오은진;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96-8607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을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 4-6학년 다문화아동 285명과 일반아동 223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enter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학업자아, 사회자아,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았고, 정신건강 수준도 낮았다. 다문화아동의 학업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학습활동(${\beta}$=.298), 사회적 부적응(${\beta}$=-.218), 의사소통(${\beta}$=-.196), 신뢰감(${\beta}$=.167) 순으로 학업자아를 42.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친구지지(${\beta}$=.285), 교우관계(${\beta}$=.187), 사회적 부적응(${\beta}$=-.172), 우울요인(${\beta}$=-.139) 순으로 사회자아를 46.3%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들은 향후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한 부모요인 규명: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Par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금희;김성재;유혜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9-36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r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Relevant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9 to June 2019 were identified through systematic search in 10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NDSL, KISS, KMbase, KoreaMed, and RISS). Standardized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o quantify the associations of parental factors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using meta-analysis. Results: A total of 30 cross-sectional studies involving 7,943 participa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follow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r=-.35), mother-child attachment (r=-.28),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r=-.28),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r=-.25),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r=-.15). Further, maternal factors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r=.41), parenting stress (r=.40), negative parenting behavior (r=.35), negative parenting attitude (r=.14), smartphone usage time (r=.26), employment status (r=.18), and age (r=.12)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Conclusion: Several parental factors influence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to assess and enhance the parental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to prevent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Accordingly,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to strengthen parent-related protective factors and mitigate risk factors.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30-40대 기혼여성의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Study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ith Experience in Parental Divorce)

  • 전보영;조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51-7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experience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owards the women, this study takes a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8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are now married with children.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spiral of analysis, following the process of Wolcott's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s such as fear, anger, and lack of affection.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divor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elf concept and in turn,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and withdrawal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me had difficulties in concentrating on their schoolwork, which was caused by psychological effects from their instable home environments and some were negligent at school due to their parents' indifference or as an act of rebellion towards them. Third, although participants displayed interest towards the opposite sex, fear towards the opposite sex or unrealistic expectations led to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Participants also confessed that although they married so that they could escape their original family and form a new happy one, they experienced a rocky start at the beginning of their marriage. Fourth, parental divorce had a lifelong impact on children. Even after the children became adults, parental divorce affected each key stage of transition in life such as dating, choosing one's spouse, marriage, and child rearing. Fifth, participants displayed a strong attachment to life under the assumption that only they themselves can be depended on. This led to their strong commitments to a successful marriage without the possibility of divorce. In conclusion, parental divorce is not a transitory or incidental event. Rather, it becomes a part of the children's lives with lifelong implications.